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김기태 전문가
보성고등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역사
2023년 8월 27일 작성 됨
Q.
스페인과 포루투칼민족구성은 이질적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베리아반도의 두나라 스페인과 포르투갈은 국경을 마주한 국가들입니다. 포르투갈은 바다를 제하면 스페인과 접경에 있는 나라로 두나라는 언어와 문화적인 면에서 매우 친밀한 국가입니다. 그리고 두나라 모두 EU NATO 라틴연합 이베로-아메리카 공동체의 회원국입니다. 고대부터 이베리아인들이 거주해오다가 켈트족과 혼혈화되면서 켈트-이베리아인들의 땅이 되었습니다. 이후 로마제국에 병합되면서 스페인은 히스파니아 포르투갈을 루시타니아로 불리게 되었습니다. 대항해시대에는 두나라간 경쟁이 치열하여 남미의 대부분을 스페인이 차지하고 포르투칼은 브라질을 차지했으며 동남아시아지역에서는 스페인은 필리핀을 차지한 반면 포르투갈은 인도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 대부분을 차지하였습니다. 그러나 19-20세기를 거치고 식민지국가들이 독립을 하게되면서 스페인과 포르투갈은 쇠락의 길로 빠지게 되었습니다.
역사
2023년 8월 27일 작성 됨
Q.
한국전쟁은 어떤 국가들 간의 갈등으로 발전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제2차 세계대전 이후 이념갈등으로 인하여 분단이 된 국가는 한국 베트남 독일입니다. 베트남은 남북베트남의 내전으로 분단된 내전형분단이고 독일은 강대국들의 이해관계에 의한 국제형분단이며 한국은 내전형과 국제형이 결합된 혼합형분단의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한국에 대한 강대국들의 이해관계는 첨예하여 미국 영국 중국 러시아 등의 이해관계와 김일성의 적화통일에 대한 열망이 야기한 전쟁입니다. 이 전쟁으로 300만명의 군인과 민간인이 희생되었으며 3년 1개월 2일간의 전쟁으로 한국은 잿더미가 되어버렸습니다.
역사
2023년 8월 27일 작성 됨
Q.
세계최고 등급의 토질을 보유한 국가는 어느나라들이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세계적인 곡창지대는 대개 넓은 평야지대로 반건조기후인 스텝기후 지역에 위치해 있습니다. 이 지역은 키가 작은 일년생 초본류로부터 공급되는 유기물이 많고 비에 의한 용탈이 적어 체르노젬과 같은 흑토나 밤색토 등 비옥한 토양이 존재합니다. 중앙아시아의 우크라이나가 대표적인 곡창지대입니다.이외에도 러시아 남부 프랑스 독일 아르헨티나 호주 대한민국 태국 베트남 등이 있습니다.
역사
2023년 8월 27일 작성 됨
Q.
유토피아라는 것은 어디에서 유래된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유토피아는 유(U=NO) 토피아(topia=Place) No place Good place라고 합니다. 이 세상에는 없을 정도로 좋은 곳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16세기초 토마스 모어의 공상 사회소설인 유토피아는 이상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8시간 잠자고 10시간 정신적오락을 하고 6시간 일한다. 이곳에서는 집도 제비뽑기로 정하여 10년마다 돌아가면서 살아간다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역사
2023년 8월 27일 작성 됨
Q.
한국 역사에서 세계에 자랑할 만한 특별한 문화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문화는 세계적으로도 가치가 있는 것이 많습니다. 훈민정음(1997) 조선왕조실록(1997) 직지심체요절(2001) 승정원일기(2001) 조선왕조의궤(2007) 해인사대장경판 및 제경판(2007) 동의보감(2009) 일성록(2011) 5.18민주화기록물(2011) 난중일기(2013) 새마을운동기록물(2013) 한국의 유교책판(2015) KBS특별생방송 '이산가족을 찾습니다.'기록물(2015) 조선왕실 어보와 어책(2015) 국채보상운동 기록물(2017) 조선통신사기록물(2017) 4.19혁명기록물(2023) 동학농민혁민기록물(2023) 등 우리의 문화는 세계적인 것이 되었습니다. 한복 한식 한옥 등 의식주생활과 김치 등이 세계적인 가치가 있는 우리의 문화입니다.
음악
2023년 8월 27일 작성 됨
Q.
이스라엘 남자들중 구렛나루를 기르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구렛나루의 어원은 가축따위의 고삐에 이어진 줄이라는 굴레의 옛말인 굴에(구레)와 수염을 뜻하는 우리말 나룻이 합쳐진 말로 구렛나루라고 부르지만 표준어로는 구레나룻입니다. 영어로는 sideburns라고 합니다. 1800년대 서양에서는 남성성의 상징으로 많이 유행했지만 20세기 사그라들었다가 60년대 중후반부터 히피문화의 영향으로 장발이나 수염과 함께 70년대 크게 유행하였습니다. 서양과 중동지역에는 지금도 구레나룻수염을 기른 사람들이 많은데 이는 기호로 인한 것입니다.
역사
2023년 8월 27일 작성 됨
Q.
임진왜란 때 조선군이 조총을 사용한 적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임진왜란 당시 일본은 포르투칼로부터 조총과 조선업을 전수받아 전투력을 갖춘상태였으나 조선은 전쟁에 대한 준비가 안되어 있었고 활과 화승총 등 구식무기로 방어를 해야 했습니다. 그러나 전쟁의 와중에도 항복한 왜군을 통해 조총기술을 습득하고 노획된 조총을 분석하여 자체 제작하였으나 총신을 만들지 못해 고전했습니다. 1593.9월에 이순신은 일본 조총을 모방하여 우수한 조총을 제작하였고 진주목사 김시민도 전투에 대비해 조총 170여정을 제작하여 사용했다고 합니다. 전쟁이 끝나고 국방에 대한 인식증대와 무기개발에 나서 1614년(광해 6년) 화기도감을 만들어 조총 900여정 환도 600자루 화포 90문 화전 1500개를 제작하였습니다. 일본은 조총으로 무장했지만 여전히 활을 사용한 공격도 많았습니다. 용인전투를 제외하고는 조총으로인한 피해는 많지 않았고 화살로 싸우는 경우도 많았습니다. 우리 활에 비해 일본활은 화궁이라 불리며 크기도 220cm나 된다고 합니다. 그 당시 히데요시의 키가 140cm로 왜소하고 평균 158cm라고 보면 화살이 커도 너무컸습니다.
역사
2023년 8월 27일 작성 됨
Q.
제주도 돌하르방 유래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75.8.25일 제주특별자치도 민속문화재로 지정되었습니다. 성읍리의 것이 141.4cm 보성 안성 인성리의 것이 136.2cm의 크기로 보입니다. 조선시대 제주시는 제주목의 소재지로 성읍리는 정의현청이 보성 안성 인성리는 대정현청이 있던 자리로 본래는 주현의 성문 앞에 세워둔 것을 옮겨온 것입니다. 석상의 형태는 조금씩 다르지만 큰 눈에 자루병같은 코를 가졌으며 입술을 다문 얼굴에 감투를 썼고 두 손을 배에 모으고 있는 형상입니다. 이 석상들은 성문 앞에서 위엄을 보이면서 수호신적 주술적 금표적 기능을 한 것으로 육지의 장승과 같은 역할을 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역사
2023년 8월 27일 작성 됨
Q.
과거 울릉도에는 왕과 궁궐이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산국(을릉도)는 6세기 초까지 을릉도와 독도를 지배했던 고대 왕국입니다. 일본측 기록인 일본삼대실록에서는 세라국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합니다. 건국시기는 알 수 없으나 우산국을 구성했던 주민은 우산국에 토착해있던 토착민과 동예와 옥저에서 건너올 예맥계 유민이나 삼한계 유민들로 추정됩니다. 우산국에 대한 기록이 전무하여 알 수 없으나 우산국 왕은 설화로 이어져온 우혜왕 하나정도입니다. 삼국사기나 삼국사기에 기록된 것이 아니라 지역설화로 구전되어 오는 것이라 실존왕이라고 보기도 힘듭니다. 그 때문인지 투구바위 같은 자연물에서 문헌사료까지 우혜왕관련 사료가 많습니다. 우혜왕 때 신라에 복속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역사
2023년 8월 27일 작성 됨
Q.
일제 강점기는 어떻게 시작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는 대륙세력이 해양으로 해양세력이 대륙으로 진출하는 교량적 위치라는 교량적 위치로 391회의 침략을 받아왔습니다. 1905년 일본은 운양호사건을 빌미로 불평등으로 맺어진 강화도조약을 통해 삼포개항 등의 조건을 요구하였고 1910년에는 굴욕적인 한일합방을 감요했습니다. 이때부터 일제강점기가 시작되었고 1945년 해방될 때까지 온갖 수모와 고통을 감내해야 했습니다.
566
567
568
569
57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