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
김재현 전문가
OPTICS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물리
2025년 5월 21일 작성 됨
Q.
커피숍에 있는 커피 추출기는 압력이 어느 정도나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보통 머신기의 추출 압력은 9bar정도가 좋습니다9bar정도가 좋긴한데 딱 9bar가 안될수도 있어 추출할때 10bar정도로 셋팅하고 내리기도 합니다.
물리
2025년 5월 20일 작성 됨
Q.
도플러 효과는 어떤 현상에서 사용되며, 왜 발생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도플러효과의 경우 어떤 파동이 관측자의 상대속에 따라서 파장과 진동수가 변하면서 발생하는현상입니다. 싸이렌소리를 예로들어보면 같은 싸이렌소리라도 관측자에서 멀어지면 약하게 들리고 멀면 세게들립니다. 소리뿐만 아니라 빛도 도플러현상이 생기는데요. 적색편이 청색편이 현상이 도플러효과에 의해 발생하는것입니다
물리
2025년 5월 20일 작성 됨
Q.
왜 물질은 빛의 속도보다 더 빨라 질 수 없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10년전쯤 유럽 CERN에서 빛보다 빠른 물질을 발견했다고 한뒤 나중에는 오류가 있었다고 한적이 있습니다. 과학자들은 빛보다 빠른 물질을 찾아 끊임없이 연구중인데요. 이론적으로 볼때 빛보다 빠른 물질은 없습니다. 특수상대성이론에서 보면 물질이 빛의 속도에 가까워질수록 질량은 점점더 커져 무한대까지 갑니다. 결국 빛의 속도를 넘을수 없다는 이야기가 됩니다
물리
2025년 5월 20일 작성 됨
Q.
고층일수록 에어컨 틀어도 덜 시원한 게 맞나요?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먼저 공기가 뜨거울수록 위로올라가는 현상이 있습니다. 차가운 공기는 아래로 내려가죠 ㅎ그래서 여러층이 뻥 뚫린 회사같은경우 위층이 상대적으로 아래층보다 덥습니다
물리
2025년 5월 20일 작성 됨
Q.
뜨거운걸 잘만지면 정력이 좋단말이 있는데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뜨거운걸 잘 만진다고 정력이 좋다는 말은 처음 들어보는데요 손바닥 피부가 두껍거나 열이 많으면 뜨거운거 만져도 감각이 둔해 더 잘 만지는것이 아닐까 합니다
물리
2025년 5월 20일 작성 됨
Q.
검도 수련 시 효과적인 호흡법이 따로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모든 운동의 중요한것은 호흡이죠. 호흡이 흐트러지면 잘되던것도 안되는경우가 있는데요 검도같이 차분하고 한방한방 절제된 동작이 필요한 경우 호흡은 깊게 들이 마시고 깊게내쉬면서 평정심을 유지하다 한방 움직일경우 깊게 들이마신뒤 호흡을 멈추고 움직이는것이죠. 근력운동이나 단거리 달리기 운동처럼 힘을 낼때는 호흡을 잠시 멈춰 힘을 극대화 시켜야합니다
물리
2025년 5월 19일 작성 됨
Q.
빠르게 회전이 되면 왜 오히려 반대로 도는 것 같이 보이나요?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정방향으로 회전하던 물체가 갑자기 뒤로 가는것처럼보이는 이유는 스톱모션효과로인한 착시때문입니다. 일정속도로회전할때 프레임이 동일하면 멈춰있는것처럼 보이는데 약간의 프레임이 뒤로밀리면 앞으로 가도 뒤로도는것처럼 보입니다.
물리
2025년 5월 18일 작성 됨
Q.
시간을 되돌리거나 과거로 가는법은 없나요?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네 과거로 가는 방법은 불가능합니다. 시간이 상대적으로 흐르긴하나 무조건 앞으로만 가게됩니다. 뒤로는 갈수가 없어요
물리
2025년 5월 18일 작성 됨
Q.
최근에 mri 검사를 40분 정도 했습니다. 엄청 시끄러운데 촬영 원리가 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MRI의 경우 자기공명영상의줄임말로 강한 자기장속에서 라디오파를 보내 반향되는 자기장을 측정하여 영상으로 얻는 검사를 말합니다. 신체내에있는 수소원자의 양성자를 순간정렬시켜 마치 자석처럼 만든다음 라디오파를 보내 신체 내부에 있는수소원자핵의 자기모멘트 방향에 변화를 주어 발생하는 자기장의 방향을 측정하는 검사방법입니다
물리
2025년 5월 18일 작성 됨
Q.
자전거가 고속 주행 시 왜 자연스럽게 직선을 유지할까요?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자전거가 고속으로 주행할때 넘어지지 않고 직선을 유지하는 이유는 자이로스코프 효과 때문입니다. 바퀴가 회전하면서 회전축을 유지하려는 현상인데요. 빠를수록 이 효과는 커지는데요 이는 회전하는 물체는 각운동량을 가지는데 관성모멘트와 각속도의 곱으로 나타내집니다
6
7
8
9
1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