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기상청은 어떻게 몇주뒤의 날씨까지도 예측할 수 있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기상청은 날씨 예측을 위해 다양한 과학적 기술과 데이터를 사용합니다. 여러 가지 기상 요소를 측정하는 관측소 네트워크, 위성 및 레이더 관측, 기상 모델링, 통계적 분석 등을 활용하여 예측을 수행합니다.기상청은 대기 상태와 동적인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대기 과학과 기상학의 원리를 활용합니다. 대기 중에서 발생하는 기상 현상과 움직임을 모델링하고 예측하는 수치 예보 모델을 개발하고 사용합니다. 이 모델은 수학적 계산과 물리적 법칙을 기반으로 하며, 현재 상태의 데이터와 초기 조건을 입력으로 사용하여 미래의 날씨를 예측합니다.또한, 기상청은 다양한 기상 관측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모델의 정확성을 높이는 작업을 수행합니다. 실제로 발생한 날씨와 예측한 날씨를 비교하고 분석하여 모델을 개선하고 수정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마하10이라는 속도는 얼마나 빠른속도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마하 10은 소리의 속도인 음속을 10배 초과하는 속도입니다. 음속은 약 1,225 킬로미터/시간 또는 761 마일/시간입니다. 따라서, 마하 10은 약 12,250 킬로미터/시간 또는 7,610 마일/시간에 해당하는 매우 빠른 속도입니다. 이는 초음속 비행기 또는 초음속 미사일과 같은 고속 운송 수단에서 사용되는 속도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어떠한 이유로 달의 뒷면을 볼 수 없는것일까요?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달의 뒷면을 볼 수 없는 이유는 "달의 자전"과 "달과 지구의 중력 상호작용" 때문입니다.첫째로, 달은 자전하면서 항상 자전축이 지구를 향하도록 회전합니다. 이는 달의 한쪽 면을 우리에게 계속해서 보여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달의 뒷면은 우리로부터 항상 가려져 있습니다.둘째로, 달과 지구의 중력 상호작용은 "끌림의 힘"으로 작용합니다. 이 중력은 항상 달을 지구에 묶어두는 역할을 합니다. 중력은 달의 자전을 늦추는 힘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달은 우리에게 항상 동일한 면을 보여주게 됩니다.
Q. 세균을 죽이는 바이러스도 개발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세균을 죽이는 바이러스를 개발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바이러스를 "세균 바이러스" 또는 "박테리오파지"라고도 부릅니다. 세균 바이러스는 세균을 감염시켜 세균을 파괴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세균 바이러스는 특정 세균에 대해서만 특이적으로 작용하며, 다른 세균이나 인체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을 활용하여 세균 감염의 치료나 세균 관련 질환의 예방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세균 바이러스는 세균에게 침입하여 세균의 대사 과정이나 세포 구조를 파괴하고, 번식 과정에서 세균을 파괴하는 방식으로 작용합니다. 이를 통해 세균 바이러스는 세균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세균 감염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날씨가 GPS에 영향을미치게되나요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네, GPS는 날씨 조건에 따라 정확도에 변화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GPS는 위성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파악하는 시스템입니다.날씨 조건이 좋을 때는 GPS 신호의 정확도가 높아지며, 우리가 기대하는 위치 정보를 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날씨가 나쁠 경우, GPS 신호의 정확도가 낮아지게 됩니다.날씨가 안 좋을 때, 구름, 비, 눈, 안개 등은 GPS 신호를 방해하고, 신호 강도를 약화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GPS는 고도가 높은 지역에서 정확도가 떨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고도가 높아지면서 GPS 신호가 지표면에서 송신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오로라 과학적원리와 극지방에서 나타나는 이유도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오로라는 지구의 극지방에서 관측되는 아름다운 현상입니다. 이 현상은 태양 풍과 지구의 자기장 상호작용으로 인해 발생합니다.태양은 태양풍이라는 높은 속도로 이동하는 전자와 프로톤으로 구성된 입자들을 방출합니다. 이들 입자는 태양으로부터 지구로 향하며, 이 과정에서 지구의 자기장을 통과하게 됩니다.지구의 자기장은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보호막 역할을 합니다. 태양풍의 입자들이 지구의 자기장과 상호작용하면서, 입자들은 자기장을 따라 움직이게 됩니다. 이때, 입자들은 자기장의 극지방인 북극과 남극 근처로 몰리게 됩니다.입자들이 극지방으로 몰리면 지구의 대기와 상호작용하게 됩니다. 이 상호작용으로 인해 입자들은 대기 중의 원자와 분자와 충돌하게 되고, 이 때 발생하는 에너지로 인해 빛이 방출됩니다. 이 빛이 오로라로서 관측되는 현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