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친일파라고 하면 이완용을 제일 먼저 말하는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제일 친일파로서 대표적인 인물이라 그렇습니다영국과 미국의 도움을 받으면서 러일전쟁을 도발한(1904) 일본은 한일의정서 체결을 강요하여 조선을 전쟁터로 만드는 한편, 초전에서의 유리한 국면을 배경으로 '화폐정리사업' 등을 감행하면서 조선을 식민지로 만들기 위한 기초를 닦아 갔으며,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를 보내 한국의 외교권을 빼앗고 통감 통치를 실현하기 위한 '을사보호조약'의 체결을 강요했다 러일전쟁이 일본 쪽에 유리하게 되자 친러파에서 친일파로 변신하여 '을사보호조약' 체결을 주동한 이완용은 그 공으로 의정대신 서리 및 외부대신 서리가 되었다가(1905. 12. 8), '을사보호조약'의 결과 조선의 통감이 된 이토의 추천으로 의정부 참정대신이 되었고(1907. 5. 22)'을사보호조약'에 반대하는 운동이 전국적으로 확대되는 한편 이 조약이 강제로 체결되었음을 국제사회에 알리기 위한 헤이그 밀사사건이 터지게 되자 일본은 이토로 하여금 고종의 양위를 요구했다. 이완용은 이에 동조하여 양위를 건의했다가 두 번씩이나 거절당했으나 계속 강압하여 결국 황태자에게 양위하게 했다.고종을 양위시킨 이토는, 통감이 한국 정부의 시정(施政)을 '지도'하는 권리를 가지며, 법령을 제정하고 중요한 행정상의 처분을 할 수 있으며, 고급 관리의 임명, 외국인의 고빙(雇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정미 7조약' 체결을 요구했고, 이완용은 이에 응하여 조약을 체결했다(1907. 7. 24). 서울 남산에 있는 통감관저를 방문하여(1910. 8. 16) '합방'조약의 내용을 마무리지었고, 같은 날 오후 내각회의를 열어 그것을 통과시킨 후 다시 어전회의 절차를 거쳐서(8. 22) 그날로 "한국 황제는 한국 전부에 관한 일체의 통치권을 완전히 또 영구히 일본국 황제에 양여한다"는 '합방'조약을 내각 총리대신 이완용과 통감 데라우치(寺內正毅)의 이름으로 조인함으로써 그는 영원히 지워질 수 없는 매국의 원흉이 되었다. 이후 '내선인친목회'를 발기하고 '조선귀족회' 부회장이 되어 일본을 드나들면서 일본 국왕을 만나는 등 친일행위를 계속하였는데, 고종이 죽고 그 장례를 이용하여 3·1 운동이 일어나자 세 차례에 걸쳐 조선 민족에 대한 이른바 [경고문]을 발표했다. 이후 이완용은 후작으로 승작했고(1921), 아들 항구(恒九)도 남작을 받았으며 손자 병길(丙吉), 병희(丙喜) 등도 모두 귀족으로서 일본에 유학하는 등 친일파 수괴로서의 갖은 '영화'를 누리는 한편, 매국의 대가로 막대한 재산을 소유하게 된다
Q. 영어가 왜 국제어로써 널리 쓰이게 됬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첫째는 정치적인 영향력입니다. 먼저 중세 이후로 계속된 식민지 정책과근대의 제국주의 팽창 정책등이 영어의 세계화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둘째는 경제적 영향력입니다. 미국과 영국, 캐나다와 호주 등 영어권 국가들이경제적으로 선진국 대열을 이끌고 가면서영어가 전세계적으로 퍼진 것입니다. 셋째는 문화적 영향력입니다. 미국의 헐리우드 영화와 영국의 007시리즈를 필두로수많은 영화, 잡지, 신문, 방송 등이영어를 세계어로 만들었습니다. 넷째는 영어권 국가를 향한 동경과 열망이 영어의 붐을 일으켰고오늘날에는 이미 세계어가 되어서마치 세계화의 표준이 영어인 것처럼 되었습니다. 이런 이유 외에도 많지만 대략 이런 이유들 때문에세계화의 선두 대열에 서려면우리는 영어를 필수적으로 배워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