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김기태 전문가
보성고등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역사
2024년 4월 8일 작성 됨
Q.
임금의 얼굴을 '용안'이라고 표현하던데, '용'자를 쓰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황제(왕)의 얼굴을 용안이라고 불리게 된 중국 한나라 초대 황제 유방으로부터 유래합니다. 태공의 아들인 유방이 용의 아들이라고 소문이 나면서 용의 기운을 타고난 아이로 유방의 얼굴은 용의 얼굴이다라는 말에서 연유했습니다.
역사
2024년 4월 8일 작성 됨
Q.
중국에서는 8을 좋아하는 이유와 8월8일은 어떤 특별한 날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모든 사람들은 돈을 많이 벌기를 원합니다. 중국인들이 8을 좋아하는 이유는 중국 말 재(Facai)는 돈을 벌다라는 의미인데 숫자 8의 발음(Ba)과 비슷하다고 합니다. 이런 이유로 8이라는 숫자를 매우 좋아합니다.
역사
2024년 4월 8일 작성 됨
Q.
12 12 쿠데타는 왜 일어난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2.12군사쿠데타는 박정희 전대통령 시해사건을 수사하던 합동수사본부장인 전두환을 동해경비사령부로 전출시키려 한다는 첩보를 입수하고 선제적으로 정승화 육군참모 총장을 김재규 중앙정보부장의 공범으로 체포하면서 발생한 사건입니다. 이를 계기로 군부내 사조직인 하나회의 모습이 공식적으로 드러나게 되었습니다.
역사
2024년 4월 8일 작성 됨
Q.
이스라엘의 네타냐후의 총리의 인기가 떨어지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내로남불에 대한 분노가 작용했기 때문입니다. 전쟁이 지속되면서 포로의 생사를 알 길이 없는 상황에서 계속적으로 전쟁을 수행하고 있는 점과 모든 청년들이 전쟁수행을 위해 본국으로 귀국을 하고 있는 반면 네타야후 총리의 장남은 미국에서 호회스런 생활을 영위하고 있다는 점이 작용하고 있다고 봅니다. 격렬한 반정부 시위와 네타야후 퇴진을 요구하고 있는 것은 포로의 안전을 담보하지 못한 채 전쟁에만 골몰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역사
2024년 4월 8일 작성 됨
Q.
연산군/광해군처럼 이렇게 '군을 붙이는 이유가 뭔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재위 기간에 반정으로 왕권을 상실한 연산군과 광해군은 복위가 되지 못했고 묘호를 받지 못한 상태였기 때문에 군으로 불리워지고 있습니다.
역사
2024년 4월 8일 작성 됨
Q.
네팔 북쪽에선 왜 일처다부제를 행했던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네팔 북서부 히말라야 지역 사람들은 일처다부제를 시행했습니다. 형제의 이탈을 막아 재산을 보전하고 지형이나 기후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목적이었습니다.
역사
2024년 4월 8일 작성 됨
Q.
고구려와 백제는 나당연합시 동맹안맺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서기 660년 백제는 나당연합군의 침입을 받고 멸망하였습니다. 당시 백제와 군사동맹을 맺은 것으로 알려진 고구려는 전쟁내내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습니다.
역사
2024년 4월 8일 작성 됨
Q.
조선시대에 내시라는 관직은 어떤 일을 한건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내시 또는 내관은 고려 때와 조선 때 궁궐 안에서의 잡무를 보는 관직 또는 왕을 옆에서 모시는 중요한 관직이었습니다.
역사
2024년 4월 8일 작성 됨
Q.
고려시대 때는 왕권보단 귀족들이 권력이 더 강했지만, 왜 조선시대에 들어서면서부터 왕권이 더 강하게 될 수 있었던건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는 중앙집권화가 덜 된 상태였기 때문에 지방호족 등 토착세력들이 힘을 발휘할 수 있었지만 조선은 태조 이성계와 삼봉 정도전이 성리학적 질서에 입각해서 세운 나라였기 때문에 건국 초기부터 강력한 왕권강화를 바탕으로 한 중앙집권화가 가능하였습니다.
역사
2024년 4월 7일 작성 됨
Q.
유럽에서 왕권이 급격하게 강해진 시기와 배경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근대 유럽으로 들어서면서 중앙집권적 국민국가의 수립 및 이에 따른 왕권의 강화는 정치 사상의 발전을 자극하였습니다. 정치적 사유의 주체가 되었던 것은 당시 사회의 두 주요집단을 이루면서 세력의 역학관계를 이루고 있던 귀족과 부르주아였습니다. 따라서 정치사상은 왕권의 강화에 대한 정당화와 견제를 동시에 내포하면서 발전하였습니다. 요컨대 주권론과 사회계약설을 수용했던 근대 자연법 사상이 근대 서구사회의 두 축을 이루게 된 것입니다.
71
72
73
74
7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