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김기태 전문가
보성고등학교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에 가장 컸던 전쟁은 어떤 전쟁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 시대에는 크고 작은 전쟁이 많이 발생하였으나 가장 큰 전쟁은 1592년에 일어난 임진왜란입니다. 왜군의 피해는 20만명 정도이고 우리나라는 군과 민간인 등 100만명정도의 피해를 입었으며 명나라군도 2만여명의 사망자가 발생하였습니다. 1636년 병자호란도 우리나라에 엄청나게 많은 피해와 20여만명의 포로들이 청나라에 끌려가는 등 피해가 컸으나 임진왜란으로 인한 피해가 더 컸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카톨릭에서 기독교가 분리된 이유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기독교는 구교와 신교로 나누어지는데 구교에는 로마의 카톨릭(천주교)과 그리스정교가 있습니다. 신교는 개신교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기독교=개신교로 생각하는데 기독교는 포괄적인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신교는 프로테스탄티즘(신교주의)로 불리는 마르틴 루터와 칼벵이 주도한 종교개혁에 바탕을 두고 있습니다. 성서 제일주의와 만인 사제주의를 주창한 마르틴 루터는 성서를 중심으로 누구나 신과 만날 수 있는 존재임을 강조한 것입니다. 천주교는 로마의 카톨릭으로 로마의 주교이자 바티칸 시국의 국가원수인 교황을 수장으로 하는 그리스도 교단이며 성좌와 일치하는 교회를 통틀어 말합니다. 개신교는 16세기 종교개혁의 결과로 로마 카톨릭 교회에서 떨어져 나와 성립된 종교 단체 또는 그 분파를 통틀어 이야기한 것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아좌태자에 대해 한국 역사기록에 없는 이유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백제 27대 왕 위덕왕의 아들인 아좌태자는 그림을 잘 그려 화가로 알려져 있습니다. 597년(위덕왕 44년) 일본에 건너가 쇼토쿠 태자의 스승이 되었습니다. 그가 그린 쇼토쿠 태자의 초상화가 나라현의 호류사에 남아 국보로 전하였는데 1949년 소실되어흡니다. 아좌태자가 일본에 건너온 이듬해 위덕왕이 죽자 숙부(혜왕)가 왕위를 이었습니다.
음악
음악 이미지
Q.  어떤 이유로 일본은 계속 독도를 일본땅이라고 우기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독도 분쟁은 대한민국 울릉도와 일본 도고섬 사이에 위치한 두 개의 암초(한국명 독도 일본명 다케시마 국제명 리왕쿠르 암초)에 대해 대한민국과 일본이 각각 영유권을 주장하여 생긴 영토 분쟁을 말합니다. 일본은 한국이 독도의 존재를 알지 못한 1600년경에 일본 어부들이 독도 근처에서 어업을 하다가 독도를 발견했다는 것입니다. 제2차 세계대전에서 패전한 일본은 1951년 미국 영국 등 연합국과 맺은 대일강화조약에 따라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 3167개의 도서에 대한 권리를 포기하였습니다. 독도를 명시적으로 표기를 안했기 때문에 독도는 자신들에게 영유권이 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독도는 울릉도에서 87.4km떨어져 있는 반면 일본은 오키섬에서 157.5km떨어져 있습니다. 1953년 4월 울릉도 주민을 중심으로 독도의용수비대가 결성되었고 1954년 1월 한국령 영토표지를 설치하고 8월에는 무인등대를 설치하였습니다. 1956년 한국 경찰이 독도 경비임무를 인수하고 일반인들의 출입을 금지하였습니다. 1981년 헬리콥터 이착륙 시설을 설치하고 1993년 레이더 기지 1997년 500t급 선박의 접안시설과 어민숙소 1998년 유인 등대를 설치하였습니다. 대한민국 정부는 역사적 지리적 국제법상으로 독도는 대한민국 영토이며 분쟁 지역이 아닙니다. 실효지배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의 종기로 죽은 왕이 누구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 왕들 중에 종기로 사망한 경우가 가장 많습니다. 조선시대 왕 27명 중 12명이 종기가 원인이 되어 사망하였습니다. 문종 성종 연산군 중종 광해군 효종 현종 숙종 경종 정조 순조 헌종 등입니다. 대표적으로 정조는 홧병으로 인한 종기로 결국 죽음에 이르렀습니다. 문종이 종기로 고통스러워 하자 의원들이 뿌리까지 뽑아내자 세종이 크게 기뻐했다는 기록이 있고 성종이 작은 종기를 앓았다고 전해지며 숙종의 엉덩이에 종기가 났다는 기록 등이 조선 왕조 실록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사망직전 한달전까지 건강했던 정조가 급하게 사망한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임기 말년 정조는 병환에 시달리고 있었습니다. 정조 24년 6월 28일 왕은 위독한 상태에 빠졌고 의원들의 집중 처방에도 증세는 악화되고 있었습니다. 이날 저녁 병석에 누운지 보름만에 정조는 죽게됩니다. 승정원 일기에 정조 독살설 기록이 나옵니다. 누군가 왕의 죽음에 의관이 개입되었음을 주장하고 나선 것입니다. 정조가 사망한 지 두달만에 인동부(지금의 구미)에 사는 영남 유학자 집아의 장시경이라는 자는 의혹을 제기하고 형제 및 노비들과 정조를 죽인 역적을 칠 것을 모의하다 죽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그만큼 정조의 죽음은 선비들이 목숨을 걸만큼 의심스러웠습니다. 독살설 또는 가설일지라도 이는 그만큼 당시의 치열한 당파싸움을 상징합니다. 의심1 수은중독입니다. 의심2 내의원들의 수상한 동태 등입니다. 한의학자들은 1. 치료시기는 놓친 것 2. 연훈방과 성보고를 단기간에 다량으로 사용한 것 3. 치료가 완치되지 않았는데도 경옥고를 처방하고 기름진 음식으로 몸을 보완하려 했다는 것입니다. 위 세 가지 이유로 정조의 죽음에 의심을 갖지만 정조는 홧병으로 인한 종기에 의해 죽은 것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 후궁을 제외한 노비출신으로 가장 높은 관직에 오른 인물은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 세종 때 과학자로 널리 알려진 장영실은 자동으로 시간을 알려주는 물시계인 자격루를 우리나라 최초로 만든 인물입니다. 장영실의 아버지는 중국에서 귀화한 인물로 노비는 아니었으나 어머니 신분을 따라서 장영실은 동래현의 관노를 태어났습니다. 장영실의 재주가 조정에 알려지자 태종이 발탁했고 세종 때는 중국에 유학을 다녀와 물시계인 자격루를 만들었습니다. 노비신분에서 종3품인 대호군에 이르게 됩니다. 장영실이 만든 가마가 부서져 세종이 다치는 사건이 발생한 이후로 장영실의 기록을 없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우리나라 불교는 언제부터 믿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불교가 우리나라에 전래된 것은 삼국 시대부터이며 고구려 소수림왕 2년(372년)에 전진의 스님인 순도가 불상과 불경을 가지고 와서 전파하였습니다. 백제는 침류왕(384년) 때 동진의 스님인 마라난타가 영광 법성포를 통해 전파하였고 신라는 순도의 제자인 아도가 전파하려 했으나 워낙 샤머니즘의 신앙이 강하여 암암리에 전파하다가 법흥왕 때 이차돈의 순교로 불교를 공식화하였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명나라의 만력제는 어떤 황제였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명 신종 만력제는 명나라의 제 13대 황제입니다. 융경제의 3남입니다. 1572년-1620년까지 48년간 재위하였습니다. 만력제는 정치를 잘 모르던 초기에는 장거정에게 맡겼습니다. 오랫동안 그의 스승이라는 인연때문입니다. 장거정의 교육방식은 너무 엄격해 어린 만력제의 숨통을 조이기 일쑤였습니다. 공론을 줄이고 명실상부 기강확립 명령복종 군비확충 등을 중시한 그는 철혈재상이었습니다. 그러면서도 단호하게 국사를 처리였으며 개혁에도 열심이었습니다. 만력제가 제위에 오른 지 10년째 되던 해 장거정이 세상을 떠났습니다. 만력제는 장거정 사후 여러 신하들의 간언을 무시해왔으나 장거정의 재산이 자신보다 많다는 보고에 가산을 몰수하였습니다. 이후 만력제는 30여년간 정사를 돌보지 않고 나라에 위급한 일이 생겨도 동전 한잎 내놓지 않았으며 반면에 돈이 되는 일이라면 무엇이든지 하였습니다. 황제가 돈을 밝히니 고관과 환관들은 매관매직을 하는 탐관오리가 되어갔고 정치에 관심없던 만력제는 아부하는 자를 재상에 앉히고 오로지 치부에만 열성이었고 거기에 술과 여자까지 밝히게 됩니다. 만력제 사후 3명의 황제가 뒤를 이었으나 이미 명나라는 만력제 때부터 기운이 다한 것으로 민심이반이 나타났고 이자성의 난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명나라가 망한 것은 숭덕제가아니라 만력제 때문이라고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백제 멸망 후 백제에 대한 평가 중에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은고는 백제의 마지막 왕인 의자왕의 왕비입니다. 군대부인이라는 별칭으로도 불립니다. 나당 연합군에 의해 백제가 망한 후 660년(의자왕 20년) 7월 13일에 당나라 장수 소정방에게 당나라로 끌려갔습니다. 대당평백제국비문, 일본서기는 백제의 군대부인이라는 요녀가 백제의 군대부인이라는 요녀가 백제 멸망에 크게 작용했다고 하는데 군대부인과 은고가 동일인이라는 주장이 있습니다. 무도하여서 국병을 마음대로 빼앗고 현량들을 주살하여 백제가 망하는 화를 초래하였다고 합니다.
30130230330430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