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권준구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권준구 전문가입니다.
권준구 전문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1년 9월 10일 작성 됨
Q.
9월6일 모더나1차를 맞았습니다 월요일이네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권준구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코비드 arm 이라고 하는 부작용의 일종이라고 생각 하시면 되겠습니다. 의외로 접종 후 일주일 정도 지나거나 2주 지나서도 나타나기도 합니다. 진통제에 반응을 잘 하지 않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럼에도 일주일 정도 안에 저절로 호전되는 양상을 보입니다.항히스타민제와 아세트아미노펜이 도움이 되며 냉찜질도 도움이 됩니다.
2021년 9월 10일 작성 됨
Q.
코로나 잠복기 음성에서 양성으로?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권준구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가능합니다. 잠복기라는 것은 아직 검사결과로 검출 되지 않을 정도이지만 체내에서 바이러스가 있는 상태로 시간이 지나서 증식하게 되면서 양성이 나오고 증상이 나올 수 있습니다.
2021년 9월 10일 작성 됨
Q.
코로나 감염시 증상은 어떤게 있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권준구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가장 흔한 증상은 상기도 감염 증상입니다. 감기 증세와 비슷한 경우가 많습니다. 심한 경우 폐렴을 일으킬 수 있고요. 발열과 전신 근육통도 주요한 증상 중 하나입니다.코로나19 바이러스는 상기도를 침범하기 때문에 코의 후각을 느끼는 수용기를 침범하여 파괴할 수 있습니다.이로 인해서 후각상실 및 미각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 할 수 있습니다.코로나는 향후 독감을 일으키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와 비슷하게 될 것 같습니다.인플루엔자 바이러스도 종류가 200가지 정도 됩니다. 우리는 그 중 매해 유행 할 것 같은 4개 정도의 형태에 대해서 집단 면역을 형성하고 대응 하지만 매해 엄청나게 많은 수의 독감 환자가 발생합니다.코로나바이러스도 이미 예전부터 대표적인 감기 바이러스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이번에 유행하는 covid19라는 코로나바이러스는 전염성과 치사율이 높은 것이 문제입니다. 그럼에도 적절하게 집단면역을 획득하면 독감보다 낮은 발생율을 보이게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그리고 이 질병을 두려워 했던 것은 사실 불확실성 때문 이었습니다. 현재는 통제하에 있고, 불확실성이 많이 제거 된 상태입니다. 제 생각에는 독감 예방접종처럼, 연례 행사로 코로나 예방접종을 하게 되겠지만 지금처럼 사회가 통제되는 수준으로 다시 가는 경우는 매우 드물 것 입니다.
2021년 9월 10일 작성 됨
Q.
이 알코올도 코로나 소독에 도움이 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권준구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네 알코올에 의해 바이러스가 사멸 됩니다. 그렇지만 비누로 손을 자주 씻는 것이 더 효과적인 방법이므로 손씻기와 알코올 소독을 함께 병행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알코올 농도가 83%정도 되나 보네요. 효과가 있어 보입니다.
2021년 9월 10일 작성 됨
Q.
백신을 평생 맞으면서 인생을 살아야 합니까? 끔찍하네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권준구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평생 맞아야 할지 몇차례로 영구 면역이 될 지 알수는 없습니다. 좀 더 연구가 필요합니다.코로나는 향후 독감을 일으키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와 비슷하게 될 것 같습니다.인플루엔자 바이러스도 종류가 200가지 정도 됩니다. 우리는 그 중 매해 유행 할 것 같은 4개 정도의 형태에 대해서 집단 면역을 형성하고 대응 하지만 매해 엄청나게 많은 수의 독감 환자가 발생합니다.코로나바이러스도 이미 예전부터 대표적인 감기 바이러스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이번에 유행하는 covid19라는 코로나바이러스는 전염성과 치사율이 높은 것이 문제입니다. 그럼에도 적절하게 집단면역을 획득하면 독감보다 낮은 발생율을 보이게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그리고 이 질병을 두려워 했던 것은 사실 불확실성 때문 이었습니다. 현재는 통제하에 있고, 불확실성이 많이 제거 된 상태입니다. 제 생각에는 독감 예방접종처럼, 연례 행사로 코로나 예방접종을 하게 되겠지만 지금처럼 사회가 통제되는 수준으로 다시 가는 경우는 매우 드물 것 입니다.
416
417
418
419
42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