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산의 도로를 차로 가면 귀가 막히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의 귀는 크게 외이, 중이, 내이 이렇게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귓바퀴, 귓구멍을 지나 안쪽으로 들어가면 끝에 고막이 나오는데 여기까지를 외이라고 부릅니다.고막 뒤부터 달팽이관 사이는 중이, 그리고 달팽이관부터 나오는 안쪽 기관들을 내이라고 부르죠.중이는 공기로 가득 차 있는데 중이 안에는 목구멍과 연결된 유스타키오관이라는 것이 있으며, 이 기관이 공기를 적당히 넣었다 뺐다 하면서 압력을 조절해 줍니다.높은 곳은 지표면보다 공기의 양이 부족하기 때문에 공기가 적어지면 그만큼 공기의 무게가 누르는 힘인 ‘기압’도 감소합니다.따라서 외이도로 들어오는 기압도 줄어들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중이 안 기압이 바깥보다 세지게 됩니다.이에 따라 기압이 강한 중이 쪽에서 약한 외이 쪽으로 고막이 밀려나게 됩니다. 얇고 투명하게 생긴 고막은 전달된 소리를 진동시켜 귀 안쪽으로 보내는 역할을 하는데, 밀려난 고막은 소리를 제대로 진동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귀가 멍해지고 심하면 찢어질 듯이 아픈 통증이 생기는 것입니다.하품을 하거나 물을 마시거나 껌을 씹거나 사탕을 먹어 압력 조절을 도와주시면 도움이 됩니다.
Q. 물을 끓이면 물안에 있던 미네랄 성분도 변하나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미네랄은 물속에 녹아있는 칼슘(Ca), 마그네슘(Mg), 나트륨(Na, 영어이름은 소디움), 칼륨(K, 포타슘)을 말합니다.이런 미네랄은 물을 끓인다고 다른 것으로 바뀌는 것이 아닙니다.끓는다는 것은 물에 열에너지를 가하면 물분자 사이의 결합이 헐거워져 물분자의 운동이 보다 활발해지고 일부의 물분자가 떨어져 기체가 되는 것일뿐 이기체 물도 화학식은 H2O 입니다.물론 물을 끓이면 물속에 있던 용존산소가 날아갈 수 있지만 식으면 다시 들어옵니다.오히려 물을 끓이면 물속 나쁜 유기물 등을 제거할 수 있어 좋은 점도 있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