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일제강점기 시절 독립 투사는 누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인영(李麟榮, 1868년 9월 23일~1909년 9월 20일)구한말의 의병장이다. 경기도 여주에서 출생하여 유학을 익히다가, 1895년을미사변이 일어나자 여주를 기반으로 거병하였다. 그러나 의병의 무력으로는 관군과 일본군을 당하기 힘들었고, 해산령이 내려지면서 이인영은 의병대를 해체하고 문경에서 은둔 생활을 하였다. 안중근 의사1909년 10월 하얼빈역에서 조선 침략의 원흉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 윤동주시인 1919년후학양성하여 독립의지 고취 항일운동 홍범도 장군봉오동 전투(도문, 연길, 용정, 화룡)(1920년)1920년대 만주지역에서 항일무장투쟁의 포문을 연 봉오동전투는 청산리대첩과 함께 독립군의 위대한 전투로 꼽힌다. 이는 1920년 6월 4일 삼둔자전투에서 시작됐다. 삼둔자란 두만강 중류 북쪽 대안의 한 마을 이름이곳에서 그의 부대는 일본 정규군을 대패시킨다. 이 전투에서 일본군은 157명의 전사자와 200여 명의 부상자를 낸 반면, 독립군은 장교 1명, 병사 3명이 전사하고 약간의 부상자를 냈을 뿐이다. 봉오동전투는 독립군 세력이 더욱 커지는 계기가 되었고 또한 이후 10월의 청산리대첩으로 가는 발판이 되었다.김좌진 장군만주지역, 항일무장투쟁 전개 (1925년) 흑룡강성 남부 지역은 주 활동무대였다. 그는 청산리대첩 이후 1925년 북만주 독립군단을 정비해 만주지역 항일독립운동단체인 신민부를 결성했다. 또한 성동사관학교를 설립해 독립군 간부양성에 힘을 쏟기도 했다.우리 독립운동사에서 가장 빛나는 대일승첩이라고 기록하고 있는 청산리대첩. 독립군은 1920년 10월 21~26일까지 엿새 간 백운평전투를 시작으로 천수평, 어랑촌, 완루구, 고동하 등지에서 10여 회의 크고 작은 전투를 벌여 모두 승리하였다. 이범석1900년 10월 20일 - 1972년 5월 11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 정치가이다. 고등학교 재학 당시 중국으로 망명하여 독립운동에 참여했다. 1919년 만주에서 신흥무관학교와 북로군정서 등지에서 항일독립활동을 하였으며, 북로군정서 연성대장으로 청산리 전투에 참전하기도 했다. 그 뒤 소련과 만주에서 활동하던 중 중국으로 건너가 대한민국임시정부 한국 광복군의 중장으로 광복군 참모장과 제2지대장 등을 지냈다. 1945년 귀국을 시도했다가 강제로 상해로 되돌려보내졌고 1946년 귀국하였다. 귀국 후 안호상과 함께 조선민족청년단을 결성하여 활동하였고 반공주의 정치 활동을 하였다. 지청천(池靑天)1888년 2월 15일 종로 ~ 1957년 1월 15일)은 일제 강점기의 항일 독립운동가였으며, 만주에서 독립군 활동을 하다 임시정부의 광복군 창설에 참여하여 광복군사령관 등을 역임했다이회영, 이철용, 이상룡, 이동녕 독립운동가들이 세운, 조선족중심소학교 동명학교(1919-1925년)이 학교를중심으로 독립운동 기지화 투사 양성 신흥무관학교 입교로 군관 양성지원
Q. 우리나라에서 동물을 주제로 그림그리는 화가님이 계시나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암- 모견도 ,김두량 - 삽살개 , 김홍도 - 호랑이,이중섭- 소, 김기창- 부엉이, 변상벽- 고양이 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