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성심껏 답변 드릴 김경렬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성심껏 답변 드릴 김경렬 전문가입니다.
김경렬 전문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생물·생명
2023년 5월 13일 작성 됨
Q.
상어의 조상도 고래와 같은가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상어의 조상인 메갈로돈과 고래의 조상인 바실로사우루스 입니다. 완전히 다른 종으로 둘이 다릅니다.
물리
2023년 5월 13일 작성 됨
Q.
물리나 전기에서 가우스 법칙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가우스 법칙이란 독일의 수학자 칼 프레드리히 가우스가 1867년에 발표한, 전기 역학의 기초라고 할 수 있을 만큼 전자기학 초반에 접할 수 있는 공식입니다.이 법칙은 대칭성을 가진 전하 분포 상에서의 전기장을 구하는데 아주 유용하게 쓰인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가우스 법칙이란'임의의 폐곡면(가우스면)을 통과하는 전기선속은 폐곡면 내의 총 전하량에 비례한다.' 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전기·전자
2023년 5월 13일 작성 됨
Q.
에어팟은 어떻게 사용하면 외부의 소리를 차단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액티브 노이즈 캔슬링은 소리를 소리로 없애는 방식입니다. 물리학 용어로 간섭 현상을 이용한 방식인데, 소음을 마이크로 받아서 반대파로 만들어 소리를 들려주면 원래의 소음이 없어지는 원리입니다.액티브 노이즈 캔슬링은 소음을 수음할 마이크, 신호를 역위상으로 바꿔주는 신호 처리 장치(DSP), 마이크와 신호 처리 장치를 구동할 수 있는 배터리가 필요합니다.
화학
2023년 5월 13일 작성 됨
Q.
공기 중에 산소가 많이 포함되어 있으면 수명이 짧아지나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고지대 사람들 중 수명이 더 긴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만 그게 산소량이 적어서라 보긴 힘듭니다. 척박한 땅에서 살다 보면 신체에 많은 무리가 가고 일반 사람들은 기관지, 심혈관 문제로 오래 살지 못합니다. 이렇다보니 특별히 강한 신체를 지닌 사람들만 생존하고 자연선택을 받게 되어 몇 세대에 걸쳐 그 지역에 특화된 인간이 되는겁니다. 그 환경이 노화를 빨리온다기 보다 극한 환경에서 생존 가능한 강인한 유전자만 남게 되어 평균 수명이 짧읍니다.그런 사람들은 굳이 고지대가 아닌 일반 환경에서도 수명이 같읍니다.
전기·전자
2023년 5월 13일 작성 됨
Q.
전기분해가 무엇인가요? 누가 발견했나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전기분해는 산화·환원반응의 일종으로, 전기를 이용해서 물질을 분해하는 과정입니다.화학전지의 일종이며, 전해전지에 해당합니다.전기분해의 역사를 보면 전기분해는 1800년에 처음 발견되었습니다. 같은 해 Alessandro Volta가 볼타 더미를 발명한 후 화학자들은 배터리를 사용하여 극을 물이 담긴 용기에 넣었습니다. 그곳에서 그들은 전류가 흐르고 수소와 산소가 전극에 나타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5월 13일 작성 됨
Q.
구름의 색이 변하는 원인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층운의 경우 옅은 두께로 인하여 하얀색 중에서도 바랜듯한 하얀색이 띠고, 난운의 경우 회색 혹은 새하얀색으로 보이게 되는데 이것은 모두 구름의 두께로 인한 빛의 차단에 의한 것입니다.구름층의 두께로 인하여 태양빛의 차단이 구름을 희고 회색빛나고 검게 보이게 합니다.물론 아침녁과 저녁의 태양빛의 산란에 의한 붉고 보랏빛나고 주홍빛나는 색이 될수도 있읍니다.
전기·전자
2023년 5월 13일 작성 됨
Q.
14K는 자석에 붙는 원리가 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14K라면 금은 안붙는 것이 원래 맞습니다.허나 특정부분에 텐션을 주기 위하여 혹은 피팅을 위하여 다른 금속이 섞였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생물·생명
2023년 5월 13일 작성 됨
Q.
흰민들레와 노란민들레는 같은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흔히 민들레는 꽃이 노랗지만 흰민들레는 이름 그대로 꽃이 하얗습니다.완전히 하얀 건 아니고 조금은 노리끼리합니다.꽃이 하얀 민들레만 토종 민들레라고 아는 사람이 많으나 이것은 흰민들레 이야기입닏.흰민들레가 토종인 것은 사실이나 모든 토종민들레가 흰 것은 아닙니다.흰민들레가 한국 특산식물이라고 한다면 맞는 말이지만 또 다른 토종 민들레도 외래종 민들레처럼 꽃이 노랗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정확히 구분하려면 꽃받침을 확인하면 됩니다.꽃받침이 바나나 껍질깐듯 뒤로 젖혀져 있으면 노란 서양민들레이고, 꽃을 감싸는 것은 하얀 토종 민들레 입니다.
화학공학
2023년 5월 13일 작성 됨
Q.
깨진 유리 보수 용액 원리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유리복원제의 원리는 깨진부분에 복원약제를 주입, 압축하여 경화하면 복원되는 단순한 원리입니다.
화학
2023년 5월 13일 작성 됨
Q.
고양이혀는 까칠까칠하던데 왜 그런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까칠한 혀의 구조는 털을 잘 빗기 위함입니다. 딱 보기에도 빗질 잘 되게 생긴 혓바닥이죠? 고양이는 발바닥에만 땀샘이 분포해 있기 때문에, 털을 청결하고 고르게 관리해서 체온 조절을 돕도록 합니다. 털을 잘 정돈하여 효율적인 체온 조절을 하기 위해 혀가 빗처럼 발달한 것입니다. 또한 혀로 털을 빗질하면서 자연스럽게 침이 묻게 되죠. 이때 침 속에 존재하는 다양한 소화효소들이 털에 묻어있던 이물질들을 분해해주고, 일부 균을 죽이기도 합니다.
56
57
58
59
6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