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김기태 전문가
보성고등학교
철학
철학 이미지
Q.  노자가 주장한 무위자연 사사의 핵심 의미를 간단하게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노자의 사상은 그가 남기고 홀연히 사라진 도덕경에 나타나 있습니다. 도덕경 1장 1절에 나오는 도가도 비상도 명가명 비상명이라는 말로 이는 도를 도라고 하면 진정한 도가 아니고 이름 붙일 수 있는 것은 진정한 이름이 아니다는 뜻으로 모든 것의 근본은 이름 붙일 수 없는 그 무엇인데 이를 굳이 이름붙이고자 한다면 도라고 한다라고 하였습니다. 무위자연은 인위적인 사회제도 즉 강제자체가 사회혼란의 원인이기 때문에 자연 그대로의 상태로 살아갈 것을 강조한 것으로 무위자연의 삶은 상선약수로 마치 물과 같은 삶(겸허와 부쟁)을 뜻합니다.
철학
철학 이미지
Q.  대표적인 합리론 철학자에는 누가 있으며 그들이 핵심 주장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16-17세기 대륙의 합리론이라고 불리운 것은 영국에서 인간의 경험으로만 진리에 도달할 수 있다는 베이컨 등에 의해 경험론에 대비되어 붙여진 이름으로 인간의 이성을 통해서만 진리에 도달할 수 있다는 이론을 제시하였습니다. 데카르트 스피노자 라이프니츠 등이 있으며 데카르트가 대표적인 인물입니다. 데카르트는 모든 것을 의심할 수 있으나 의심하고 있는 자신은 더 이상 의심할 수 없다고 보고 의심한다는 것은 생각이 있다는 것이고 생각한다는 것은 존재한다는 것에서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Cogito ergo Sum)를 사유의 제1원리 삼았습니다. 데카르트의 진리탐구방법을 방법적회의론이라고 합니다. 연역적 사고를 바탕으로 한 사상을 전개하였습니다.
철학
철학 이미지
Q.  외모가 부처상이라는뜻이뭔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외모가 부처상이라는 소리는 부처님처럼 온화한 미소와 인자한 모습 그리고 귀가 부처님 귀처럼 크고 길며 복스러움을 지니고 있는 것을 뜻합니다.
철학
철학 이미지
Q.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는 말로 유명한 철학자는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과학혁명 시기로 일컫는 16세기는 사람들이 기존에 알고 있던 앎이 무너지면서 어떻게 하면 참된 앎이 이를 수 있느냐가 화두였습니다. 천동설이 무너지고 지동설이 나왔고 지리상의 발견으로 새로운 신대륙(기존의 아프리카 이외에 아메리카)이 발견되었기 때문입니다. 여기에 오직 경험을 통해서만 참된 앎에 도달할 수 있다는 사상이 영국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는데 대표적인 인물들이 아는 것이 힘이다라는 주장한 베이컨과 로크 흄 등이었습니다. 반면에 대륙에서는 이성만이 참된 앎에 도달할 수 있게 한다는 사상인 합리론이 전개되었는데 데카르트 스피노자 라이프니츠 등이 그들입니다. 특히 데카르트는 방법적 회의론을 주장하였는데 이는 모든 것을 의심할 수는 있지만 의심하고 있는 자신은 더 이상 의심할 수 없다고 주장하면서 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나는 존재한다.(Cogito ergo Sum)라는 명제를 사유의 제1원리로 삼았습니다.
철학
철학 이미지
Q.  안녕하세요 반사회적 인격장애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우리 사회에서도 반사회적 인격장애인 소시오패스와 같은 범죄자들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사이코패스나 소시오패스 범죄자들은 남의 고통을 공감하지 못하고 잔인하고 처참하게 살인을 저지르기도 합니다. 화성 연쇄살인마를 소재로 한 살인의 추억이나 연쇄살인마 유영철 강호순 등과 같은 소시오패스들은 사회에 대한 적개심으로 반인륜적이고 비도덕적인 살인행위를 저지르고도 반성하는 기미는 보이지 않았습니다.
철학
철학 이미지
Q.  파란만장한 인생이다 라는거에서 파란만장은 무슨의미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파란만장은 파는 물결을 뜻하고 란 또한 물결을 뜻하기 때문에 큰 파도를 의미하며 만자는 모든 또는 크다는 의미이고 장은 어른을 의미합니다. 즉 파란만장은 사람의 생활이나 일의 진행이 여러 가지 곡절이나 시련이 많고 변화가 심하다는 것입니다. 인생을 파란만장하다고 표현하는 것은 우리의 삶이 그다지 안정적이고 평화롭지 않고 갖은 시련과 고통을 감내해야 하기에 자주 인용되는 표현입니다.
철학
철학 이미지
Q.  춘추전국시대에 제자백가가 등장한 배경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중국은 하은주 시대를 혼란한 춘추전국시대로 이어지게 됩니다. 춘추시대에는 왕이 신하를 죽이고 신하가 왕을 시해하기도 하였고 아비가 자식을 죽이고 자식이 아비를 죽이는 패륜범죄가 만연하였습니다. 이러한 극심한 사회의 혼란상을 극복하기 위해 나온 수많은 사상을 제자백가 사상이라고 합니다. 그중 대표적인 사상이 공자의 유가와 노자의 도가사상이고 한비자의 법가 묵자의 묵가 그리고 종횡가 음양가 명가 등등의 사상들입니다.
철학
철학 이미지
Q.  공자가 강조한 가장 기본적인 인간관계의 덕목에는 무엇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유교(엄밀히 말하면 종교가 아니라 학문적 성향으로 유학이라고 해야 함)는 공자의 사상에서 비롯되었습니다. 공자는 인과 예를 강조하였는데 인은 수기안인으로 자신을 수양하고 다른 사람들은 편안하게 한다. 즉 수기치인을 의미하며 예는 외면적 사회규범으로 극기복례를 의미합니다. 예가 아니면 보지도 듣지도 말하지도 행하지도 말아야 한다는 것으로 자기를 이기고 예로 돌아간다는 뜻입니다. 공자는 정명론을 강조하였는데 군군 신신 부부 자자로 임금은 임금답고 신하는 신하다우며 아비는 아비답고 자식은 자식다워야 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이러한 공자의 사상은 전국시대 맹자의 오륜(군신유의 부자유친 부부유별 장유유서 붕우유신)으로 이어집니다.
철학
철학 이미지
Q.  사르트르가 이야기한 실존은 본질에 앞선다 라는 말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본질 즉 본성이 존재에 앞선다는 종교적 입장을 뒤엎은 것으로 존재하고 난 뒤에 본질이 정해진다는 무신론적 실존주의를 표현한 대표적인 문구입니다. 싸르트르는 인간성이라는 것이 존재할 수도 있으나 그 존재는 처음에는 무엇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즉 존재 본질의 가치와 의미는 당초에는 없고 후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는 것입니다.
철학
철학 이미지
Q.  민주주의 국가에서 국민이 정치에 대해서 무관심하면 무슨 일이 발생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민주주의는 국민이 주권을 가지고 있으며 국민이 주인인 나라입니다. 국가권력을 감시하고 소중한 1표를 통해 국가권력의 감시자 역할을 하게 됩니다. 그러나 국민들이 나 혼자쯤이냐라는 생각으로 정치에 대해 무관심해진다면 권력은 부패하게 될 것이고 국민들은 국가권력의 노예로 전락하고 말것입니다.
67891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