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알루미늄의 경우 어떤식으로 재활용을 해서 다시쓰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알루미늄 캔은 보통 분리수거 되서 재활용 센터로 운반되고, 자석을 이용해 철의 성분들은 제거하고 알루미늄만을 남깁니다. 이후 이를 압축하여 큐브형태로 만들고, 세척, 분쇄 후 용융을 시킵니다.이후 틀에 다양한 모양으로 주조를 진행한 후, 압연 가공 공정을 통해 넓은 시트로 제작 이를 제품화 하기위해 다시 만들어지는 과정을 거칩니다.
Q. 교통카드의 원리가 궁금합니다. 교통카드 안에 칩같은게 내장되어 있나요 ?
안녕하세요. 교통카드의 경우는 RFID 기수을 사용한 비접촉식 스마트카드입니다. 교통카드를 리더기에 가까이 가져가면 RF 신호가 방출되는데, 카드 내부의 안테나가 이 신호를 수신하고, RFID 칩에 에너지를 공급합니다. 이후 칩이 활성화 되면, 카드의 고유 ID와 결제에 필요한 정보를 리더기로 전송하고, 서버는 사용자의 잔액이나 요금 정보를 확인한 후, 승인이 되면 해당 금액을 차감, 사용내역을 업데이트 하는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Q. LTPO, LTPS OLED 무슨 차이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LTPO OLED와 LTPS OLED는 OLED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백플레인 기술의 차이로, 전력 효율성 및 성능 면에서 차이가 납니다. LTPS는 저온 폴리실리콘을 의미하고, LTPO의 경우는 저온 폴리실리콘과 산화물을 결합한 기술입니다. 전력 효율성 면에서는 LTPO OLED가 가변 주사율을 통해 전력 소모를 더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배터리 수명을 연장하는데 유리합니다. 다만 제조공정이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높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Q. 현재의 리튬 배터리에서 열폭주를 막고 안정정이 개선될 수 있는 기술에는 무엇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현재 차량용 배터리와 관련된 화재 사건으로 많은 분들이 불안감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선 전고체 배터리의 경우 안전성 면에서는 현재의 리튬이온전지에 비해 월등하지만, 현재 리튬이온배터리가 가지고 있는 에너지밀도나 여러 효율적인 면에서는 아직 많은 개선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따라서 현재의 리튬이온전지의 안전성 개선을 위한 기술들은 전해질에 첨가제를 넣어 전해질의 분해를 막고 고온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하게 하는 방법과, 고온에서도 안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전국 재료,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방열 재료 적용 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