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일론머스크가 우주에서는 빛보다 빠르게 이동 가능하다는데 맞나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초광속은 정보를 지니지 않을 경우에 한해서는 가능한데. 단, 여기서 말하는 정보란 물리학적으로 정의된 정보임.엄밀히 말해, 정보의 전달 속도는 광속 이상이 될 수 없읍니다.정보를 가지는 경우,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에 따라 물리학적으로 불가능합니다. 광속에 가까워질수록 투입되어야 하는 에너지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광속 그 자체가 되면 질량이 있는 한 필요한 에너지는 무한이므로, 초광속에 도달하려면 무한보다 더 큰 에너지를 공급해줘야 합니다.이를 엄밀히 따지자면, 진공 속의 빛의 속도보다 빠르게 정보를 전달할 수 없다는 것.심지어 광속의 기준인 광자조차 이상적 상황이 아니면 이 정보 전달 속도 제한에 미치지 못합니다.빛보다 빠른 것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건 흔히 알려진 잘못된 사실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지구의 중력이 줄어들면 지구환경에 어떠한 현상이 일어날까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의 중력이 커지면 지구가 잡아당기는 힘이 늘어나게 되는 것이니 사람들의 몸무게가 늘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지구의 정상적인 중력에 적응해 살아온 사람들은 몸이 아주 무거워지겠죠? 높게 점프도 못뛰게되고 몸을 잘 가누지 못하게 될 것입니다. 또 사람들의 평균키가 작아지게 될 것입니다. 중력이 커지면 사람들의 키 성장을 방해하기 때문이죠. 사람의 장기도 무게가 2배가되니 장기가 제 역할을 못하게 되어 사망할 수도 있게 될지도 모릅니다. 정말 무서운 일이죠. 또, 어떤 물체를 낙하시켰을 때 물체가 가속되는 정도가 커질 것 입니다. 지구의 중력이 물체에 힘을 가하기 때문에 물체가 낙하하는 것인데, 이것 또한 잡아당기는 힘이 커지기 때문이죠. 의자위에서 뛰어내려도 죽을지도 모르게 되는 것입니다. 또 물도 영향을 받아 높은 위치에서 낮은 위치로 내려올 때 유속이 빨라져 많은 토양이 유실되고, 홍수가 발생하였을 때 아주 위험할 것입니다. 또한 비행기는 중력을 못 이겨 뜨지도 못하고 떠있는 비행기는 곧장 밑으로 추락할 것이고, 지구를 도는 인공위성도 지구를 향해 끌려오면서 파괴되어 인터넷, GPS와 같은 서버가 마비되어 사회는 엄청난 혼란에 빠질 것입니다.중력이 작아지면 심각한 사태가 일어나게 됩니다. 바로 대기중의 공기가 우주로 날아가 버린다는 것입니다. 오존층이 파괴되고, 온실효과를 일으키는 기체가 부족하게 되어 지구가 냉각될 수도 있습니다. 또한 달은 지구의 인력으로 인해 지구 주위를 도는 것인데 지구의 중력이 약해지면 달을 끌어당기는 힘이 약해지면서 원래 돌고 있던 정상 궤도에서 이탈해 지구로부터 멀어지게 되어 조수간만의 차가 생기지 않게 되어 해안생태계에 영향을 끼치게 될 것입니다. 하지만 이보다 더 큰 문제가 발생될 수 있습니다. 주위의 다른 행성에 주위를 돌게 될지도 모르게 되는 것입니다. 지구는 태양과 적정거리만큼 떨어져 공전을 하고 있는데, 지구의 인력이 작아지게 되어 아예 태양 쪽으로 끌려가거나 태양과 가까운 위치에서 공전하게 될 수 있는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지구의 기온에 맞춰 살고 있던 생명체들은 적응을 하지 못하고 죽어버릴 것입니다.
Q. 물고기를 양식할 때 포르말린이라는 용액을 사용한다고 하던데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에서는 포르말린을 양식어종인 넙치에만 사용하는 것을 허가하고 있습니다. 넙치 외 식용이 목적인 다른 수산동물에게 포르말린을 사용하는 것은 불법입니다.왜 포르말린 사용이 넙치에만 국한되어 있는 건지에 대해 개인적으로 생각을 해보자면, 넙치가 수산양식산업에서 중요한 종이고, 스쿠티카 또는 익티오보도처럼 외부기생충이 넙치 양식에 큰 피해를 주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 넙치에게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넙치 이외에도 무지개송어와 연어의 알을 소독할 때에도 포르말린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Q. 화학에서 그래핀이라고 하는 것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그래핀은 탄소 원자들이 육각형의 벌집 모양으로 서로 연결되어 2차원 평면 구조를 이루는 고분자 탄소 동소체입니다.그래핀 하나는 2차원 구조이지만, 실제로 쓰이는 그래핀은 많은 그래핀들이 차곡차곡 쌓인 형태로 존재합니다.흑연에서 분리해냄으로써 처음 그 정체가 알려졌고 또한 흑연과 구성원소가 같읍니다.그런 부면에서 흑연을 뜻하는 Graphite, 그리고 탄소 화합물이므로 탄소화합물을 뜻하는 접미사 'ene'의 두가지 의미가 결합되어, 'Graphite + ene = Graphene' 이 되었읍니다.그래핀의 특성은 다음과 같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1) 전기적인 특성 : 구리보다 100 배 이상의 높은 전기전도도2) 기계적 특성 : 현존하는 물질 중 가장 얇은 두께에서 기계적 강도가 가장 높은 소재3) 열적 특성 : 높은 열전도도(다이아몬드의 2배에 해당하는 열전도도 값)4) 광학적 특성 : 단일 층의 그래핀이 지난 광학적 투과도5) 가스차단 특성 : 결점이 없는 2차원의 판상구조 형태를 가지고 있는 그래핀은 산소나 질소 같은 모든 기체에 대해서 우수한 차단특성6) 치수 안정성 : 그래핀의 경우 매우 안정한 탄소원자간의 결합을 통해 형성된 2차원 물질이기 때문에 매우 낮은 열팽창 계수 값을 가지게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