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김기태 전문가
보성고등학교
철학
철학 이미지
Q.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 이론의 차이는 무엇일까?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라파엘로가 그린 아테네학당이라는 그림에서 플라톤과 아리스토테레스는 극명한 차이를 보여줍니다. 플라톤은 손가락을 위로 치켜세우고 있으며 아리스토텔레스는 손바닥을 아래로 누르는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이는 플라톤은 이상주의자임을 제자인 아리스토텔레스는 현실주의자임을 극명하게 보여주고 있는 것입니다. 플라톤은 이원론적 세계관 즉 동굴의 비유를 통해 이데아의 세계(이성. 진리)와 현상의 세계(경험)가 있으며 이데아의 세계를 지향한 이상주의자입니다.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는 이데아의 세계는 존재하지 않으며 경험에 의해 파악되는 현상의 세계만 인정한 현실주의자였습니다.
철학
철학 이미지
Q.  부처는 보리수나무 아래 앉아 환골탈태의 깨달음이라 많이 강조했는데 요즘은 연꽃으로 전환되는 느낌인데요 왜그런건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부처는 40여일 간의 고행을 하다가 보리수 나무 아래에서 깨달음을 얻게 되었다고 전해집니다. 연꽃은 진흙탕 속에서도 자라나 아름다운 꽃을 피우듯이 혼탁하고 더러워진 세상에서 연꽃처럼 깨끗하고 아름다우며 진리의 세계로 나아갈 것에 대한 가르침을 전해주는 것입니다.
철학
철학 이미지
Q.  나와 다름을 인정하는 방법은 어떤것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사람들은 기본적으로 자신만이 옳다고 생각하는데 이는 독단과 독선에 빠질 수 있습니다. 세상에는 자신과 다른 생각을 갖고 살아가는 사람들이 많이 있으며 자신과 다른 생각을 지니고 있다고 틀린 것은 아닙니다. 때문에 자신과 다른 생각을 가지고 사람들을 설득할 이유도 없으며 다르다는 사실을 인정하는 것이 만수무강의 지름길입니다. 자신과 다른 생각을 지닌 사람들을 설득하는 일만큼 소모적이고 비생산적인 일을 없습니다. 솔직히 다름을 인정하는 것이 행복의 지름길입니다.
철학
철학 이미지
Q.  이황은 사단과 칠정을 대립적 관계로 보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조선 조 성리학자인 퇴계 이황과 율곡 이이는 4단7정론에서 대립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황은 주리론자로 4단과 7정은 서로 발한다는 이기호발설을 주장하였습니다. 즉 4단은 이가 발한 것이고 7정은 기가 발한 것이라고 주장하였습니다. 이에 고봉 기대승은 어떻게 사람이 정신 따로 육체 따로 있겠냐는 의견을 이황에게 제시하였고 전남 장성의 시골학자의 의견을 무시하지 않고 받아들인 이황은 4단은 이발기수(이가 발하고 기가 따른다고 함)이고 7정은 기발이승(기가 발하고 이가 탄다고 함)이라고 수정하게 됩니다. 이것을 간단히 표현하면 사람이 말을 타고 갈때 사람도 운동하고 말도 운동을 한다고 본 반면 이이는 사람은 가는 방향만 정하고 말만 운동한다는 기발이승 일도설을 주장하였습니다. 이이는 7포사로 7정 안에 4단있다고 보았습니다.
철학
철학 이미지
Q.  노자의 도덕경에서 말하는 '그저 살면된다' 라는게 뭔 말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노자는 5000자로 된 도덕경을 남기고 홀면히 사라졌다고 전해집니다. 노자와 장자의 사상인 도가사상은 한초에는 황로학파로 한말에는 태평도와 오두미교(입교 시 다섯 되 또는 다섯 말의 쌀을 받쳤다고 함)의 종교로 위진시대에는 현학(청담사상)으로 발전하였습니다. 노자의 무위자연은 과욕과 불만 탐욕을 버리고 있는 그대로의 삶을 살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무위자연의 삶은 상선약수(으뜸되는 삶은 물과 같다.)로 겸허와 부쟁의 삶을 뜻합니다.
철학
철학 이미지
Q.  인생은 늘 선택의 연속인게 맞을까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프로스트의 시 가지않은 길(The road not taken)에서 이야기 한 것처럼 인생은 수만번의 갈림길로 되어 있고 내가 선택한 길이 있으면 선택하지 않은 길도 있다는 것입니다. 자신이 선택한 것에 대해서 의미를 부여하고 그 선택을 존중하며 살아가는 것이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철학
철학 이미지
Q.  평온한 마음으로 세상을 살아가려면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분노를 잘 조절할 수 있어야 합니다. 살다보면 자의든 타의에 의해서든 화를 낼 일들이 많습니다. 이 화를 다스릴 줄 알아야 행복한 삶을 살 수 있습니다. 19세기 생철학자인 쇼펜하우어는 자신이 괴롭고 외로울 때는 자신보다 더 괴롭고 외로운 사람을 보라고 하였습니다. 사람들은 항상 자신보다 위에 있는 사람들과 견주는 삶을 살다보니 삶이 고단해지는 것입니다. 자신보다 약하고 불쌍한 사람들을 보게 된다면 오히려 마음에 안정과 평안을 갖게 된다는 것입니다.
철학
철학 이미지
Q.  인간의 본성에 대한 탐구에 있어서 인간은 성악설이라 볼 수 있는가?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인간의 본성에 대한 이론은 맹자의 성선설과 순자의 성악설 그리고 고자의 성무선악설 등이 있습니다. 다 그 나름대로의 논리적 근거를 가지고 있으며 타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그동안 맹자의 성선설이 주된 이론으로 자리잡아왔으나 최근에는 순자의 성악설에 무게 중심이 옮겨지고 있다고 보아집니다. 인간은 이기적 욕구를 지니고 있어서 절제와 교화를 통해 분별심(예)을 키워야 한다고 봅니다.
철학
철학 이미지
Q.  경험주의와 합리주의 사조의 가장 큰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16-17세기 영국을 중심으로 한 경험주의와 대륙의 합리주의 사상은 기존의 앎에 회의를 느낀 나머지 오로지 경험을 통해 참된 앎에 도달할 수 있다는 경험론 사상이 영국에서 베이컨 로크 흄 등을 통해 전개되었고 상대적으로 데카르트 스피노자 라이프니츠 등을 중심으로 인간의 이성을 통해 참된 앎에 도달할 수 있다는 합리론 사상이 전개되었습니다. 지리상의 발견시대가 전개되고 천동설이 아닌 지동설이 주장되면서 인간들은 앎에 대해 회의하게 되었고 참된 앎에 도달하고자 하는 방법을 찾고자 하였습니다. 오직 경험을 통해서만 참된 앎에 도달할 수 있다는 사상이 영국을 중심으로 전개된 경험주의 사상(귀납적 사고)이고 오직 인간의 이성을 통해 참된 앎에 도달하고자 하는 사상이 대륙(프랑스와 독일 등)의 합리주의 사상입니다.
철학
철학 이미지
Q.  신천지와 이단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기독교의 정통에 반하는 것을 이단이라고 합니다. KCC(한국 기독교 총연합회)의 교리에 어긋나는 종단들은 모두 이단이라고 합니다. 해방촌에서 시작된 통일교 신천지 구원파 등등의 종파들은 한국 기독교 총연합회에서 이단으로 보고 있습니다. 성경의 가르침과 다른 스스로가 자칭 재림예수라 칭한다는 것은 이단의 전형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JMS 만민중앙교회 등등과 같은 이단은 인간의 나약한 마음을 이용하여 교주의 사욕을 채우는 사이비종교이고 신천지 또한 이와 다르지 않습니다.
67891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