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라니냐로 기온이 올라간다고 하던데 어떤 원리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동태평양에서 엘니뇨와는 반대로 평년보다 0.5도 낮은 저수온 현상이 5개월 이상 일어나는 이상해류현상입니다 세계 각 지역에 장마, 가뭄, 추위 등 각기 다른 영향을 끼치닙다. 그러나 발생과정, 활동주기 등에 대해 뚜렷하게 밝혀진 것은 없읍니다엘니뇨의 반대현상이 동일한 지역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동태평양의 해수면 온도가 5개월 이상 평년보다 0.5도 이상 낮아지는 경우를 말합니다.이 현상이 발생하면 원래 찬 동태평양의 바닷물은 더욱 차가워져 서진하게 됩니다.따라서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의 동남아시아에는 격심한 장마가, 페루 등 남아메리카에는 가뭄이, 그리고 북아메리카에는 강추위가 찾아올 수 있읍니다.그러나 현재까지 이 현상의 발생과정, 활동주기, 기상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하여 뚜렷하게 밝혀진 것이 없읍니다.기상청에 따르면 라니냐가 발생한 1967년과 1973년 한반도의 평균기온은 평년보다 1.1~2.2도 낮았으며, 강수량도 40.3~65.7mm가 적고 춥고 건조한 날씨이었다고 합니다.
Q. Emp 있으면 핵무기도 무력화 시킬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핵무기의 EMP(Electro Magnetic Palse)효과를 이용하여, 즉 그러한 펄스를 발산하는 무기가 핵무기를 투발할 수 있는 적의 미사일 및 핵탄두 자체 내부의 장치 등을 무력화 혹은 마비시킬 수 있겠죠.즉, 그러한 무기를 발전시켜서 적의 전자(디지털) 장비를 모두 마비 혹은 무력화 시킬 수 있는 그러한 무기가 등장한다면, 더이상 핵무기 보유를 위하여 그 어떠한 나라도 돈을 들이거나 - 국제사회로부터의 고립 및 강대국들의 압력 등의 - 위험을 감수하지 않을 것이며, 또한 강대국들도 (그러한 무기를 보유한 국가들은) 핵무기를 보유하려는 - 북한이나 이라크 등의 - 그다지 강력하지 않은 나라들에 대해서 눈에 띄는 압력을 행사하지 않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Q. 화학에서 산화반응은 무엇이며 사례는 어떤게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산화(oxidation)반응는 분자, 원자, 이온이 전자를 잃고, 산화수(oxidation number)가 증가하는 것을 말합니다.우리는 철 구조물이 녹이 슬고, 포도주가 공기에 노출되어 오래되면 시큼해지고, 가솔린을 연소시켜 자동차를 움직이는 것 등을 산화 반응을 경험하고 있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