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생명공학 전문가 감마입니다.
안녕하세요 생명공학 전문가 감마입니다.
이성현 전문가
전북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생물·생명
2022년 1월 12일 작성 됨
Q.
동물의 시력은 어떻게 측정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성현 과학전문가입니다.어떠한 사물을 보게되면 의지와는 상관없이 뇌파가 발생됩니다.이러한 뇌파의 변화를 측정하고 계산함으로써 동물들의 시력을 쉽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1월 11일 작성 됨
Q.
온실현상에 의해 지구의 평균온도는 얼마까지 높아질까요?
안녕하세요. 이성현 과학전문가입니다.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지구의 온도가 올라가고 있으며, 2035년의 경우 약 1.5도가 상승될 것으로 추정됩니다.이 온도의 상승으로 해수 내 생태계가 완전히 변화하고 빙하가 매우 많이 녹아 해수면 상승이 우려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1월 11일 작성 됨
Q.
비행기 기내는 왜 춥게 느껴질까요?
안녕하세요. 이성현 과학전문가입니다.객실 온도는 섭씨 24도(화씨 75도)! 그런데 왜 추울까요? 항공사 측은 “여객기 실내 온도는 대부분 24도에 맞추려 한다”고 설명한다. 많은 사람이 선호하는 기온이라는 이유다. 상황에 따라 1도에서 2도 정도 오르락내리락할 수는 있지만 24도가 기준이라는 뜻이다. 사람에 따라 다르겠지만 24도라면 춥다고 느낄 정도는 아니다.원인은 습도에 있다. 보통 비행기 내부 습도는 10% 정도라고 한다. 통상적인 온도 24도를 기준으로 한 실내 적정 습도는 40~50% 정도다. 기내 공기에 수분이 매우 부족한 것이다.게다가 사막의 평균 습도가 약 15~30% 정도라는 걸 생각해보면 비행기 내부는 사막보다도 건조한 상태다. 건조한 날에 상대적으로 시원함을 느끼듯, 습도가 낮기 때문에 더 쌀쌀함을 느낄 수밖에 없다는 게 항공사 설명이다.비행기 안에서 한숨 자고 일어났을 때 목과 코가 건조하다거나 피부가 팽팽히 당겨지는 느낌 역시 낮은 습도 탓이라고 보면 된다. 가습기라도 설치해서 틀어주면 되는 것 아니냐고 생각할 수 있겠다. 하지만 비행기 안에 가습기를 틀고 다닐 만큼 대량의 물을 싣고 다니는 건 결코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 물의 무게만큼 비행기가 무거워지고, 무거우면 그만큼 연료가 더 많이 필요하다. 당연히 항공 비용은 비싸질 수밖에 없다. 게다가 높은 습도는 항공기 부식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기계공학
2022년 1월 11일 작성 됨
Q.
비행기에서는 왜 귀가 먹먹한가요?
안녕하세요. 이성현 과학전문가입니다.귀가 먹먹하고 답답한 느낌을 귀 충만감이라고 하며 주로 비행기를 탔을 때 경험한다. 이를 '항공성 중이염'이라고 하는 데, 갑작스러운 기압 변화에 귀 안쪽과 바깥쪽의 기압이 같도록 유지하는 이관이 압력 조절을 제대로 하지 못해 발생한다
화학
2022년 1월 11일 작성 됨
Q.
불은 기체, 액체, 고체, 플라즈마 중 어느 범주에 들어가나요?
안녕하세요. 이성현 과학전문가입니다.불은 열에너지 즉 에너지입니다.위 어떠한 범주에도 포함될 수 없습니다.불이 연기가 나는 것은 불이 붙은 대상이 연소됨에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불은 연기를 내지 않습니다.
196
197
198
199
20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