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성심껏 답변 드릴 김경렬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성심껏 답변 드릴 김경렬 전문가입니다.

김경렬 전문가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펭귄이 남극에만 살고 북극에는 살지 않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펭귄은 남극 부근에서만 사는 새입니다.원래 추운곳을 좋아하는 새이기때문에 더운 적도를 건너서 북극까지 영역을 확장할수 없었던 것입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거울 만드는 원리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일반 유리에다 금속을 입히니다.금속은 증착기에 유리를 올려 놓고 금속을 녹여 증기상태로 만들고 이 증기가 유리에 달라 붙어 얇은 막 (보통 수백 나노미터)을 형성합니다. 그러나 이 막은 손으로 세게 문질러도 벗겨질만큼 접착력이 좋지 못하기 때문에 금속 박막 위에 페인트를 칠합니다.금속은 보통 녹는점도 낮고 값도 비교적 싼 알루미늄을 이용합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고등어 같은 등푸른 생선을 보존하기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등 푸른 생선을 상온에서 하루만 방치해도 식중독을 일으키는 히스타민이 생성될 수 있고, 한 번 생성된 히스타민은 가열 조리에도 파괴되지 않기때문에 보존이 어렵습니다.
물리
물리 이미지
Q.  물수제비의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고체의 경우 분자 간의 결합이 단단하고 액체는 분자 간의 결합이 고체보다는 느슨하다고 합니다.그래서 고체인 돌과액체인 물이 만나게 되면 고체가 액체를 파고드는 것이대표적이라고 하는데요.그러나 납작한 돌을비스듬하게 던지게 되면 물과 접촉하는 표면적이 넓어지고충돌하는 부분(면)을 보면 액체 분자가 고체 분자보다결합력이 강하게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고 합니다.결과적으로는 표면적이 넓어짐으로 인해 돌이 물속으로 파고들지 못하게 되고 튕기는 현상을 보이는 것이죠.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하품을 할때 눈물도 같이 나오는 이유는 뭘까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하품을 할때 입 주변의 근육이 움직이는데 이 근육이 눈물샘을 자극하기 때문입니다.입을 열지않고 하품을 해도 그 근육이 움직이기 때문에 눈물이 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금성은 지구보다 태양이 가까워서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금성의 최고온도는 773K 최저온도는 228K입니다따라서 둘의 온도차는 545도 입니다물은 존재 하고 있지 않읍니다.금성의 대기는 대부분 이산화탄소로 덮여있는데 이산화탄소의 양이 타행성에 비해 비정상적인 수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금성이 탄생한 후 끊임없는 화산활동으로 엄청난 양의 이산화탄소가 두꺼운 구름을 형성해 온실효과를 일으킵니다. 태양과 가까이있던 탓에 엄청난 양의 물은 이미 우주공간으로 날아가버리지만 두꺼운 이산화탄소대기가 형성되면서 수증기는 더 이상 우주로 날아가지 않고 대기에 갖힙니다. 게다가 수증기도 온실효과에 가세하며 지금의 금성이 되어버린 것입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변기물을 내릴때 무슨원리로 회오리치듯 물이 빠져나갈까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물 내림 버튼을 누르게 되면 물이 차오르게 돼죠.그러면 배관 안쪽으로 물이 넘치게 될 것입니다.이때 사이펀 현상으로 하여금 배관에 어떤 에너지를 주지 않아도물과 오물이 빨려서 넘어가게 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사이펀(Siphon)이란 기압차와 중력을 이용해서 한 곳의 액체를 위로 끌어올려 더 낮은 곳으로 이동시키는 관이 있는 장치를 말합니다.즉, 공기나 물체에 닿는 것을 피해야 하는 액체 등을 옮기는 데 필요합니다. 높은 곳의 액체 표면을 대기압이 눌러서 액체가 관속으로 밀어 올라가게 되고, 그 액체는 다시 중력에 의해서 아래쪽으로 내려가게 됩니다.
물리
물리 이미지
Q.  바코드는 어떻게 막대기가 숫자로 인식되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바코드(Bar+code)란 Bar( 막대모양의 이라하여 "Bar"라 합니다.)와 연속된 bar사이의 공간(space)들의비율을 이용하여 정보를 "Code"화 한 것이란 의미입니다.검은색은 빛을 흡수하고 밝은색은 빛을 많이 반사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그 반사율의 차이를 이용하여 데이타를 컴퓨터가 인식할수 있는 디지털신호 ("0" 과 "1")의 조합으로 코드화 한것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왜 딸기는 씨가 겉에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자신의 씨를 더잘퍼지게 하여 종족을 보존함과 동시에 널리 퍼지게 함이랍니다.딸기와 같이 겉에 씨가 있는 경우는 동물이나 새등이 딸기를 먹는 동안 입가에 붙어서 시간이 지나 입가에서 떨어질경우 분포하기 위하여 그런것이랍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리나라 바다는 왜 에메랄드색 바다가 형성이 되지 않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열대 및 아열대의 심해(깊은 바다)에 주 서식하는 산호초에서 탄산칼슘이 바닷물로 녹아들어 태양빛을 산란시켜 에메랄드빛을 만듭니다. 이 탄산칼슘들이 석회로 침전되면 옥색이 더 뚜렷해집니다.
11611711811912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