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전기자동차 전기생성 베터리 충전
안녕하세요. 이성현 과학전문가입니다.최근 모빌리티 시장의 화두는 단연코 친환경입니다. 화석연료를 활용하는 동력장치에서 전기적 동력장치로의 전환이 빠르게 진행 중이죠. 이 과정에서 환경을 넘어 효율까지 잡는 ‘회생제동’ 기술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이번 기사에서는 회생 제동이 무엇이고,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자동차에 적용되는 제동방식 대부분은 마찰식 브레이크입니다. 마찰식 브레이크란, 마찰력을 이용해 운동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바꾸어 속도를 줄이는 원리인데요. 회생제동은, 마찰로 소모되는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배터리에 저장하면서 회전 속도를 줄이는 방식입니다. 전기 공급 시 모터가 회전하고, 회전운동 시 전기가 발생한다고 생각하면 이해하기가 쉬운데요. 평상시에 충전된 전기를 이용해 회전하면서 모터를 구동하지만, 속도를 줄이고자 할 때는 돌고 있는 모터의 회전으로 전기를 충전하는 것이 회생제동입니다.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이 원리는 무엇일까요? 모터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회전체와 회전체를 움직이는 고정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모터가 운전할 때, 회전체는 돌면서 운동에너지를 만들어죠. 속도를 줄이기 위해 모터의 전류를 차단하면 모터와 연결된 바퀴의 운동에너지가 모터를 구동합니다. 이 운동에너지를 전기로 바꾸기 위해 바깥의 고정체에 전류를 흘려주면 고정체가 자성을 띄게 되면서 회전체와 고정체 사이에 전류가 발생하죠. 이 과정을 통해 바퀴의 운동에너지는 전기에너지로 전환되는 것입니다!출처: https://blog.kepco.co.kr/1943 [한국전력 블로그 굿모닝 KEPC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