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성심껏 답변 드릴 김경렬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성심껏 답변 드릴 김경렬 전문가입니다.

김경렬 전문가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연필이 종이에 글자가 남겨지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연필심의 주 성분은 탄소의 동소체 중 하나인 흑연이라고 합니다.그래서 종이 위에 글씨를 작성하면 종이와 마찰이 일어나 파이 결합으로 결합되어 있던 흑연 입자들이 결합파괴되면서 종이위에 떨어져 나와서 글자가 남겨 집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사람들이 제일 두려워하는 높이가 11미터 라고 하던데 그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사람의 경우 11미터에서 가장공포를 느끼는이유는 11미터 높이에서 떨어질때 바닥부근에서 종단속도에 도달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일단 종단속도에 도달하게 되면 더이상의 가속이 없으므로떨어지는 도중에도 많이 다치지 않을 수 있는 착지 자세를취할 수 있지만, 종단속도 이전에 바닥까지 닫게 된다면가속도 때문에 정신을 차릴수 없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동물들 중에 청각이 가장 발달하는동물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개는 65~45,000Hz, 박쥐는 2,000~110,000Hz, 돌고래는 75~150,000Hz까지 들을 수 있다고 합니다.즉 돌고래가 가장 청각이 발달한 동물 입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나이가 들면 왜 까만 머리가 하얗게 변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모발의 색은 유전적으로 결정되어 있어서 모공 근처에 있는 멜라닌 세포에서 나오는 멜라닌 색소의 종류와 농도에 따라 결정 됩니다. 나이가 들면서 모공 주위에 있는 멜라닌 세포들이 서서히 없어지면서 나오는 멜라닌 양도 줄어 듭니다. 멜라닌 색이 줄어 들기 때문에 모발의 색도 회색--> 은발--> 백발로 변하게 됩니다.
화학공학
화학공학 이미지
Q.  플라스틱 자와 지우개는 왜 붙나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지우개와 자를 겹쳐놓았을 때 달라붙는 이유는 지우개에 ‘디옥틸프탈레이트’ 등의 가소제가 첨가되어 있기 때문입니다.옛날에는 고무로 지우개를 만들었으나 요즘에는 폴리염화비닐 같은 플라스틱으로 지우개를 만듭니다.폴리염화비닐은 잘 부서지는 특성이 있어 가소제를 첨가하여 탄성이 생기도록 만듭니다.바로 이 가소제가 플라스틱 자를 녹이는 것입니다.플라스틱의 긴 끈 모양을 이루고 있는 분자들 사이에는 서로 끌어당기는 힘이 있는데, 가소제가 이 힘을 약하게 만들어 플라스틱 자를 녹입니다.하지만 가소제는 플라스틱 중에서도 폴리스틸렌이나 아크릴은 잘 녹이고, 화학 물질에 견디는 성질을 가진 비닐이나 폴리프로필렌은 잘 녹이지 못합니다.또한 여름에는 온도가 높아 지우개의 가소제가 플라스틱 자를 녹이는 현상이 쉽게 발생합나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무서울 때 갑자기 식은땀이 나는 이유는 무엇이죠?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일반적으로 땀을 흘리는 경우는 더위를 느껴 체온이 높아졌을 때인데요. 신체 내의 기온이 올라가면서 부교감 신경이 피부를 확장시키고, 열린 모공으로 땀이 배출됩니다. 이때 배출되는 땀(수분)이 증발하면서 열을 낮춰주므로, 높아졌던 체온이 조절되는 것인데요. 우리 몸은 정신적인 충격을 받았을 때도 땀이 나게 됩니다. 순간적으로 피부와 모세혈관의 확장이 일어나면서 땀이 배출되는데요. 이렇게 체온의 상승과 관계없이 신경의 변화로 인해서 나는 땀을 ‘식은땀’이라고 일컫습니다. 이 땀이 증발할 때 체온이 낮춰지는 것은 일반적인 발한과 동일하기 때문에, 몸은 더욱 서늘함과 한기를 느끼게 되는 것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멍이 난 부분을 삶은 계란으로 문지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 몸에 멍이 들었을 때, 특히 눈에 멍이 들었을 때 보통 달걀로 문지르는 것은 이렇게 함으로써 혈액 순환을 촉진시키고 응고된 피를 없애주기 때문입니다.계란을 사용하는 이유는 계란의 형태가 타원형이고 손에 적당한 크기로 들어가고 적당한 무게감이 있어서 얼굴 부위를 마사지해주는 데 적당한 형태이기 때문입니다. 꼭 계란이 아니더라도 원형의 도구만 있으면 가능하다고 하네요. 그러니까 멍든곳을 계란으로 문지르는 것은 혈액순환을 촉진시켜서 멍이 빨리 가라앉게 하기 위한 것이며 날계란이나 삶은 계란 모두 가능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블랙홀은 어떻게 관찰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블랙홀은 빛이 나오지 않을 뿐더러 빛을 모두 흡수해 버리기 때문에 직접 관측하기가 어렵습니다.그래서 블랙홀을 관측하기 위해서는 간접적인 방식을 이용할 수밖에 없읍니다.블랙홀을 관측하는 방법 중 X선을 이용하는 것이 있는데, 이 방법은 블랙홀의 중력에 의하여 가까이 있는 항성의 물질이 블랙홀로 빨려 들어갈 때 방출하는 X선을 이용하여 관측하는 것입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고래가 죽으면 왜 배에 가스가 차게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고래가 죽으면 뱃속에 있는 음식물이 부패(발효)하여 가스가 나와 고래의 몸이 팽창하게 됩니다.그래서 고래의 몸이 가벼워져 물에 뜨거나 파도에 쓸려 해변가로 밀려오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심해에서만 사는 동물로는 어떤동물들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1.해로동굴해면(Euplectella Aspergillum)​느슨해면목 해로동굴해면과에 속하는 해면동물로 해로동혈이라고도 불립니다. 크기는 약 10~80cm 입니다. 몸통 내부에 있는 위강으로 플랑크톤이나 유기물을 먹습니다. 수심 100~3,000m의 심해에서 서식 합니다.2. 하프스펀지(Chondrocladia lyra)다골해면목 클라도지과에 속하는 해면동물로 심해에 사는 해면 중 하나 입니다. '하프'스펀지라는 이름처럼 하프같은 긴 줄기가 나 있으며 그것으로 갑각류 등을 잡아먹습니다. 수심 3,500m의 심해에서 서식 합니다. 3. 탁구공나무해면(Chondrocladia lampadiglobus)다골해면목 클라도리자과에 속하는 해면동물로 심해에 사는 해면 중 하나 입니다. 크기는 약 50cm로 수심 2,600~3,000m에서 서식 합니다. 탁구공같이 생긴 팔에 지나가던 먹잇감이 닿으면 안에 있던 갈고리 같은 다리로 먹이를 낚아채 잡아먹으며 둥근 해면체 안에는 특수한 세포가 있어 먹잇감을 녹여버립니다.4. 서관충(Lamellibrachia)​꽂갯지렁이목 시보그리눔과에 속하는 환영동물로 관벌레라고도 불립니다. 몸길이는 수십cm 정도 입니다. 생리와 생태에 대해서는 밝혀진 것이 거의 없습니다. 심해 열수분출공 주변에서 서식 합니다.
616263646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