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김기태 전문가
보성고등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역사
2023년 10월 26일 작성 됨
Q.
이란과 팔레스타인 관계는 어떤 편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란은 시아파 종주국으로 이슬람 무장단체인 헤즈볼라 탈레반 이슬람국가 하마스 등과 유기적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반미주의적 성향과 반이스라엘 그리고 반서방세력을 표방하고 있습니다. 이번 하마스의 공격의 배후에도 이란과 레바논의 헤즈볼라가 함께 공동 모의한 정황을 미 정보국이 확보한ㅇ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역사
2023년 10월 26일 작성 됨
Q.
수나라는 고구려한테 조공을 받고도 고구려를 공격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중국을 천하통일 한 수문제는 청렴하고 사치를 삼가며 백성들을 위한 정치에 힘을 쏟았습니다. 그러나 수양제는 거만하고 사치스러운 면을 지닌 존재였습니다. 수양제가 돌궐의 계민 칸을 만나러 갔는데 고구려 사신이 먼저 도착한 것을 보고 고구려와 돌궐의 사이를 경계하게 되었고 때마침 고구려가 요서지방을 공격하자 113만명의 대군을 이끌고 고구려를 침략했습니다. 보급부대까지 합하면 300만명을 동원했다고 합니다. 그러나 네 차례의 고구려 침공이 있었으나 고구려의 명장 을지문덕의 방어에 막혀 한번도 성공하지 못한채 자살로 생을 마감하였다고 전해집니다
역사
2023년 10월 26일 작성 됨
Q.
일제가 우리나라의 명성왕후는 왜 시해를 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명성황후는 시아버지의 권력을 없애고 고종의 친정을 하 위해 노력한 점은 높이 사나 대원군이 이룩해놓은 세도정치를 부활시켰다는 문제를 지니고 있습니다. 임오군란으로 구식군대에 대한 차별대우로 일어난 반란으로 숨어있다가 청나라를 통해 권력기반을 확보하고 일제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입장을 취했기 때문에 일본공사 미우라의 지시에 의해 일본군과 일본 낭인들에 의해 입에 담을 수 없는 만행으로 죽음에 이르게 됩니다.
역사
2023년 10월 26일 작성 됨
Q.
이스라엘의 유대교와 시온주의는 연관성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모세는 이집트에서 노예와 같은 삶을 살던 유대인들을 이끌고 홍해바다를 건너 예루살렘에 터를 잡고 잘 살았습니다. 그러다가 지독한 가뭄으로 살 수 없게되자 디아스포라(유대인의 규범과 생활습관을 지닌채 세계 각지로 흩어져 살아가는 유대인)로 뿔뿔히 흩어져 살게 되었습니다. 그러다가 19세기 말부터 시오니즘(젖과 꿀이 흐르는 가나안 땅으로 돌아가자는 운동)으로 예루살렘으로 돌아오게 되는데 이미 그곳에는 팔레스타인들이 터를 잡고 살고 있었기 때문에 오늘날의 분쟁의 원인이 된 것입니다.
역사
2023년 10월 26일 작성 됨
Q.
로마에서 한니발을 칭송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로마는 통일을 이루고 지중해 쟁탈을 놓고 카르타고와 싸우게 되었고 승리하여 시칠리아를 확보하고 지중해의 해상권을 장악하게 됩니다. 카르타고의 명장 한니발은 로마군이 상상도 못할 알프스 산맥을 보병 9만 기병 1만2천명 37마리의 코끼리부대를 이끌고 넘어 로마를 멸망직전에까지 몰아부친 인물입니다.
역사
2023년 10월 26일 작성 됨
Q.
팔레스타인은 독립 국가가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유대인들이 시오니즘(젖과 꿀이 흐르는 가나안 땅으로 돌아가자는 운동)으로 예루살렘으로 들어오면서 그곳에 터를 잡고 살고 있던 팔레스타인들과 갈등을 겪게 되었습니다. 야금야금 영역을 확보한 유대인들은 1948년 이스라엘은 건국하게 됩니다. 영토를 빼앗기고 방랑하던 팔레스타인들은 PLO(팔레스타인 해방기구)를 결성하여 이스라엘에 대적합니다. PLO는 UN으로부터 독립국의 지위를 인정받았습니다. 그러나 국가가 성립되려면 영역(영토 영해 영공)과 국민 그리고 주권이 있어야 하는데 영토를 확보하지 못해서 갈등과 전쟁을 반복하다가 가자지구에서 이스라엘이 철수하면서 가자자지구에 200만명의 팔레스타인들이 살게 되었지만 이스라엘이 가자지구에 장벽을 설치(물과 전기 통제)하여 통제하여 거대한 창살없는 감옥입니다.
역사
2023년 10월 26일 작성 됨
Q.
우리나라는 다양한 종교가 공존하는데 다른곳처럼 종교분쟁도 발생하지도않고 그 이유가 어디에 있는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조선의 단군 건국이야기의 천인합일 정신과 원효의 화쟁사상 최치원이 쓴 난랑비서문의 풍류도 이이의 이통기국론 19세기 말 신흥민족종교인 동학 증산교 원불교 등 조화를 강조한 사상들의 영향이라고 봅니다.
역사
2023년 10월 26일 작성 됨
Q.
발해가 멸망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발해의 멸망 이유를 백두산 폭발설과 내부의 권력투쟁 등 설이 많이 있는 것은 그만큼 기록이 남아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어찌되었건 발해는 거란의 침공으로 멸망하였습니다.
역사
2023년 10월 26일 작성 됨
Q.
태조 이성계의 첫째 아들은 왜 왕위를 못이어받았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 우왕과 최영장군은 과도한 조공을 요구하는 명나라를 칠 것을 합의하고 이성계를 도원수로 삼아 요동정벌에 나서게 합니다. 그러나 이성계는 4불가론(작은 나라갖큰 나라를 칠 수 없고 여름철 군사를 일으키면 농사를 그르치고 장마철이라 전염병과 무기사용에 어려움이 있고 북쪽을 공격하면 남쪽에서 왜구들의 노략질이 늘어날 것임)을 주장하면서 위화도에서 회군을 하게 됩니다. 이성계의 첫째아들 방우는 위화도 회군을 역적의 행위라고 비판하면서 이성계와 부자의 연을 끊고 가족들을 데리고 철원으로 들어가 끝내 나오지 않았다고 합니다.
철학
2023년 10월 26일 작성 됨
Q.
소크라테스와 아리스토텔레스는 행복의 개념을 어떻게 정의했는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소크라테스는 덕 즉 탁월성을 강조하였습니다. 주지주의(참된 앎)를 통해 지행합일설과 지덕복합일설을 주장하였습니다. 알면 덕이 있는 행동을 하게 되고 복을 받는다는 행복을 주장했습니다. 소크라테스-플라톤-아리스토텔레스로 이어지는 이성 중심의 사상은 공통점이지만 아리스토텔레스는 이성만으로만 안되고 도덕적 실천의지가 필요하다고 보았습니다. 소크라테스-플라톤은 주지주의를 아리스토텔레스는 주지주의+주의주의를 주장했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이성-중용의 덕-행복(Eudaimoia)로 이어진다고 보았습니다.
416
417
418
419
42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