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박재화 전문가
AMES Micron
재료공학
재료공학 이미지
Q.  유리를 투명하지 않게 만들수도 있나요??
안녕하세요.유리를 불투명하게 만드는 방법은 매끈한 표면에 미세한 스크레치들을 만드는 방법과 내부에 결정질 핵을 생성시켜, 빛을 산란 시키는 방법등이 있습니다.또한 질문주신 밖에서는 안이 않보이고 안에서는 밖이 보이는 유리의 경우 반사유리로, 유리 표면에 아주 얇게 금속을 코팅하여, 빛을 반사시킴으로써 보이지 않게 만드는 방법이 있습니다.감사합니다.
재료공학
재료공학 이미지
Q.  인체에 해가 되지 않는 금속은 어떤것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인체에 무해한 금속에 대한 답변으로는 티타늄이나 금, 은 등과같은 금속들이 있고, 이는 인체와의 반응성이 거의 없거나 아예 없는 금속들입니다. 또한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금속도 특정 grade에서는 인체에 무해하여, 실제로 수술용 도구에 주로 사용되고, 생체재료로 사용되는 금속들이 대부분 무해한 금속으로 보면 될 것 같습니다.감사합니다.
재료공학
재료공학 이미지
Q.  탄소 나노 튜브는 실생활에서 이용되고 있나요??
안녕하세요.CNT(Carbon Nano Tube)는 단어에서 알 수 있듯 탄소 나노 튜브로, 우수항 특성들을 발현합니다.대표적 사용처로는 투명전극이나, 배터리, 여러 카본관련 복합재에 사용됩니다.감사합니다.
재료공학
재료공학 이미지
Q.  스마트폰 액정 안깨지는 소재는 없나요??
안녕하세요.깨지지 않는 소재는 없을 것으로 사료됩니다.다만, 내구성을 높여 깨지는 빈도를 높이는 형태로 많은 연구가 되어지고 있으며, 대표적으로는 고릴라 글래스로 화학적으로 강화된 유리입니다. 또한 사파이어 단결정을 활용한 재료로, 사파이어의 경우 모스경도가 9로 상당히 경도가 높은 소재입니다.감사합니다.
재료공학
재료공학 이미지
Q.  강화유리는 깨어지지않는 유리인가요?
안녕하세요.강화유리는 말 그대로 강화된 유리이며, 강화시키는 메커니즘은 화학적인 방법 또는 물리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제작되게 됩니다. 화학적인 방법의 경우 이온의 크기차를 이용하여 응력을 발생시키는 방법이고, 물리적인 방법의 경우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를 주어 응력을 발생시키게 됩니다.대표적인 사용처로는 자동차 유리나 휴대폰 등이 있습니다.감사합니다.
재료공학
재료공학 이미지
Q.  연필심에 있는 흑연은 천연자원중 하나로 봐도 될까요?
안녕하세요.연필심은 흑연(graphite)로 층상 구조로 되어있어, 힘을주어 종이에 문지르면 흑연층과 층사이가 분리되어 글씨가 써집니다. 연필심은 흑연과 점토가 특정 비율로 배합된 형태이며, 이때 사용되는 흑연은 천연자원의 형태로 채굴되어 정제과정을 거친 후 사용되게 됩니다.감사합니다.
재료공학
재료공학 이미지
Q.  자동차 방탄유리의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방탄유리는 일반적으로 여러층으로 강화유리, 투명 플라스틱 등을 번갈아 결합한 형태입니다.강화유리는 일반유리와 달리 유리에 화학적 또는 물리적인 방법으로 인위적인 응력을 주어 제작하게 되며, 이는 파손 시 파편이 날카롭지 않게 부서지도록 합니다. 또한 강화유리 사이에 플라스틱 층을 두어 충격 에너지를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게됩니다.감사합니다.
재료공학
재료공학 이미지
Q.  인공 지능이 인간의 창의성을 어떻게 영향을 미칠까요?
안녕하세요.최근 인공지능의 기술은 산업 전반에 걸쳐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습니다. 실제로 인공지능은 인간을 대체하는 여러 분야에 적용되고 있으며, 스스로의 학습 등을 통해서 점차 발전해 가고 있습니다. 이를 하나의 도구로써 활용할 경우 새로운 아이디어나, 인간의 능력에 의존하던 것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으나, 지나치게 인공지능에 의존하게 되어 인간의 창의성이 인공지능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는 문제점도 있을 것 같습니다.감사합니다.
재료공학
재료공학 이미지
Q.  플라스틱이 전등에 색이 바래질 수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전등으로 인한 플라스틱의 색상이 바래지는 현상은 열로 인한 변색이 아닐까 생각됩니다.전등을 장시간 켜놓게 되면, 이곳에서 열이 발생하고, 이는 플라스틱의 분자구조를 변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색상이 바래지는 현상이 발생했을 것으로 사료됩니다.감사합니다.
재료공학
재료공학 이미지
Q.  천연흑연보다 인조흑연이 왜 더비싼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음극재로 쓰이는 흑연의 경우 고순도를 필요로 하며, 고순도 인조 흑연의 경우 배터리의 전기 전도성 향상, 충전속도 및 전력 저장용량 등을 향상 시킬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즉, 천연흑연에 비해 인조흑연으로 제조할 경우 고순도 생산이 가능하여, 생산되는 흑연이 일관된 특성을 가져 신뢰성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감사합니다.
53153253353453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