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성심껏 답변 드릴 김경렬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성심껏 답변 드릴 김경렬 전문가입니다.

김경렬 전문가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건조기는 도대체 어떤 원리로 작동하나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건조기는 다음과 같은 원리로 작동합니다.1. 공기 공급: 건조기 내부에 공기를 공급합니다.2. 가열: 공급된 공기가 가열로로 들어가 열을 발생시킵니다. 이때, 일반적으로 가스나 전기를 이용해 열을 발생시킵니다.3. 회전: 의류 등이 들어있는 드럼을 빠르게 회전시킵니다.4. 공기 순환: 가열된 공기가 드럼 안의 의류를 통해 순환하면서 의류에 담긴 물기를 제거합니다.5. 냉각: 공기가 의류를 통과한 후, 냉각 시스템을 통해 다시 공급되기 전에 물기를 제거합니다.6. 공기 배출: 건조가 끝나면 사용된 공기는 배출되며, 이후 건조된 의류는 뽑아낼 준비가 됩니다건조기의 작동 원리는 가열과 드럼 회전, 공기 순환, 냉각 및 공기 배출 등 다양한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해기둥은 어떻게 나타나는 현상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얼음알갱이에 의한 빛의 반사에 기인하여 나타나는 대기광학현상을 말합니다.만약 판상의 결정들이 수평적으로 대충 일직선상에 정렬되어 있다면 결정면의 윗면과 아랫면에서 이루어지는 반사는 마치 태양을 늘어놓은 것 같은 해기둥을 연출합니다.태양 광선들이 지면에 반사되어 반짝거리는 때인 일출과 일몰 무렵에 특히 잘 형성됩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빨리 돌아가는 선풍기 날개를 보고 있으면 반대로 돌아가는 것처럼 보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시신경이 감지하는 프레임 속도보다 선풍기 날개의 회전속도가 약간 느리다->시신경이 흥분하여 뉴런을 타고 맥동하는 매 순간마다 선풍기 날개는 약간 뒤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사실은 한바퀴를 조금 덜 돌았을 뿐이다-> 뇌는 이 프레임을 종합하여 선풍기 날개가 거꾸로 돈다고 판단합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전기 뱀장어의 전기 발생 원리를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전기뱀장어는 자기가 위협을 느끼게 되면 높은 전압과 전류 방전합니다.전기뱀장어는 몸 후반부(꼬리부분)의 양 옆구리에 2개씩의 발전기관이 있으며 위협을 느끼면 꼬리 근육이 전기를 만드는 전극판 역할을 하여 전기를 발생시킵니다 전압은 약 850V 정도이며 이 정도 전압이면 사람뿐만 아니라 말과 같은 큰 동물도 감전이 되어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상무지개가 뜨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햇빛은 공기와 물을 통과하는 순간 여러가지 색깔로 휘어지고 이로 인해 나타나는 반원 모양을 무지개라고 합니다.일반적으로 우리가 보는 무지개는 빛이 물방울 속에서 딱 한 번 반사되어 나타나는 것이고, 쌍무지개는 물방울 속에서 빛이 두번 반사될때 나타나요.쌍무지개는 안쪽부터 바깥쪽이 빨간색 ~ 보라색으로 일반적인 무지개와는 반대의 색깔로 나타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동전은 무엇으로 만드는지 알고 싶어요. 어떤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주화의 소재로 1원화는 100% 알루미늄, 5원화 및 10원화는 황동(구리 65%, 아연 35%), 50원화는 양백(구리 70%, 아연 18%, 니켈 12%), 100원화 및 500원화는 백동(구리 75%, 니켈 25%)을 소재로 제조되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소주병의 색깔 이 왜 초록색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포장용기의 기능은 화려함과 내용물 보호라는 두 가지 차원으로 나눌수 있는데 술은 내부에 알콜이라는 화학물질이 들어 있습니다.따라서 일광(햇빛)이 직접 내리쬐는 경우를 가장하여 보존성 실험을 하는데 소주는 초록빛 대에서 보관조건이 가장 이상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물리
물리 이미지
Q.  일상에서 만유인력법칙이 작용되는 현상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일상 생활의 만유인력 이라면 대부분 중력밖에 없을것 같네요우리가 사는 곳이 지구이기 때문에 대부분 그런건데요우리가 지표에 붙어서 다니는것, 공을 위로 던져도 다시 땅으로 떨어지는것 등 모든 중력으로 발생되는게 일상생활의 만유인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파리는 왜 자기 몸을 비비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파리는 내려앉아서 다리를 비빕니다. 이처럼 파리가 다리를 서로 비비는 이유는 다리에 붙은 물질을 비벼서 털어 내어 날개나 복부를 깨끗이 하려는 것입니다.
물리
물리 이미지
Q.  질량과 무게의 차이는 무엇인건가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질량은 만유인력의 원인이 되는 것입니다. 또 물체가 힘을 받으면 그 물체의 질량은 물체의 관성의 정도를 알려주지요.무게는 지상에서 물체를 지구가 잡아당기는 힘(중력)의 크기를 말합니다.질량의 단위는 kg 이고 무게의 단위는 N 인데 1 N 이란 질량이 1 kg 인 물체가 1 m/s^2 의 가속도를 내게 만드는 힘에 해당합니다. 즉 1 N = 1 kg m/s^2 이지요.질량을 직접 측정하는 방법은 없습니다. 만유인력 법칙을 이용하여 중력을 측정한 다음에 질량을 계산해서 알아내거나 뉴턴의 운동법칙을 이용하여 물체에 작용하는 힘과 가속도를 측정하여 계산해서 알아냅니다.지상에서 질량 m 인 물체를 질량이 M 인 지구가 잡아당기는 만유인력은 F = G Mm/R^2 = m (GM/R^2)이라고 쓸 수 있는데, 여기서 만유인력 상수 G와 지구 질량 M 그리고 지구 반지름 R로 계산한GM/R^2 = 9.797 m/s^2으로 바로 중력가속도와 같습니다. 그래서 저울로 물체의 무게를 측정한다음 중력가속도로 나눈 것이 바로 질량입니다.
10110210310410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