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 스태그플레이션 이 용어들을 알고 싶어요
인플레이션(Inflation): 인플레이션은 화폐 가치가 하락하고 물가가 상승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원인으로는 수요가 공급보다 많아서 발생하는 수요 인플레이션과 원자재 가격 상승 등 생산 비용 증가로 인한 비용 인플레이션이 있습니다.디플레이션(Deflation): 디플레이션은 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소비자들이 소비를 줄이고 기업이 생산을 줄이면서 경제 전반의 수요와 공급이 감소하는 상황에서 발생합니다. 디플레이션은 인플레이션보다 더 위험한 현상으로 평가되며, 장기적으로는 물가가 안정될 수 있지만 단기적으로는 경제 성장이 둔화되고 실업률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 스태그플레이션은 경기 침체와 물가 상승이 동시에 발생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경제 성장이 둔화되고 실업률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발생합니다. 이는 경제 정책에 딜레마를 초래하며, 인플레이션을 진압하는 정책은 실업률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Q. IMF 당시 나라에서 국민들의 금을 시세보다 비싸게 산 이유가 무엇인가요?
IMF 당시 대한민국의 외환보유액은 약 200억 달러 정도였는데, IMF는 구제금융 조건으로 500억 달러를 요구했습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정부는 금 모으기 운동을 통해 약 227톤의 금을 모았고, 이를 해외에 팔아 약 21억 달러를 조달했습니다. 금 모으기 운동으로 모인 금은 당시 시세보다 약 2배 이상 높은 가격으로 매입되었는데, 이는 국민들의 금 모으기 운동을 독려하기 위한 목적과 금이 외환보유액으로 인정되어 환율 방어에 도움이 되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