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성심껏 답변 드릴 김경렬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성심껏 답변 드릴 김경렬 전문가입니다.

김경렬 전문가
물리
물리 이미지
Q.  바나나가 익으면 더 달아지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바나나 껍질이 갈색 및 검게 변하는 현상은 바나나 속에 들어있는 항산화물질의 일봉인 폴리페놀이 산화하면서 생기는 현상입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더 많이 생기며 특히 거뭇거뭇한 반점이 생기는 것은 슈가포인트라고 해서 바나나 속 당분들이 한 곳에 집중되는 현상이에요. 이런 현상들이 나타날때 바나나가 가장 먹기 좋은 시기가 되며, 이 때가 바나나 속 비타민과 당분 등 영양소 함량이 가장 높을 때입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다리미는,언제 누가 발명했나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최초의 전기다리미는 1882년 미국의 발명가 헨리 실리에 의해 발명되었습니다. 이 전기다리미는 미국 특허청으로부터 특허를 받았습니다. 하지만 다리미 열판 온도 조절이 어려워 안전사고의 우려가 높았다고 합니다. 헨리 실리는 토머스 에디슨의 특허 변호사였던 리처드 다이어와 함께 이러한 점을 보완하고자, 전기로 데워져 있는 상태에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바닥에 내려놓을 수 있는 다리미를 개발했습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유모차는 누가 처음으로 발명 하였나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유모차는 영국 출신의 건축가 윌리엄 캔트(William Kent)에 의해 1733년에 발명되었습니다.이 유모차는 3대 데본셔 공작 윌리엄 캐번디쉬(William Cavendish, 3rd Duke of Devonshire)의 자녀들을 위해 만든 것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무지개의 끝을 알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무지개는 지평선에 가려져서 반원이 됩니다.이것을 하늘, 즉 비행기를 타고 아래로 내려다보면 둥근 원으로 끝과 끝이 이어졌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영의 이중슬릿 실험이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빛이 입자인지, 파동인지에 대한 과학자들의 논란은 오랫동안 계속 되었었습니다. 뉴턴의 경우 스스로 빛의 파동성인 간섭현상을 이용한 무늬 (뉴턴링)를 발견하기도 하였지만 빛의 직진을 포함한 몇 가지 설명이 파동성으로는 불가능하다고 판단되어 빛은 입자라고 하였고, 이 는 오랫동안 받아들여졌었습니다. 그런데 영의 이중슬릿에 의한 간섭실험은 빛이 입자인 경우 절대로 설명이 불가능한 현상으로 빛이 파동으로 바뀌게 되는 결정적인 실험이 됩니다. 영의 이중슬릿실험은 빛의 파동을 증명하는 대표적인 실험입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얼음이 녹지 않게 하려면 어떤 모양이나 원리를 이용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드라이아이스가 승화할 때 주변의 열을 많이 빼앗아 가는 작용으로 주변에 있는 물품을 시원하게 보관해 주는 비결입니다.만략 드라이아이스가 없다면 얼음에 소금을 뿌리면 좀 더 길게 냉기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얼음에 소금을 뿌리면 먼저 얼음이 조금 녹게 됩니다. 조금 녹은 얼음은 물이 되고 이 물에 의해서 소금이 또 조금 녹습니다. 얼음과 소금이 녹으면서 주위의 열을 빼앗아가므로 주위는 온도는 낮아집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우리가 알고 있는 딸기는 실제로는 열매가 아니라고 하던데...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딸기는 꽃턱 부분이 과육으로 자라난 헛열매이며 과육은 식용합니다.즉 딸기의 진짜 열매는 과육 부분이 아니라 겉에 있는 깨알처럼 생긴 것입니다.비슷한 경우로 꽃이 열매처럼 자란 무화과가 있읍니다.
화학공학
화학공학 이미지
Q.  유리가 만들어지는 과정이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유리는 여러가지 원료로 배합, 용해, 성형, 급냉, 서냉 과정을 거쳐서 여러가지 형태의 유리제품을 만들 수 있습니다.배합과정소다와 석회등의 원료들을 섞는 과정. 배합과정에서는 이 원료들을 아주 잘, 골고루 섞는 것이 중요합니다. 조금이라도 잘 섞이지 않은 부분이 있으면 품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 입니다.용해과정배합과정 후 잘 혼합된 원료들을 용해로(furnace)에넣고, 1300-1500℃까지 가열 시킵니다. 이때 원료들이 녹으면서 끈적끈적한 액체(유리물)상태로 변하게되는 것입니다.성형과정펄펄 끓는 녹은 유리물을 성형틀안에 부어 넣습니다. 성형틀은 보통 금속조가 사용됩니다. 이 금속조에서는 용해공정에서 제품성형에 알맞게 용해된 유리물을 적절한 두께(제품형태)로 만들어 주며 이 과정중에 품질에 영향을 주는 많은 요소들이 결정되어 집니다.서냉과정유리물이 급속하게 굳어진 경우 유리는 매우 불안정한 상태가 됩니다. 이때는 살짝만 건드려도 그냥 깨져 버리게 됩니다. 이에 성형된 유리물을 서냉로에 넣고 서서히 온도를 낮춰가면서 완전한 제품의 유리가 탄생하게 되는 것 입니다.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냉장고를 처음 개발한 사람은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1925년에 제너럴 일렉트릭이 출시한 전기 압축식 냉장고인 모니터 탑(Monitor Top)은 역사상 최초의 대중용 냉장고로 평가되고 있읍니다. 모니터 탑은 작동 부품이 냉장고의 꼭대기에 위치한 원형상자에 설치되었기 때문에 붙여졌던 이름입니다.제너럴 일렉트릭은 오디프렌(Abbe Audiffren)의 특허를 매입한 후 8년 동안의 노력 끝에 모니터 탑을 개발할 수 있었읍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피부 노화 방지를 위해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는데, 자외선은 어떠한 과정으로 피부를 노화 시키나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자외선 파장이 가장 긴 UVA는 피부 속 '진피층'까지 뚫고 들어오는데요.먼저, 표피에 닿은 UVA는 피부 지질 구성 성분을 손상시켜 피부 장벽을 약하게 만듭니다.이후 UVA가 피부 기저층을 자극함에 따라, 우리 피부는 UVA에 대한 방어 기전으로 갈색의 멜라닌 색소를 생성하게 되는데, 이때 과하게 침착된 부위에는 기미나 잡티 등을 유발해 심미적인 문제를 만들어냅니다.또한 진피층까지 침투하여 진피 내 콜라겐 합성을 저하시키고 히알루론산 양을 감소시켜 피부의 수분과 탄력을 감소시키고 주름이나 피부 처짐 등의 노화​를 일으키게 됩니다.
666768697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