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붉은색으로 이름을 쓰지말라는 것은 어디서 유래된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대 중국에선 황제 외에는 홍색으로 서명을 할 수 없었는데요, 홍색은 지고지상의 권력을 상징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사형수의 이름을 홍색으로 쓴 것은 지고지상의 권력으로 생명을 박탈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고대부터 붉은색으로 사람의 이름을 쓰는 불길하고, 흉한 일로 인식되어 왔고, 현대 사회에서도 홍색으로 사람의 이름은 쓰는 것은 기피되고 있습니다.말씀하신 인주는 붉은 색인데요, 지금도 인주는 결재, 서명, 싸인과 같은 일에 쓰이고 있죠. 그런데 고대 중국에서는 최종 결정권자가 황제 한 사람이었습니다. 황제는 유일한 결재권자였고, 결재에는 옥새를 찍는 인주와 붉은 색 먹물로 쓴 황제의 서명이 들어갔죠. 인주印朱의 붉은 색은 주홍이라 하고, 황제의 의견이나 서명을 쓴 것은 비주批朱라고 합니다. 붉은 인주와 붉은 색 먹물은 지존의 황제 전용이었습니다. 지금이야 누구나 다 인주를 사용할 수 있지만, 고대 중국 사회에서는 황제의 전유물이었죠.이와 별도로, 중국 한족의 전통 문화에서 홍색은 오행 중의 불을 뜻하는데, 홍색은 위에서 말한 황제 전용 홍색 서명과는 달리 길상, 기쁨, 아름다움, 미녀, 경사 등을 뜻합니다. 민속에서 쓰이는 홍색은 사람의 이름을 쓰는데 사용하지 않고, 기쁨을 나타내는 상징적 색깔이었습니다. 황제가 절대 권력을 상징하여 사용했던 홍색 글씨와 홍색 인주는 민속에서 사용하는 홍색의 의미와는 문화적으로 다른 개념입니다.
Q. 신혼여행의 문화는 무엇으로부터 시작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신혼여행은 신혼부부의 생존력과 친화력을 강화시키지 위해 결혼 후 위험하고 낯선 곳으로 이들을 보내던 유목민족의 풍습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서로 잘 모르는 두 사람이 위험하고 낯선 곳을 함께 여행하다 보면 자연히 친밀해지고 서로를 믿고 의지하게 되기 때문이다.영어로 신혼여행을 뜻하는 허니문(Honeymoon)은 말 그대로 밀월(蜜月)일 수도 있고, 허니(Honey)로 지칭되는 사랑하는 이와 함께 달로 상징되는 밤을 함께 보낸다는 데서 유래한 말일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런 문자적 의미가 아닌 또다른 의미로 약속이나 맹약의 출발에 있어 조화를 이루는 기간이란 뜻을 갖고 있다. 역시 어렵고 조심스러운 시작의 충격을 줄이기 위한 여행이란 것이다. 또 다른 허니문의 유래는 신혼부부는 결혼한 첫달 내내 '미르'라는 벌꿀술을 매일 마신 것에서 기인했다는 것이다. 어원상으로 볼 때 허니(honey)는 '벌꿀, 귀여운 여자, 여보'라는 뜻이고, 문(moon)은 달(한달)을 말한다. 즉, 허니문(honeymoon)은 감미롭고 행복한 신혼기를 보름달에 비유하여, 곧 이지러져감을 암시한 익살스러운 조어이다.우리나라에 신혼여행의 풍습이 들어온 것은 정확히는 알 수 없으나 역시 개화기 이후부터라고 생각됩니다.
Q. 위화도회군은 이성계에게 어떤의미가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성계가 위화도 회군을 단행한 이유당시 고려와 명나라의 관계는 명나라가 무리한 공물을 요구해 매우 긴장되어 있는 상태였는데, 1388년에는 명나라가 철령위를 설치해 철령 이북의 땅을 요동도사의 관할 아래 두겠다고 통고해 왔습니다. 이에 고려가 크게 반발해 결국 요동정벌로 이어졌습니다.위화도 회군이유.요동정벌이 단행될 때, 수문하시중 이성계는 작은 나라가 큰 나라를 거스르는 일은 옳지 않으며, 여름철에 군사를 동원하는 것이 부적당할 뿐 아니라, 요동을 공격하는 틈을 타고 왜구가 창궐할 것이며, 무덥고 비가 많이 오는 시기이므로 활의 아교가 녹아 풀어지고 병사들이 전염병에 걸릴 염려가 있다는 4불가론을 들어 반대하였습니다.그럼에도 우왕과 문하시중 최영이 강력하게 주장해 요동정벌이 실행되었습니다. 이에 부 ㄼ족해서 이성계는 회군을 단행한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