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빛을 내는 행성들이 어마어마하게 많은데도 우주는 왜 새까맣게 보일까요?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가 왜 새까맣게 보이는지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첫째로, 빛은 행성과 다른 천체들 사이를 여행하는 동안에도 소멸하거나 흩어지기 때문입니다. 빛은 직진하며, 빛이 우리에게 도달하기까지의 거리가 아주 멀기 때문에 많은 빛이 우주의 빈 공간에서 사라지거나 흩어집니다.둘째로, 우주는 광선이 없는 빈공간으로서, 우주의 대부분은 어둡습니다. 별과 행성은 빛을 발하는 천체이지만, 그 양이 우주의 크기와 넓은 영역에 비해 아주 작기 때문에 우주 전체적으로는 어둡게 보입니다.마지막으로, 우리가 지구에 있는 한 우주의 일부분만을 관찰할 수 있기 때문에 우주 전체를 볼 수 없습니다. 우리가 볼 수 있는 우주는 매우 한정된 영역이며, 그 외의 넓은 우주는 우리로서는 볼 수 없는 것처럼 보입니다.
Q. 대형 선박의 하단의 앞부분은 왜 볼록한가요?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대형 선박의 하단 앞부분이 볼록한 이유는 수중 저항을 줄이기 위함입니다. 이 부분을 "선 마루" 또는 "보우"라고도 합니다.선박이 수면 아래로 이동할 때, 수중에서 압력이 생성됩니다. 볼록한 선 마루는 이 압력을 분산시켜 선박의 전방으로 흐르는 물의 저항을 최소화합니다. 이는 선박의 속도를 향상시키고 연료 소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항해 효율성을 높여줍니다.또한, 볼록한 선 마루는 파도와 바람에 의한 외부 자극에 대한 안정성을 제공합니다. 파도가 선박에 부딪히는 경우, 볼록한 형태는 파도의 에너지를 흩뿌리고 선박을 안정시킵니다. 마찰을 줄여 선박이 파도를 효과적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Q. 상동염색체 비분리의 경우 어떤질병이 발생하나요?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상동염색체 비분리는 염색체의 특정 부분이 분리되지 않고 함께 유지되는 유전적 상태를 말합니다. 이로 인해 특정 질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가장 잘 알려진 상동염색체 비분리는 엑스트라 21번 염색체로 인한 다운 증후군입니다. 다운 증후군은 지적 장애, 근육 조절 문제, 얼굴과 손가락의 형태적인 변화, 심장 결손, 소화기 이상 등 다양한 증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또한, 상동염색체 비분리는 다른 염색체에도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다른 유전적 질환과 관련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상동염색체 비분리로 인해 유전적으로 유발되는 유전자 변이는 난청, 심장 이상, 정신 발달 지연, 유전성 암 등 다양한 질병과 연관될 수 있습니다.
Q. 왜 인간은 동물들에 비해 갓 태어났을 때부터 성장이 매우 느린가요?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인간이 태어날 때부터 성장이 느린 이유는 인간의 뇌와 몸이 복잡하게 발달하기 때문입니다. 인간은 다른 동물들과 달리 뇌가 크고 복잡하며, 더욱 복잡한 인간 사회에서 살아야 하기 때문에 태어날 때부터 아직 발달하지 않은 뇌와 몸을 가지고 태어납니다.인간은 태어난 후 뇌와 몸이 점차적으로 발달하면서 성장합니다. 뇌의 발달은 특히 느리게 일어나며, 뇌의 발달이 완성되는 시기는 약 20여년 정도로 매우 오래 걸립니다. 이러한 느린 성장의 결과로 인간은 태어난 후 상대적으로 취약해지며, 장기간 돌봐줘야 하는 수고로움이 있습니다.
Q. 다운증후근의 발생하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다운 증후군은 보통 엑스트라 21번 염색체를 가진 개인들에게서 발생하는 유전적 이상으로 인해 생기는 유전적 질환이며, 이러한 이상은 주로 유전적인 문제로 인해 발생합니다.일반적으로 인간의 세포는 46개의 염색체를 가지고 있으며, 이 중 23번 쌍은 아버지와 어머니로부터 각각 하나씩 전달됩니다. 그러나 다운 증후군 환자의 경우, 엑스트라 21번 염색체 하나가 추가로 전달되어 총 47개의 염색체를 가지게 됩니다. 이러한 엑스트라 21번 염색체는 일반적으로 엄마의 나이가 많을수록 더 자주 발생합니다.이러한 엑스트라 21번 염색체 때문에 생기는 이상은 생리학적인 문제를 일으키며, 지적 장애, 근육 조절의 문제, 얼굴과 손가락의 형태적인 변화, 심장 결손, 소화기 이상 등의 증상을 일으키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