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전문가 입니다.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전문가 입니다.
곽주영 전문가
썬라이즈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경제동향
24일 전 작성 됨
Q.
쿠웨이트는 매우 부자국가인데 한국과 비교하여 1인당 GDP 32000달러로 왜이리 낮게 나오나요?
쿠웨이트의 1인당 gdp가 우리나라보다 낮은 이유는 경제구조, 인구구성, 소득분배 방식 등 여려 경제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난 결과입니다. 쿠웨이트는 석유의존적 단일경제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쿠웨이트는 노동자의 70프로가 외국인 노동자일정도로 외국인 노동자 비율이 높습니다. 반면 우리나라는 제조업이 발달하여 있고 외국인 노동자 비율이 낮은 점이 쿠웨이트 경제와 차이가 있고 반도체 등 고부가가치 상품을 많이 제조하고 있어 1인당 gdp가 높습니다.
주식·가상화폐
24일 전 작성 됨
Q.
etf는 우리나라 etf는 없는건가요?
우리나라 거래소에 코스피와 코스닥 지수를 추종하는 다양한 etf들이 상장되어 있습니다. 코스피200 지수를 추종하는 etf는 주로 etf명 뒤에 200이라는 숫자가 붙어있고 코스닥 150지수를 추종하는 etf는 주로 etf명 뒤에 150이라는 숫자가 붙어있습니다.
경제동향
24일 전 작성 됨
Q.
최저임금이 많이 오르면 나라 경제엔 어떤 영향이 있나요?
최저임금 인상의 긍정적인 영향은 저소득층 소득 증대와 소득 불평등 완화가 꼽히고 있습니다. 반면 최저임금 인상의 부정적 영향으로는 물가상승, 고용감소, 소상공인과 중소기업 부담이 꼽히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적정한 수준의 최저임금을 설정해 사회안전망과 경제활성화라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노력 중입니다.
경제정책
24일 전 작성 됨
Q.
우리나라는 썸머타임제도가 없나요?
서머타임 제도는 여름철 긴 일조시간을 활용해 경제활동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제도로 현재 우리나라에는 서머타임 제도가 시행되지 않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에너지 절약이나 경제 활성화를 위해 서머타임 제도 도입 주장이 간혹 제기되기도 하지만 구체적인 논의가 진행되지는 않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주식·가상화폐
24일 전 작성 됨
Q.
주식이 활발하게 오르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최근 국내 및 해외 주식들의 상승세는 여러가지 경제적 요인들이 있지만 가장 큰 요인은 미국의 경제호황과 유동성 증가, 금리인하 기대감이 꼽히고 있습니다. 미국 빅테크 기업들의 실적이 견조하게 성장하고 있는 와중에 글로벌 유동성 증가와 금리인하 기대감이 주식시장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습니다. 국내적으로는 우리나라 새정부의 증시부양 의지로 인해 국내에서도 많은 투자자금이 유입되고 있습니다.
41
42
43
44
4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