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김기태 전문가
보성고등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철학
약 1개월 전 작성 됨
Q.
노력보다 운이 더 중요한 순간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운칠기삼이라는 한자가 말해주듯이 운이 70이고 기가 30이라는 말입니다. 이는 옥황상제가 정의의 신(3잔) 운명의 신(7잔)의 술대결을 통해 세상은 운이 7할이고 이치가 3할 작동한다고 설명하며 노력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철학
약 1개월 전 작성 됨
Q.
나이가 들수록, 침묵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농경사회에서의 노인들의 삶의 지혜의 산물이었습니다. 그러나 산업사회를 거쳐 후기산업사회 즉 정보사회로 진입하면서 노인들의 삶의 지혜는 더 이상 필요가 없게 되었습니다. 새로운 지식이 수없이 생산되고 사회가 급박하게 돌아가며 정보의 바다라고 불리울 정도로 셀 수 없는 지식이 생산되기 때문입니다. 세계화와 정보화로 수많은 지식을 통해 문제를 간단히 해결할 수 있기에 노인의 삶에서 얻은 경험과 노하우는 더이상 필요치 않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철학
약 1개월 전 작성 됨
Q.
철학적으로 행복을 객관적으로 설명하거나 기준을 세울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행복의 객관적 기준은 물질적 충족을 의미하는 것으로 주택 자동차 자금 등과 같은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일정 수준이 되면 물질적 충족만으로는 행복을 느끼지 못하고 사랑 우정 자유와 여유로움 심리적 만족감 등의 정신적인 만족이 있어야 진정한 행복에 이르게 됩니다. 다시 말해 객관적 요소와 주관적 요소 모두를 아울러야 비로소 진정한 행복에 이르게 되는 것입니다.
철학
약 1개월 전 작성 됨
Q.
소크라테스가 죽음을 택한 결정은 현대 사회의 법과 도덕 관계에 어떤 시사점을 줄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소크라테스가 아테네의 신을 믿지않고 다른 신을 섬겼으며 청년들을 타락시켰다는 이유로 법정에서 사형 선고를 받았고 감옥에 있을 때 그의 친구들 메논이나 크리톤이 해외 망명을 권유했으나 소크라테스는 죽음을 받아들이기로 결심합니다. 그 이유는 이미 70세로 고령이기에 살 날이 얼마 남지 않았고 자신의 신념을 꺽지 않겠다는 의지 때문입니다. 자신은 평소 아테네를 위해 옳은 말을 해왔고 탈옥한다면 자신의 가르침이 빛을 바란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철학
약 1개월 전 작성 됨
Q.
49년1월13일이라면 띠가 어찌되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음력으로 하면 48년이 될 수도 있어서 쥐띠 여부 논란이 있는 것 같습니다. 49년생은 소띠가 맞습니다.
철학
약 1개월 전 작성 됨
Q.
현대 사회에서 실존주의 철학이 여전히 유효한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실존주의는 제1, 2차 세계대전과 과학기술의 발달에 따른 인간소외 인간성상실 비인간화 현상에 따른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주체성 회복의 철학입니다. 오늘날에도 여전히 인간 소외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인간성상실과 비인간화현상이 자행되고 있기 때문에 실존주의에서 강조하고 있는 사상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철학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고대 민주주의와 현대 민주주의는 어떤 차이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고대 민주주의는 직접 민주주의이고 현대 민주주의는 간접 민주주의로 대의 민주주의입니다. 주민들이 대표를 뽑아서 그 대표들이 민의를 대표하는 의사표현을 하는 것입니다. 다만 고대 민주주의가 직접 민주주의지만 전체 국민이 참여했던 것이 아니라 여성과 노예는 참여가 제한되었기에 진정한 직접 민주주의라고는 할 수 없습니다. 아고라(광장)에 사람들이 직접 모여서 의사 결정을 하였습니다. 오스토라시즘(도편추방제-기피인물을 투표를 통해 결정하고 기피인물로 선정되면 국외로 10년 간 추방함)과 같은 중요한 결정을 직접 결정하는 방식이었습니다.
철학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고대 중국의 춘추전국시대의 여러 철학은 어떤 배경에서 나온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중국은 하은주 시대 이후 춘추전국시대가 전개되면서 수많은 제후국들이 난립하면서 극도의 사회적 혼란을 겪게 됩니다. 아비가 자식을 죽이고 자식이 아비를 죽이며 왕이 신하를 살해하고 신하가 왕을 시해하는 등 극심한 사회적 혼란상태에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 나온 사상들을 제자백가사상이라고 합니다. 공자와 맹자로 대표되는 유가 노자와 장자의 도가 이사와 한비자의 법가 묵자의 묵가 이외에도 명가 종횡가 음양가 등등 사상들이 사회혼란의 방안을 내세우며 등장한 것입니다.
철학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깨달음은 노력에서 오는건가요? 재능에서 오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깨달음은 단박에 깨우칠 수 있는 것이 있고 공부를 통해서 깨우칠 수도 있습니다. 불교에서 학습을 하지 않아도 단박에 깨우칠 수 있다는 분파가 선종이고 학습을 통해서 깨우침에 이른다는 분파가 교종입니다. 고려시대 보조국사 지눌은 단박에 깨우치더라도 습성이 남아 있기때문에 번뇌를 씻어내야 한다는 돈오점수를 주장하였고 대각국사 의천은 교종과 선종을 함께 닦아야 한다는 교관겸수를 주장하기도 하였습니다.
철학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플라톤은 왜 철학자가 왕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플라톤은 동굴의 비유를 통해 모든 사람들이 동굴에 갇혀서 진짜 태양을 보지 못하고 태양의 빛만을 보며 태양이라고 착각하면서 살아간다고 보았습니다. 동굴은 현상의 세계로 감각적 경험을 상징하고 태양은 이성 즉 진리를 상징합니다. 그래서 동굴 안에 갇혀 있던 사람 중에 동굴 밖으로 나온 사람을 깨달은 자 즉 철인이라고 불렀으며 철인이 왕이 되거나 왕이 철인이어야만 동굴 안에 갇혀 있는 사람들을 동굴 밖인 진리의 세계 즉 이데아의 세계로 인도할 수 있다고 본 것입니다. 이와 같이 철인통치론을 통해서 지혜 용기 절제 정의에 바탕을 둔 이상국가로 나아갈 수 있다고 본 것입니다.
1
2
3
4
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