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권준구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권준구 전문가입니다.
권준구 전문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산부인과
2021년 8월 27일 작성 됨
Q.
코로나 백신과 임신 준비에 큰 상관관계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권준구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임신부 또는 모유수유부의 COVID-19 백신 접종 (cdc.gov)국내에서는 아직 가이드라인이 없습니다. 그러나 미국에서는 임산부의 경우 고위험군으로 보고 우선 접종을 실시 하고 있습니다. 국내는 좀 더 기다려 보아야 하겠습니다.임신 준비 중이라면 임신 전에 접종 하시는 것이 더 나아 보입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1년 8월 27일 작성 됨
Q.
백신 접종후 효과는 얼마기간 지속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권준구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사람마다 다르지만 화이자 백신의 경우 6개월 뒤 효과가 84%정도로 감소 합니다. 때문에 6개월이 지난 시점쯤에 부스터샷을 맞는 것으로 미국에서는 임상을 진행 중에 있습니다.
내과
2021년 8월 27일 작성 됨
Q.
백신접종후 약 복용 관련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권준구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아세트아미노펜 계열 약물이면 아무 종류나 상관 없습니다. 소염진통제의 경우 면역 형성에 방해가 될 수 있으므로 추천 드리지 않습니다.아세트아미노펜 단일 약물은 아래와 같습니다.
내과
2021년 8월 27일 작성 됨
Q.
혈압이 높아 고혈압 약물 복용중인데 백신을 맞기위해 약을 중단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권준구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코로나 백신을 접종 하더라도 평소에 지병이나 만성 질환으로 복용 중이던 약물을 지속적으로 복용 하기를 권고 하고 있습니다.고혈압 환자의 경우 접종 당일 부터 이후 까지 지속적으로 약을 복용 하셔야 합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1년 8월 27일 작성 됨
Q.
코로나19 접종예방 맞은 후 건강기능식품 먹어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권준구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코로나 백신을 접종 하더라도 평소에 지병이나 만성 질환으로 복용 중이던 약물을 지속적으로 복용 하기를 권고 하고 있습니다.영양제의 경우 큰 문제 없이 지속적으로 복용이 가능합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1년 8월 27일 작성 됨
Q.
화이자 백신맞고 술을 계속먹게됐는데 그래도 항체가 생기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권준구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음주를 삼가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만 금기는 아니며, 면역 형성에 큰 영향은 없을 것입니다만 신체적으로 컨디션이 안좋고 회복에 오래 걸릴 수 있습니다.접종 후 이틀 정도는 무리하지 않도록 권고 하고 있기 때문에 3일째 정도부터 일상생활을 시작 하시면 됩니다.운동이나 음주 같은 일상생활은 접종 후 3일 째부터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1년 8월 27일 작성 됨
Q.
백신접종 의 궁금함 당뇨환자입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권준구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기저질환자의 경우 만약에 코로나19 감염이 되었을 때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그에 비해 접종은 가볍게 불편하고 지나가기 때문에 접종을 하는 것이 이익이 훨씬 큽니다.어떤 치료약이건 백신이건 다 부작용이 A4용지 몇바닥이 될 정도로 나와 있습니다. 그럼에도 치료적인 이익이 크다면 위험을 어느정도는 무릅쓰고 쓰는 것이 맞겠지요. 어떤 치료 건 이익과 손해를 따지게 됩니다.현재 몇몇 부작용이 나오고는 있지만 다른 백신과 비교 했을 때 매우 심각한 수준으로 보기는 어렵습니다.현재 의료진들도 대부분 접종을 한 상태이며 접종후에도 일상생활 및 진료활동을 잘 하고 있습니다. 워낙 관심도가 높다보니 불안감이 가중되는 부분이 있는 것 같습니다. 독감백신도 발열 부작용이 다수 발생하며, 예방 효과에 대해서도 의문을 가지는 사람도 많지만 그럼에도 예방효과가 있다는 것이 정설입니다. 코로나도 여러 논란에도 불구하고 손해보다 이익이 크니 맞는 것이 좋겠습니다.현재 코로나 접종 금기사항을 알려드립니다.(화이자, 모더나) polyethylene glycol(PEG) 또는 관련 성분(molecules)에 중증 알레르기 반응 발생 이력이 있는 경우 접종 금기대상에 포함(아스트라제네카, 얀센) polysorbate에 중증 알레르기 반응 발생 이력이 있는 경우 접종 금기대상에 포함* PEG와 polysorbate는 구조적으로 관련되어 있어 교차과민 반응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의 필요
내과
2021년 8월 27일 작성 됨
Q.
고위험군 백신 접종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권준구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심장병 환자의 코로나19 백신 접종에 대한 대한심장학회의 공식 의견 : 네이버 포스트 (naver.com)심장질환을 가진 환자들의 경우 접종을 하는 것이 낫다는 학회의 권고가 있으니 참고 하시면 되겠습니다.
이비인후과
2021년 8월 27일 작성 됨
Q.
코로나19 아스트라제네카 접종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권준구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별다른 부작용 없이 지나가는 것이 가장 좋은 것입니다.발열이나 전신통 등의 부작용이 있다고 해서면역이 꼭 좋다고 표현하기는 어렵습니다.오히려 민감하다 과민하다고 표현 할 수 있겠습니다.음식물이나 어떤 항원에 과민반응으로 알러지나 두드러기가 생기듯이.체내로 들어온 백신에 과도하게 면역 반응이 일어 남으로서 발열과 근육통이 생기는 것이라고 생각 하시면 됩니다.
내과
2021년 8월 27일 작성 됨
Q.
화이자 2차 부작용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권준구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화이자나 모더나 백신 접종 시 2차 접종시에 조금 더 발열이나 전신통 등의 부작용이 더 자주 발생 합니다. 그러나 1차에서 이런 부작용이 나타나는 경우에 이전에 무증상 감염이 모르는 사이에 있었던 경우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그래서 1차 때 부터 2차처럼 부작용이 나타난 경우일 수 있다는 것이지요.
326
327
328
329
33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