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김기태 전문가
보성고등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역사
2023년 11월 6일 작성 됨
Q.
헤즈볼라가 무슨 집단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헤즈볼라는 레바논을 실질적으로 지배하는 군벌정당으로 팔레스타인의 하마스보다 훨씬 강력한 무기와 전력을 가진 단체로 이란의 지원을 받고 있는 이슬람 무장단체입니다. 헤즈볼라의 참전은 단순한 무장단체의 참전 이상의 의미를 담고 있기 때문에 서방이나 미국이 우려를 표방하고 있는 것입니다.
역사
2023년 11월 6일 작성 됨
Q.
11세기 십자군 전쟁은 어떤 이유로 일어났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1세기 말부터 13세기 말 사이에 서유럽의 그리스도교도들이 성도 팔레스티나와 성도 예루살렘을 이슬람교들에게서 탈환하기 위해 총 8회에 걸쳐서 일으킨 전쟁입니다. 그리고 이 전쟁에 참여한 군사들을 십자군이라고 부릅니다. 당시 이 전쟁에 참여한 기사들이 가슴과 어깨에 십자가 표시를 했기 때문입니다.
역사
2023년 11월 6일 작성 됨
Q.
식민지를 가장 많이 갖았던 나라는 어디일까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식민지 쟁탈전을 벌렸던 나라들은 영국과 프랑스 스페인과 포르투갈을 들 수 있습니다. 무적함대로 불리는 스페인도 강한 나라였지만 영국과의 전쟁에서 패한 후 국가의 위상이 약화되었으며 영국은 빅토리아 여왕 당시에 해가 지지 않은 나라라고 불리우는 명실상부한 제국주의 국가였습니다. 식민지가 북반부 뿐만아니라 남반부의 호주 뉴질랜드를 비롯한 나라까지 식민지로 확보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입니다. 프랑스와도 쟁탈전을 통해서 승리하는 등 식민지 쟁탈전에서 앞서 갔습니다.
역사
2023년 11월 6일 작성 됨
Q.
우리나라 역사상 김치찌게는 언제 부터 즐겨 먹기 시작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김치찌개는 한국의 대표적 음식의 하나로 김치를 넣고 얼큰하게 끓인 음식입니다. 된장찌개 순두부찌개와 함께 가장 잘 알려진 찌개요리입니다. 김치찌개는 김치 고추 양배추 소금 고춧가루를 이용하여 만든 김치가 등장했을 시기에 동시에 존재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김치가 너무 시어지거나 염분도가 높아 생식이 어려울 때 또는 양을 늘이기 위해 물을 넣어 끓여 먹던 방식에서 출발했다고 합니다. 궁중요리에도 소개되었으며 궁중에서는 김치조치하라고 불렀다고 합니다.
철학
2023년 11월 6일 작성 됨
Q.
소크라테스가 주장한 내성법이 어떤 의미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소크라테스의 제자인 플라톤은 스승의 가르침인 너 자신을 알라를 기록하였고 이것은 후세에 심리학적 사고의 표어로 남게 됩니다. 소크라테스의 주장은 우리의 감각이 현실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한다는 것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의 감각을 통해서는 자신에 대해서 신뢰할 수 있는 지식을 얻을 수 없으므로 소크라테스는 합리적 사고나 내성법을 써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이 내성법은 현대의 심리학에서도 사용되고 있는 연구 방법으로 자신의 정신적 내용을 묘사하는 객관적 접근법을 말합니다.
역사
2023년 11월 6일 작성 됨
Q.
훈민정음은 어떻게 만들어지게 됬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훈민정음은 조선 4대 왕인 세종대왕은 어린 백성들이 말하고자 하여도 글과 언어를 알지 못한 점을 애석하게 여겨서 집현전 학자(중국 한자를 사용하여 중국의 우수한 문화를 받아들여야 하고 한자를 사용하는데 지장이 없음)들의 반대에도 새로 28자로 만든 훈민정음을 1443년(세종 25년)에 창제하여 1446년(세종 28년)에 반포하여 널리 사용하도록 하였습니다. 한글이란 이름은 주시경에 의해 지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역사
2023년 11월 6일 작성 됨
Q.
시오니즘이 일어난 배경과 과정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로마의 침략으로 유대인들은 디아스포라(유대인의 규범과 생활습관을 유지한 채 살아가는 유대인)로 세계 각지로 흩어져 살게 되었는데 예수를 십자가에 못박혀 죽게 만든 민족이고 고리대금업 등으로 인식이 좋지 않아서 온갖 박해와 핍박을 받아야만 했습니다. 이런 핍박으로 벗어나기 위해 19세기 말부터 시오니즘(젖과 꿀이 흐르는 가나안 땅으로 돌아가자는 운동)으로 유랑생활을 마치고 팔레스타인으로 돌아오게 되는데 그곳에는 이미 터를 잡고 살고 있는 팔레스타인들이 있었기 때문에 갈등과 전쟁이 반복되고 있는 것입니다.
음악
2023년 11월 6일 작성 됨
Q.
서편제와 동편제의 차이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동편제와 서편제는 명확한 구분은 없으나 동편제는 섬진강을 중심으로 동쪽 지역인 남원 순창 곡성 구례 등지에 전승된 소리로 남성적이고 우조의 표현에 중점을 두고 기교를 부리지 않으며 발성은 통성을 사용하여 엄하게 하며 구절 끝마침을 되게 끊어내는 특징을 지니고 있습니다. 반면에 서편제는 섬진강 서쪽 지역인 광주 나주 담양 화순 보성 등지에 전승된 소리로 계면조의 표현에 중점을 두고 발성의 기교를 중시하며 다양한 기교를 부립니다.
역사
2023년 11월 5일 작성 됨
Q.
미국와 조선의 유일한 전쟁? 신미양요의 전개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866년 미국 상선 제너럴 셔먼호는 대동강에서 통상수교를 요구하며 행패를 부리다 대원군의 쇄국정책을 지키려는 평양 감사 박규수에 의해 제너럴 셔먼호는 불에 태워지고 선원들이 죽임을 당하게 됩니다. 미국은 이것을 빌미로 1871년 또 다시 통상을 요구하다가 받아들여지지 않자 강화도를 공격하여 우리 군에게 막대한 피해를 입혔으나 조선군도 끝까지 항쟁하는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전략적 후퇴를 이뤄냈습니다.
역사
2023년 11월 5일 작성 됨
Q.
우리나라에 조선족이 많이 밀려들어온 시기와 그 배경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중국은 92%의 한족과 55개의 소수민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소수민족 중 인구수를 기준으로 자치구를 인정하고 있는데 조선족도 연변에 조선인 자치구를 인정받아 지내고 있었으나 2005년 이후 인구수가 급감하여 자치구가 취소될 위기에 처해 있습니다. 2021년 170만명 정도이며 중국 내 100만 한국에 70만명이 거주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한국으로 이주가 많이 된 원인은 2005년 재외 외국인도 3년 이상 거주하면 지자체 투표권을 주었으며 3D업종에 한국인들이 일하기를 꺼려한 것이 오히려 조선족 일자리 창출로 이어졌다는 것입니다. 조선족은 과연 우리동포일까 많은 의문이 있습니다. 어느 조사에서 한중 축구시합을 하면 조선족은 어디를 응원할까라는 질문에 85%가 중국을 15%가 한국을 응원한다는 결과가 나왔고 15% 중에는 고령자가 대다수였다는 것입니다. 조선족 그들은 중국인입니다. 우리 생각에만 중국동포일 뿐이라는 것입니다. 조선족을 채용한 업체 대표는 그들은 우리말을 하는 중국인이라고 했다는 말도 있습니다. 한국은 그들에게 돈벌이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닙니다.
391
392
393
394
39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