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김기태 전문가
보성고등학교
역사
역사 이미지
Q.  역사적으로 중동지역에는 왜 전쟁이나 분쟁이 많이 발생하는 것인지 역사적 의의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중동분쟁의 원인은 두 가지로 봅니다. 하나는 아랍권끼리의 갈등으로 예언자 무함마드의 후계 승계문제로 사우디아라비아가 종주국인 수니파(무슬림 85%)와 이란이 종주국인 시아파(무스림 15%) 사이의 갈등이 있고 또 다른 하나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와의 갈등으로 인한 이스라엘 대 범 아랍권과의 갈등입니다. 수니파와 시아파의 갈등으로 수많은 사람들이 희생되었으나 해결의 기미가 보이지 않고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갈등도 전쟁과 평화가 무한 반복되고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세계사관련 서적읽다가 호찌민이란인물이 대단한인물이였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호찌민은 베트남의 공산주의 혁명가이자 독립운동가 정치인 초대 국가주석입니다. 원래 이름은 응우옌신꿍이며 베트남인들에게는 호아쩌시로 불립니다. 호찌민은 1911년 프랑스 유학 중 프랑스 공산당에 가입하여 입당하였습니다. 1930년에는 중국에서 베트남 공산당(현 베트남 노동당의 전신)을 창건하여 이끌었고 제2차 세계대전 중에는 귀국하여 항일독립운동을 전개하였습니다. 종전 후에는 프랑스의 괴뢰로 전락한 응우옌 왕조의 황제 바오다이를 폐위시키고 독립을 선언합니다. 1946년 프랑스와 독립 협상을 추진하다 결렬되자 1954년 프랑스와의 전투에서 승리하여 프랑스군을 몰아냈습니다. 베트남 전쟁이 발발하자 북베트남의 최고 군사 지휘관으로 참전하였습니다. 호찌민은 20세기 가장 영향력있는 인물이며 피식민지 국가의 정치지도자이자 저명한 공산주의 지도자 중 산명이었습니다. 베트남전쟁 중이던 1969년 9월 2일 심장마비로 사망했며 통일 이후 남베트남의 수도인 사이공을 그의 이름 따서 호찌민 시로 개명하였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이스라엘?? 유태인?? 어떤 관계가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유대민족은 선민사상으로 스스로를 하나님의 자식들이라고 칭하였습니다. 그러나 유렵에서는 예수를 죽게 만든 민족이고 고리대금업으로 돈만 아는 민족으로 치부되어 극히 혐오의 대상이었으며 이를 정치적으로 악용한 사람이 독일의 아돌프 히틀러였습니다. 히틀러는 유럽인들이 유대인을 싫어하는 것을 이용해서 자국민들에게 게르만 민족의 세계제패를 유대인들이 반대한다는 선동정치로 반유대인 정서를 심었고 그의 측근인 괴멜스는 이런 감정적인 것을 논리적으로 전개하여 2차 세계대전 당시 무려 600만명의 유대인이 학살당했습니다. 유대인들은 영토없이 전 세계 각지에 흩어져 살다가 시오니즘(젖과 꿀이 흐르는 가나안 땅으로 돌아가자는 운동)으로 예루살렘과 가자지구로 들어오게 되면서 이스라엘을 건국하게 되었고 기존에 살고 있던 팔레스타인들과 충돌이 발생하게 되었습니다. 이로인해 분쟁과 갈등 그리고 전쟁이 무한 반복되고 있는 것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이스라엘 파키스탄이 사이가 안좋은 이유?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세기 말부터 이뤄진 시오니즘(젖과 꿀이 흐르는 가나안 땅으로 돌아가자는 운동)으로 세계 각지에 흩어져 있던 유대인들이 예루사렘과 가자지구로 들어오게 됩니다. 하지만 그곳에는 오랫동안 터를 잡고 살고 있는 팔레스타인들이 있었기 때문에 유대인들은 조금씩 조금씩 영토를 확장하여 이스라엘을 건국하게 됩니다. 팔레스타인들은 삶의 터전을 빼앗기고 방랑하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분쟁과 갈등이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으며 네차례에 걸친 중동전쟁도 전개되었습니다. 이번 사태도 그 연장선에서 이뤄진 것으로 군벌정당으로 팔레스타인 무장단체인 하마스는 로켓포5000-7000발을 쏘며 대원 200-300여명이 공중과 해상을 이용하여 침투하여 비무장 일반인들에게 총격을 가하여 수백명이 죽고 군인포함 일반인 등 150여명을 인질로 가자지구로 끌고갔습니다. 이에 이스라엘 네타냐후 총리는 전쟁을 선포하고 가자지구의 팔레스타인 빌딩을 폭파시키고 로켓포 발사원점인 레바논을 공격했습니다. 그러자 레바논의 무장단체인 헤즈볼라가 참전을 선언하고 로켓포를 이스라엘에 발사하고 시리아도 로켓포를 발사한 상태입니다. 현재까지 양측 1700여명의 사망자와 4000여명 이상의 부상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피해도 더욱 더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이스라엘은 가자지구를 봉쇄했으며 하마스는 이스라엘이 공격할 때마다 인질 1명씩을 죽이겠다고 하여 벌써 4번째 희생자가 나왔다고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장영실의 업적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 세종 때 과학자로 널리 알려진 장영실(1390년- ?)은 자동으로 시간을 알려주는 물시계인 자칭자격루를 우리나라 최초로 만든 인물입니다. 당시 사람들은 장영실을 과학을 위해 태어난 인물이라고 칭송했습니다. 1441년 세계 최초의 우량기인 측우기를 발명하였고 1442년 임금님의 가마인 안여를 만들기도 했습니다. 1434년 양부일구인 해시계를 만들었습니다. 옥루도 만들었는데 천상시계이며 자동 물시계의 하나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하마스의 역사적인 관계를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스라엘의 시오니즘(젖과 꿀이 흐르는 가나안 땅으로 돌아가자는 운동)으로 세계 각지에 흩어져 살고 있던 유대인들이 예루살렘과 가자지구로 들어오면서 기존에 살고 있던 팔레스타인들의 삶의 터전을 빼앗음으로써 발단이 된 것입니다. 기존의 삶의 터전을 빼앗긴 팔레스타인들의 저항이 계속되어 왔고 이스라엘은 빼앗은 땅 가자지구를 팔레스타인들에게 내주고 철수합니다. 그로써 분쟁은 마무리 되는 듯 했으나 이스라엘은 가자지구를 통제하기 시작했고 팔레스타인들의 자유를 억압함으로써 UN으로부터 인권탄압 중지라는 경고를 받기도 했습니다. 이번 하마스 사태도 일련의 사건의 연장선으로 발생한 것으로 전쟁 후 포로를 감옥에 가두면 포로를 빼오기 위해 전쟁을 벌이고 또 포로가 생기고 또 전쟁이 발생하는 것이 무한 반복되고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북한과 통일은 과연 가능한 미래일까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남한의 과학기술력과 북한의 풍부한 지하자원이 결합한다면 통일 이후 대한민국의 미래는 훨씬 밝아질 것입니다. 양측에서 군사비로 지출하는 비용을 절감하다면 이는 대한민국의 경제력을 한 단계 업그레드 시킬 수 있는 비용으로 사용하여 선진국의 반열에 오르게 될 것입니다. 그러나 통일을 이루지 못하면 여전히 분단국가의 리스크로 해외자본 유치도 힘들고 경쟁력도 약화되는 등 경제성장의 한계를 보이게 될 것입니다. 일단 정치색이 옅은 스포츠와 문화교류를 통해 우호를 증진한 후에 점진적인 통일 문졔로 접근해야 합니다.
철학
철학 이미지
Q.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문제는 진짜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일반적인 원전의 오염수문제는 IAEA의 오염수 기준을 충족하면 별문제가 없으리라고 봅니다. 그러나 후쿠시마 원전은 지진해일의 의해 원전사고 일어났던 오몀수이기 때문에 많은 우려를 표명하고 있는 것입니다. 전문가들은 이제 앞에서 대놓고 이야기할 수 없는 검찰독재 시대로 가고 있기때문에 소신발언을 하는 전문가들을 찾아보기 힘듭니다.모두 이구동성으로 국제기준을 충족했으니 별 문제없다는 것만 되풀이하고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이번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분쟁이 대한민국 경제에 영향을 줄까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전쟁은 네차례나 벌어졌으며 국지전이나 분쟁은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팔레스타인이나 이스라엘은 석유가 생산되지 않기때문에 유가와 관계가 없으나 이는 표상일뿐 두나라가 전쟁을 한다면 아랍국가들이 석유를 무기화할 수도 있고 또 미국은 이란을 배후국가로 보고 있는데 이란이 해협을 봉쇄한다면 국제유가는 요동칠 것이고 이는 우리 경제에 막대한 피해를 입히게 될 것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왜 사우디 왕세자는 팔레스타인을 지지했는지?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양국은 모두 아립국가이며 이슬람 국가입니다. 서로 간의 무역거래와 문화교류가 있습니다. 아랍어가 공용어이며 무슬림 비중이 큰 것이 가장 큰 공통분모입니다. 팔레스타인들은 메카로 성지순례를 가지만 팔레스타인 지역은 이스라엘의 통제를 받고 있어서 사우디 입국이 자유롭지 못합니다. 양국은 이스라엘 문제로 인해 갈등이 늘어나고 있는데 빈살만이 2010년 실세가 되면서 팔레스타인에 대한 지원을 줄였고 팔레스타인은 카타르와 교류를 늘리고 있습니다. 사우디와 이스라엘은 미수교국이며 사우디는 이스라엘을 국가로 인정하지 않고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반살만이 하마스를 지지하고 나선 것이 아닌가하는 생각이 듭니다.
45645745845946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