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

김재현 전문가
OPTICS
물리
물리 이미지
Q.  시간은 절대적이고 고정적이며 모든사람한테 동일하게 흐르죠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시간은 절대적이기보다 상대적입니다. 절대적 개념은 아인슈타인 이전 뉴턴의 고전물리에서는 시간의 개념이 절대적이다 누구나 다동일하게 흐론다라고 했지만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이 등장하면서 시간은 속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속도가 빠를수록 외부 관측자가 보기에는 시간이 느리게흐르는것처럼 보이지요. 하지만 실제 속도가 빠르게간 사람의 시간은 동일하게 흐릅니다. 시간은 상대적으로 흐른다가 맞습니다
물리
물리 이미지
Q.  하늘로 더 높이 올라갈수록 중력의 힘이 더 쎄지기도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당연히 하늘높이 올라갈수록 힘은 약해집니다. 뉴턴의 만류인력법칙으로보면 두 물체간의 힘은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합니다. 거리가 멀어지면 당기는 힘도 약해집니다
물리
물리 이미지
Q.  빛의 속도는 어떠한 상황에서도 일정한가요?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빛의 속도가 30만 km/s 이지만 이것은 진공에서의 속도입니다. 매질에 따라 빛의속도가 다르지요 ㅎㅎ 물속에서는 빛의 속도가 약 20만 km/s 정도 됩니다. 그래서 느려지는 빛때문에 굴절이 일어나게 됩니다. 같은 매질속에서는 빛의속도가 일정합니다. 하지만 빛에도 여러가지 파장이 존재하기 때문에 파장에 따라 빛의 속도가 약간씩 다르게 적용됩니다.
물리
물리 이미지
Q.  전기의 속도와 빛의 속도 같은것은 어떻게 측정을 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빛의 속도는 눈으로 쫒아가기 힘든 속도이죠 ㅎㅎ 이런 빛의 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레이저를 많이 이용 합니다. 거리 = 시간x속도이니까 거리를 알고 되돌아 오는 시간을 측정하면 빛의 속도를 측정할 수 있죠
물리
물리 이미지
Q.  플루토늄 저장 시 발생가능한 임계사고란 어떤 메카니즘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플루토늄의 경우 핵 연쇄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 물질입니다. 그래서 연쇄 반응을 적절히 조절 할 수 있으면 우리가 안정적으로 핵분열을 일으켜 열을 발생시킬 수 있죠. 그래서 핵분열시 중성자의 역할이 중요한데요. 이 중성자를 일정하게 유지될때가 임계상태입니다. 중성자가 갑자기 많아져 임계상태가 넘어버리면 아주 위험합니다 감속재를 이용해서 중성자의 속도를 줄이거나 제어봉으로 중성자를 흡수하여 핵분열속도를 느리게 하는 방법등이 있습니다
물리
물리 이미지
Q.  레바논 베이루트에서 발생한 초대형 폭발의 원인은?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저도 레바논 항구 폭발사건을 뉴스를 통해 봤는데요. 1차 폭발과 2차폭발 두번의 폭발이 있었다고 합니다. 1차는 창고에 저장된 폭죽으로 인해 불이났고 2차는 1차폭발로 인해 질산암모늄에 불이 붙어 대형 폭발로 번졌다고 하네요. 6년동안 쌓여있던 질산 암모늄으로 인해 히로시마 원폭의 1/14 수준에 달하는 위력으로 항구를 덮쳤다는데요. 정말 위험한 물질이죠 ㅠㅠ
물리
물리 이미지
Q.  절대 온도가 정의하는 이유는 뭔지 궁금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절대온도란 온도의 기준이되는데 단위입니다. 우리가 섭씨로 쓰는 온도 단위는 물의 어느점을 기준으로 만들어 졌는데요. 절대온도 켈빈의 경우 모든 온도의 기준이 됩니다. 단위는 켈빈(K)으로 쓰며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한채 온도를 낮추면 부피가 줄어드는 현상을 통해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이론상 0K의 경우 물체가 전혀 존재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내는데 우주공같이 진공상태로 이루어져 있는 곳도 3K정도의 온도를 가진다고 합니다. 참고로 0K의 경우 -273.15°C인데요 0K보다 밑으로 내려갈 수 없습니다. 그래서 섭씨기준으로 자연에 존재하는 온도의 최저점은 -273.15°C이 되겠습니다
물리
물리 이미지
Q.  진동을 줄이기 위해서는 어떻게 하는것이 가장 좋은가요?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예초기 돌릴때 진동이 너무 커서 손목이 아플수가 있습니다. 진동을 줄이는 것이 중요한데요. 완벽하게 줄일 수 없지만 몇가지 도움되는 방법이 있습니다. 예초기를 돌릴때 손목의 힘으로만 버티려고 하면 안됩니다. 고무끈을 이용해서 온몸으로 힘을 받게 해야 진동을 분산할 수 있습니다. 또한 너무 세게 잡지 말고 살 잡아 보세요 진동을 덜 느낄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10~15분 돌리고 잠깐 잠깐 쉬세요^^
물리
물리 이미지
Q.  색깔에 따라 빛 흡수가 달라진다고 하는데 정말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색상에 따라 흡수하는 빛의 양이 달라서 온도또한 다릅니다. 말씀하신대로 검은색은 모든 파장대를 흡수하고 흰색은 반사합니다. 실제 실험에서도 약 10도정도 온도차이가 난다고합니다
물리
물리 이미지
Q.  소리가 더 빠른가요? 모습이 더 빠른가요?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당연히 모습이 더 빠릅니다. 빛이 빨라요 소리가 빨라요 묻는거랑 같은거에요 ㅎㅎ 폭죽터질때 터지고 난 뒤에 소리가 들리는것도 같은원리랍니다
67891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