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생명공학 전문가 감마입니다.

안녕하세요 생명공학 전문가 감마입니다.

이성현 전문가
전북대학교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정전기가 발생하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성현 과학전문가입니다.정전기가 발생하는 원리는 간단하다. 일반적으로 물체는 같은 양의 양(+)전하와 음(-)전하를 가지고 있어 전기적으로는 중성이다. 하지만 두 물체가 서로 접촉하거나 분리하게 되면 그 경계면에 전하의 이동이 생겨서 각각의 물체에 같은 양의 과잉 양전하와 과잉 음전하, 즉 정전기가 발생하게 된다.정전기 발생은 습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겨울철에는 습도가 낮아 정전기 많이 발생하게 된다. 정전기는 날씨가 건조해지는 환절기나 겨울철에 기승을 부리는데, 습도가 10~20%인 건조한 날에는 정전기가 공기속의 수분에 흡수되지 못하고 그대로 남아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습도가 60% 이상인 여름철에는 정전기가 대부분 물기를 통해 공기로 빠져 나가 정전기 발생이 줄어든다.물론 정전기 발생을 줄일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이 있다. 앞에서도 말한 것처럼 습도가 높으면 정전기 발생을 줄일 수 있다고 얘기한 것처럼 우선 실내습도를 높여주면 도움이 된다.대기의 상대습도가 60% 이상이 되면 정전기가 남아 있지 않지만 30% 이하면 정전기가 많이 쌓이기 때문이다. 실내에 가습기를 틀어 놓거나 젖은 빨래를 널어놓으면 좋다. 거실에 화분이나 수족관, 미니분수대를 만들어 놓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메타버스가 무엇인가요? 미래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성현 과학전문가입니다.초월(beyond), 가상을 의미하는 meta와 세계를 의미하는 universe의 합성어로, 1992년 출간된 소설 '스노 크래시' 속 가상 세계 명칭인 '메타버스'에서 유래한다.요약하면 현실을 디지털 세상으로 확장시키는 것. 쉽게 말해서 가상세계 속에서 정치, 경제, 사회, 문화 활동을 할 수 있게 만드는 시스템이다.가상현실, 증강현실 등 하위 개념이 있다.메타버스는 멀지않은 미래의 일상일 것 입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방구는 화학반응인데 참으면 문제가 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성현 과학전문가입니다.참은 방귀는 혈액으로 흡수돼 호흡, 피부로 배출되기도 하지만 일부는 장 안에 머물고, 방귀를 참는 게 습관으로 굳어지면 대장에 유해 가스가 쌓이게 됩니다. 가스가 축적되면 장이 부풀어 오르면서 복통과 복부팽만감이 유발되고, 대장 운동 기능이 저하되면서 변비까지 생길 수 있습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술 마시면 얼굴이 빨개지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성현 과학전문가입니다.술을 마시고 얼굴이 어느 정도 붉어지는 건 정상적인 반응이다. 온몸의 혈관이 일시적으로 확장돼 얼굴에도 혈액이 몰리기 때문이다.하지만, 일반인에 비해 심하게 빨게지는 사람은 체내에서 알코올을 분해하는 효소가 적기 때문이므로 음주를 조절하는 것이 좋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해바라기가 해를 향해 움직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성현 과학전문가입니다.꽃이 피기 전까지 해바라기가 왜 해를 쫓아다니는지에 대한 이유는 미국 캘리포니아대학 연구진이 2016년 8월 ‘사이언스’지에 발표한 연구결과에서 밝혀졌다. 연구진은 해가 뜨기 직전에 해바라기가 심어진 화분의 방향을 180도 돌려 줄기 끝이 서쪽으로 향하게 했다.실험 결과 그렇게 성장한 해바라기는 식물체 무게가 덜 나갔고 잎의 면적도 작았다. 즉, 해바라기가 해를 쫓아다니는 것은 빛을 최대한 받아 광합성 효율을 높임으로써 생장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였다. 줄기의 축이 해를 향해야 수직 방향으로 달리는 잎이 더 많은 햇빛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연구진은 LED 조명을 이용해 계속해서 동쪽 방향에서만 빛을 비춰주는 실험도 진행했다. 그런데 해바라기는 태양이 질 무렵이면 어김없이 서쪽으로 줄기 끝을 돌려버렸다. 해바라기를 움직이게 하는 것은 빛이 아니라는 뜻이다.연구진은 추가 실험을 진행해 해바라기를 움직이게 하는 것은 식물체에 내재된 일주기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즉, 24시간 일주기의 리듬에 따라 식물성장호르몬인 옥신의 농도를 조절함으로써 밤에는 줄기를 동쪽으로 향하게 하고 낮에는 점차 서쪽으로 향하게 하는 것이다.그런데 성장하는 동안 해바라기의 줄기 끝은 점점 동쪽으로 향하면서 성장이 끝나고 꽃이 필 무렵엔 완전히 동쪽을 향해 굳어진다. 더 이상 해바라기가 아닌 동쪽 바라기가 되는 셈이다. 여기에도 이유가 있었다.
15115215315415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