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김기태 전문가
보성고등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역사
2023년 11월 26일 작성 됨
Q.
한국전쟁시 사망자는 총 몇명 정도나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정확한 수는 알 수 없으나 군인 137899명 미군36492명 영국군1177명 터키 1005명 캐나다 516명 등이며 북한군은 40만명 중공군은 20만명 가까운 전사자가 발생했으며 여기에 민간인을 합하면 300만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역사
2023년 11월 26일 작성 됨
Q.
일본에서 교회가 적은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일본은 고유 신앙인 신도와 불교를 믿는 신자수가 많아서 기독교가 전파되지 못했습니다. 일본 인구 1억2천 5백만명 중 신도를 믿는 신도수가 1억1천만명이며 불교도가 9천만명이나 되기 때문에 기독교나 천주교 신도수는 5%도 되지 않습니다. 대부분 신도이면서 불교도인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신도는 우리나라의 샤머니즘 마나이즘 토테미즘 등을 버무려 놓은 것처럼 다양한 신들을 믿는 원시신앙적 요소입니다. 태양과 달과 같은 사물을 믿거나 영혼을 숭배하거나 동물이나 식물을 숭배하거나 심지어는 전쟁영웅을 숭배하기도 합니다.
역사
2023년 11월 26일 작성 됨
Q.
고려때 현종을 황제로 세운 강조란 장수는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강조는 평양 서북면도순검사로 근무하던 중 고려 7 대 왕 목종의 부름을 받고 개경으로 5000여 명의 군사를 이끌고 들어오게 됩니다. 목종은 18세에 즉위하였으나 여전히 모후인 천추태후가 실권을 쥐고 있었고 목종이 20세에 후사없이 병석에 눕자 천추태후는 김치양과의 사이에서 낳은 자식을 후계자로 삼으려 합니다. 이를 안 목종은 불교에 귀의해 불자가 되고자 한 대랑군을 궁으로 불러 후계자로 삼고자 하였습니다. 강조는 군사를 이끌고 오던 중 왕이 죽었다는 헛소문을 듣게 되었으나 그대로 궁에로 진군을 하여 천추태후와 목종을 유배시키고 김치양과 그의 아들을 죽였으며 대랑군을 왕위에 앉히고 목종 또한 유배길에서 죽이게 됩니다. 이런 강조의 정변을 빌미로 거란은 2차 침입을 하였고 강조는 전쟁에 패하여 죽임을 당하게 됩니다.
역사
2023년 11월 26일 작성 됨
Q.
고려 현종이 고려 최대 성군이라는데?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 8대 왕아 현종은 불가에 귀의하려고 했으나 7대 왕 목종의 부름을 받고 오던 중 강조의 정변으로 목종이 폐위되자 이어서 왕위를 계승하게됩니다. 왕에 오른 후 국가의 기틀을 마련하고차 노력하여 호족세력에 대한 직접적인 통제책과 군현제의 완성을 이뤘습니다. 1018년 5도 양계체제와 경-목-도호-군-현-진의 군현제의 기본골격을 완성하였습니다. 그리고 대외적으로는 거란의 2차(1010년)와 3차(1018년)침입에 2차 때는 나주까지 피신을 해야했지만 현종의 입조를 조건으로 물러갔으며 3차 때는 약속을 지키지 않는다는 이유로 침입해왔으나 귀주에서 강감찬 장군에게 대패하여 돌아갔습니다 불경으로 외적을 물리치고자 6000여 권의 대장경은 현종 대의 업적입니다.
역사
2023년 11월 26일 작성 됨
Q.
광해군을 폭군이라고 할 만한 근거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광해군은 조선 15대 왕으로 임진왜란 이후 부국강병에 힘을 쏟았습니다. 하지만 인조반정으로 폐위되었습니다. 전쟁 중에는 왕세자로 분조를 이끌어 황해도 강원도 평안도를 돌아다니며 민심을 안정시키고 군을 독려하였으나 전쟁이 끝난 후 선조는 영창대군을 세자로 삼으려다 뜻을 이루지 못하고 죽게 됩니다. 광해군은 대북파의 지원을 받아 왕위에 오른 뒤 영참대군을 폐서인하고 사사시켰으며 인목대비를 서궁에 유폐시킵니다. 결국 이것이 빌미가 되어 서인주도의 반정으로 1623년 폐위를 당하게 됩니다. 펴위되어 강화도로 유배되었다가 제주도로 옮기게 됩니다. 명과 후금 사이의 중립외교와 선혜청 통한 빈민구제를 행하고 궁들의 복원을 이루는 등 업적이 많았음에도 폭군으로 몰아간 것은 정치적 갈등이 크게 작용한 것입니다.
역사
2023년 11월 26일 작성 됨
Q.
인현왕후가 쫓겨났던 장희빈을 다시 궁으로 불러들이려고 한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인현왕후 민씨는 조선 19대 숙종의 두 번째 왕비로 조선 역사상 두번 중전에 오른 타이틀을 가지고 있습니다. 인현왕후는 중전에 오는지 3년이 된 1684년에 인현왕후는 뜻밖에도 장희빈을 다시 궁으로 부를 것을 숙종에게 먼저 제안합니다. 왕의 승은을 입은 궁녀를 민가에 방치하는 것이 미안한 일이라며 왕실의 체면을 이유로 내세웠습니다. 그해 1월 대비 명성왕후가 사망하면서 궁 안에 장희빈을 반대할 인물도 더 이상 없는 상태였습니다. 학자들은 이미 장희빈을 그리워하는 숙종의 마음을 눈치 챈 인현왕후가 차라리 숙종 편을 들어주면 부부관계가 좋아질 것으로 생각해서 한 행위로 해석하고 있습니다. 인현왕후의 배려로 장희빈은 4년만에 궁으로 돌아왔습니다. 하지만 인현왕후의 호의는 오히려 독이 되었습니다. 사랑에 푹 빠진 숙종은 장희빈 처소에만 들를 뿐 인현왕후에게는 더욱 무관심해졌습니다. 더구나 장희빈은 남인세력을 등에 업고 있었기에 인현왕후의 가문인 서인세력과는 정적관계였습니다. 남인세력에게는 장희빈에 대한 총애가 일종의 기회로 여겨졌을 것입니다.
역사
2023년 11월 25일 작성 됨
Q.
친일파 가운데 국립묘지에 안장된 인물은 어떤 사람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대한민국 초대 특무대장을 지닌 김창룡 내 첫 출진의 목표는 야스쿠니 신사에 안장되는 것이다라고 하여 조선 청년들을 전쟁으로 내몰았던 일본군 장교였다가 4대 국방장관에 오른 신태용 일본 육군 대령이었다가 초대육군참모총장에 오른 이응준 가도특설대에 근무했다가 육군 1군단장이 된 김백일 등 2009년 대통령직속 위원회가 지명한 친일반민족자는 1000명 가운데 11명이었고 민족문제연구소가 발간한 친일인명사전에는 68명의 친일군인 묘가 국립현충원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역사
2023년 11월 25일 작성 됨
Q.
거란족은 어떻게 해서 국력을 키우고 요나라를 건국하게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문화ㆍ예술전문가입니다.거란족은 퉁구스족과 몽골족의 혼혈의 유목민족입니다. 5세기 이래 요하의 상류인 시라무렌 유역에서 여러 부족으로 분열되어 거주하였는데 당나라 말기에 통일의 기운이 일어나면서 916년 아율아보기가 여러 부족을 통합한 다음 통합한 다음 스스로를 황제라 칭하고 거란을 건국하였습니다. 이에 물자가 풍부한 중원으로 진출하기 위해 926년 발해를 멸망시키고 화북의 연운 16주를 획득하고 947년 국호를 요로 개칭한 다음 계속 남진하였으나 960년 송이 건국되면서 대치하는 상태가 되었습니다. 대제국을 형성한 거란은 북쪽의 초원지대와 남쪽의 농경지대로 구분되었기 때문에 호한이원적분치제도를 형성하였습니다.
역사
2023년 11월 25일 작성 됨
Q.
뉴질랜드에 양모산업이 발달한 이유?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산업구조는 옆나라 호주와 비슷한데 낙농업과 천연자원 수출 등 1차 산업으로 번 돈을 금융업과 IT산업 등 3차 산업에 투자하는 형식입니다. 1차 산업하면 주로 양 양고기와 양모와 소 돼지고기 버터 치즈 포도주 생산으로 유명합니다. 뉴질랜드에는 낙농업으로 세계에서 가장 큰 폰테를 비롯해 웨스트골드 등 경쟁력있는 낙농업 기업들이 많습니다. 세계에서 제일 큰 낙농업을 보유한 나라답게 소 양 말이 흔합니다. 이런 이유로 양모산업이 발달하였습니다.
역사
2023년 11월 25일 작성 됨
Q.
우리나라 역대 왕들 중 가장 많은 후궁을 둔 왕은 누구일까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 태조 왕건입니다. 그는 건국 과정에서 호족과 공신 귀화귀족들을 회유하기 위한 혼인정책으로 제1황후 외에 6비까지를 왕후라고 부르고 부인이라 칭한 후궁만 20명을 두었습니다.
346
347
348
349
35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