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케플러의 제2 법칙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케플러 제2법칙은 태양계의 행성들이 태양 주위를 공전할 때 등속도 운동을 한다는 법칙입니다. 이 법칙은 요한 케플러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케플러는 당시 태양계의 행성들이 등속도 운동을 하는 이유를 찾기 위해 수학적인 연구를 수행하였습니다.케플러는 당시 관측 가능한 정보와 수학적인 계산을 통해, 태양 중심으로 공전하는 행성이 일정한 선도속도를 유지하면서 공전한다는 것을 발견하였습니다. 즉, 행성이 태양과 가까울수록 더 빠른 속도로 공전하고, 태양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느린 속도로 공전한다는 것입니다. 이를 토대로 케플러는 태양계의 행성 운동에 대한 법칙을 세우게 되었습니다.케플러 제2법칙은 이후 뉴턴의 만유인력법칙 등과 함께 우주와 천문학 분야의 발전에 큰 역할을 하였으며, 이후 다양한 천체들의 운동을 예측하고 연구하는 데에도 활용되고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태양계 모든행성은 타원형으로 공전하나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모든 행성과 대부분의 다른 천체는 태양의 자전 방향(태양의 북극에서 보았을 때 시계 반대 방향)으로 공전합니다.태양 주위 천체의 궤도를 케플러의 행성운동법칙으로 묘사할 수 있는데 케플러의 법칙에 따르면, 개개의 천체는 태양을 한 초점으로 하는 타원의 궤도를 따라 운동합니다.지구와 화성을 제외하고는 계절을 논하기가 좀 어렵다고 할 수 있습니다.금성의 경우 한밤에도 450도를 육박하고, 낮에는 500도가 넘는 열을 가지고 있으며,겨울이건 밤이건 이런 온도차는 별로 나지 않고,지상에서는 너무 뜨거워서 액체상태의 물질이 존재할 수 없기 때문에 눈이나 비가 내리는 풍경을 지상에서 관측할 수는 없습니다.수성의 상황도 계절을 논하기는 어렵습니다.수성의 낮은 176일이나 지속되며, 낮기온은 무려 374도나 되고,특히 대기가 없어 대류현상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계절을 논하기는 어렵습니다.목성형행성인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등은지표면이 없는데다가 목성만이 유일하게 대기 중에 암모니아가 섞여 있으나,다른 행성들은 암모니아가 빙점이하이기 때문에 얼어서 가라앉아 있죠.1년 내내 짙은 메탄가스덩어리로 덮혀 있어, 계절을 논하기는 역시 어렵습니다.게중에는 메탄으로 된 비가 내리는 위성이나 행성이 있을것으로 추측되지만,비가 내린다고 해서 그걸 계절이 있다라고 말하기는 좀 그렇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