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김기태 전문가
보성고등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역사
2023년 12월 13일 작성 됨
Q.
이슬람과 유대교에서 이야기하는 성지가 같은 곳이라는데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성지 예루살렘은 아브라함의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 3종교의 성지입니다. 유대교와 기독교는 최고의 성지로 보는 반면 이슬람에서는 메카와 메디나에 이은 제3의 성지로 보고 있습니다. 서예루살렘 지방의 이스라엘 민정관청은 도심과 부도심을 포함한 예루살렘 시가지 전체를 다스리는 반면에 동예루살렘 지방의 팔레스타인 민정관청은 농촌과 달동네를 포함한 동쪽방면의 교외만 다스리고 있습니다.
철학
2023년 12월 13일 작성 됨
Q.
소크라테스의 '아는 것이 좋은 것이다'는 주장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소크라테스는 델포이 신전에 쓰여 있던 "너 자신을 알라(Know thyself)"라는 말을 하고 다님으로써 무지에 대한 자각을 일깨워 진지를 갈망하는 태도를 갖게 하는 것이 목적이었습니다. 무지때문에 악한 행동을 하게 되니까 알게 되면 덕을 행하게 되고 복을 받는다는 지덕복합일설을 주장한 것입니다. 주지주의와 지행합일설 그리고 지덕복합일설을 강조했으며 진리탐구방법으로 산파술을 주장하였습니다.
역사
2023년 12월 13일 작성 됨
Q.
삼국 신라시대 때 마립간이라는 왕의 칭호를 처음 사용했으며, 김 씨세습의 왕권을 정립했던 왕은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신라시대 왕의 칭호 중에 하나로 마립간은 우두머리를 칭하는 것입니다. 삼국유사에는 17대 내물왕 삼국사기에는 19대 눌지왕부터 시작되었다고 기록되어 있어 시대적 차이가 있습니다. 내물왕 때 고구려의 지원하에 사로국이 진한 여러나라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시키고 백제와 가야 및 왜의 세력을 격파하면서 지배 질서를 확립해 갔다는 점에서 내물왕 대설은 타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김씨에 의해 왕위가 세습되는 체제는 17대 내물왕 때였으며 부자상속체제는 19대 눌지왕 때부터였습니다.
역사
2023년 12월 13일 작성 됨
Q.
성지 예루살렘은 원래 어디에 소속된 땅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레반트의 예루살렘과 팔레스타인에 걸쳐 있는 도시로 아브라함 계통의 종교인 유대교와 기독교 이슬람교 세 종교의 성지입니다. 유대교와 기독교는 최고의 성지로 보는 반면 이슬람에서는 메카와 메디나에 이은 3번째 성지로 대우합니다. 예로부터 서아시아와 북아프리카 및 북아메리카와 서유럽에서 매우 깊은 관심을 가진 곳들 가운데 하나였고 오늘날에도 역사학과 고고학의 관점이나 사회학과 종교학의 관점에서 유서깊은 도시입니다. 십자군 전쟁은 11세기 말부터 13세기 말 사이에 서유럽의 그리스도인들이 성지 팔레스티나와 성도 예루살렘을 이슬람교도들로부터 탈환하기 위해 8차례에 걸쳐 감행한 전쟁이었습니다.
역사
2023년 12월 13일 작성 됨
Q.
정강의변은 무엇인지 알수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126년 북송이 여진족의 금나라에 패하여 수도 변경(지금의 카이펑/개봉)이 함락되고 송의 황제였던 휘종과 흠종을 포함한 황족들이 몽땅 금나라로 잡혀간 사건입니다. 당시 북송의 연호가 정강이었기 때문에 정강의 변이라고 부릅니다.
역사
2023년 12월 13일 작성 됨
Q.
일제 강점기 때 이상재, 시재호, 안재홍 등이 참여해서 비타협적이고 투쟁적인 운동을 전개한 이 단체의 이름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27년에 조직된 신민회는 이상재 시재호 안재홍 등이 참여해 항일민족운동을 전개하였습니다. 민족의 단결과 정치 경제적 각성을 촉구하였으며 비타협적이고 투쟁적인 운동을 전개하였습니다.
역사
2023년 12월 13일 작성 됨
Q.
일제강점기 때 장지연 선생이 '시일야 방성대곡'이라는 사설을 이 신문에 게재했는데 이 신문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황성신문 주필인 장지연이 1905년 11월 20일에 황성신문에 올린 글입니다. 시일야 방성대곡은 이날에 목놓아 크게 우노라의 의미입니다. 장지연은 이 글에서 황제의 승인을 받지 않은 을사조약의 부당함을 알리고 이토 히로부미와 이완용 박제순 이지용 이근택 권중현 등 을사오적 친일파를 규탄하였습니다.
역사
2023년 12월 13일 작성 됨
Q.
달력은 왜 음력과 양력이 잇으며 어떤 역사를 가지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태음력은 달의 삭망을 기준으로 역법입니다. 순태음력을 주로 말하지만 태음태양력을 줄여서 태음력이라고 합니다. 순태음력은 29일 작은 달과 30일 큰달을 번갈아 두고 1년 364일이며 30년에 11일의 윤일을 두어 달의 삭망과 날짜가 맞도록 하였습니다. 태양력은 태양의 운행을 기준으로 만든 역법입니다. 태음력과 상대되며 이집트에서 기원전 18세기 경 1년 365일을 만든 것이 기원입니다. 그후 1년이 365.25일이라는 것을 알게 되면서 율리우스력에 채용되어 4년마다 1일이 더해지는 윤년이 생기게 되었습니다. 1582년 그레고리력으로 이어져 현재에 이르렀습니다.
역사
2023년 12월 13일 작성 됨
Q.
무덤에 세우는 비석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묘지에 비석을 세우는 이유는 고인의 정보와 고인의 생전 업적을 기리기 위한 추모글을 적기 위함입니다. 요즘에는 가족에 대한 정보도 함께 적는 경우가 많습니다. 어찌되었든 비석은 어떤 고인을 모시는 지에 대한 표식입니다. 우리나라에 비석이 언제부터 세워졌는지 확실치 않으나 삼국시대인 고구려 광개토대왕비가 세워진 것으로 보아 그 이전부터 있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역사
2023년 12월 13일 작성 됨
Q.
"구상나무" 가 세계적으로 퍼진 유래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구상나무는 제주도와 대한민국 산지에서만 자생하는 고유종이며 바늘 모양의 돌기가 갈고리 모양으로 생긱데서 유래하였습니다. 크리스마스 트리용으로 사용되는 나무 중 하나이며 현재는 멸종 위기종입니다. 구상나무가 크리스마스 트리용이라는 소문은 한국에 널리 퍼져있으나 이는 오해이며 은전나무 노르웨이전나무 돌소나무 발삼전나무 실베스트리스전나무 금송 등 트리용나무는 많이 있습니다. 구상나무를 신종 식물로 발표한 사람은 영국 식물학자 어니스트 헨리 윌슨입니다.
301
302
303
304
30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