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
김재현 전문가
OPTICS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물리
2025년 6월 16일 작성 됨
Q.
F=ma에서 a가 0이면 F=m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F=ma에서 a 가 0이면 F=0입니다. 왜냐하면 가속도는 속도의변화를 뜻하는데 변화가 없으니 등속운동을 하는것이죠. 그러니 힘은 0이됩니다.
물리
2025년 6월 16일 작성 됨
Q.
빛은 여러가지로 활용을 하고 있는데 빛의 굴절에 따라 그 효용의 가치가 다르다고 하는데 굴절은 어떻게 나타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우리가 흔히보는 백색광은 여러가지 파장의 빛이 섞여있습니다 그래서 이 빛을 프리즘에 통과시키면 파장별로 프리즘속에서 진행하는 속도가 달라져 굴절이 일어납니다. 그래서 무지개같은 여러가지색을 볼수있죠 이런 빛을 활용하는 분야는 정말 많습니다. 빛을 한곳으로 모으는렌즈, 저 멀리있는 빛을 확대해서 보는 망원경, 특정파장만을 선택하여 활용하는 레이져등 분야는 무궁구진합니다
물리
2025년 6월 16일 작성 됨
Q.
비가오면 기압이 낮아진다는데, 어떤 원리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비가오는날은 공기중에 상대습도가 올라가게되어습도가 높아지게됩니다. 또한 주변보다 저기압인데 이유는 저기압일때 공기는 위로 상승하게됩니다. 이로인해 비구름이 만들어지고 빗방울이 떨어지게됩니다. 또한 구름으로인해 햇빛차단으로 주변이 어두워지면 시야도 더 어둡게 느껴지는것이죠
물리
2025년 6월 15일 작성 됨
Q.
비행기를 타거나 높은 산을 오를때, 그 곳에서의 기압은 높은건가요 낮은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비행기를 타고 높은곳으로 가게되면 기압이 낮아집니다. 또한 높은산에 오르면 기압이 낮아집니다. 우리가 살고있는 지상은 1기압인데 1000km 높이로 쌓인 공기가 누르는 힘을 말합니다. 그래서 높은곳에 올라가면 기압이 낮아지게 되는것이죠
물리
2025년 6월 14일 작성 됨
Q.
무한동력은 아예 가능성이 없는 이론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무한동력은 불가능한 이론입니다. 유튜브나 블로그등 무한동력이야기가많은데 전부 실현불가능해요. 열역학제2법칙으로 생각해봐도 엔트로피는 항상 증가합니다 반대로 갈수가 없습니다.
물리
2025년 6월 12일 작성 됨
Q.
시계는 모두 정확한 초단위로 움직이는데 신기할 정도입니다. 이렇듯 시계별로 초단위로 정확하게 움직이는 원리는 어떤 원리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시중에 판매되는 전자시계의 경우 대부분이Quartz시계 입니다. 석영에 전압을가하면 일정한주기로 진동을 하게되는데 이걸 IC칩이 1초를 계산해서 모터를 움직이게 하는 원리입니다.
물리
2025년 6월 12일 작성 됨
Q.
토크와 모멘트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먼저 모멘트와 토크의 물리량을 같습니다. 하지만 의미가 다릅니다. 모멘트와 토크의 사전적 정의를 보면 모멘트는 물체를 회전시키려고 하는 힘의 작용, 토크는 물체에 작용하여 물체를 회전시키는 원인이 되는 물리량입니다. 의미가 같으면서도 다른듯한데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모멘트는 어떤 축에대해 회전을 유발하는 물리력을 말하는 것이고 토크는 회전력이 회전 중심에 작용하는 것입니다. 예로는 막대기의 끝을 손으로 밀면 회전이 생기는데 이때 토크라 안하고 관성모멘트라고 합니다. 반면 자동차 엔진의 경우 실제로 연료를 연소시켜 엔진을 돌리기 때문에 토크라고 합니다
물리
2025년 6월 12일 작성 됨
Q.
사교육의 도움 없이 독학으로 수학 공식 문제를 잘 풀이해 나가는 방법?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사교육 없이 얼마든지 수학을 잘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수학 문제 풀때는 센스가 가장 중요합니다. 물론 창의적 사고도 중요합니다. 최적의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해야 하기에 어떤 공식을 어떻게 사용 할 지가 가장 중요하죠. 따라서 문제를 많이 풀어봐서 다양한 형식의 문제를 접해보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물리
2025년 6월 12일 작성 됨
Q.
부력을 표기 할때 어떻게 표시하는지 궁금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부력을 표기할때도 N(뉴턴)으로 표기합니다. 중력과 동일한 힘의 단위를 사용하죠~ 세부적으로 비교해 보면 중력은 F = mg이므로 kg*m/s^2 입니다. 부력의 경우 F = ρ*V*g 이므로 kg/m^3 m/s^2* m^3 = kg*m/s^2 입니다. 동일한 단위죠^^
물리
2025년 6월 12일 작성 됨
Q.
진동의 속도는 어느정도나 되는지 궁금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진동이라함은 소리의 진동을 얘기하시는건가요? 상온에서 공기의 진동속도는 약 343m/s입니다. 그리고 매질에 따라 온도에 따라 진동의 속도는 다릅니다. 고체상태인 강철에서의 속도는 5000m/s되고 액체상태인 물에서의 속도는 약 1480m/s됩니다.
1
2
3
4
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