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팔불출이라는 말의 유래가 어떤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팔불출은 팔불용이라는 말에서 유래가 되었습니다원래의 뜻은 제 달을 다 채우지 못하고 여덟 달만에 낳은 아이를일컫는 팔삭동(八朔童)이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이 정설입니다.팔불출의 8가지뜻으로는첫째 제 잘났다고 뽐내는 놈,두번째 마누라 자랑이고,셋째 자식 자랑이라고 한다.네번째 선조와 아비자랑을 일삼는 놈이고,다섯째 저보다 잘난 듯 싶은 형제 자랑이고,여섯째 어느 학교의 누구 후배라고 자랑하는 일이며,일곱째 제가 태어난 고장이 어디라고 우쭐해 하는 놈이라고 비꼬고 있습니다..사람들은 팔불출이라는 원래 뜻이 본디 덜 떨어진 것을 비꼬아 만들어서그런지 그 여덟 가지조차 하나를 덜 만들었다합니다.
Q. 역사 스페셜이나 다큐멘터리를 자주 보는데..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구중궁궐[ 九重宮闕 ] 아홉 구, 무거울 중, 집 궁, 대궐 궐.예로부터 큰 대궐을 구중궁궐이라 했습니다. 낱말풀이로 해보면 아홉번 거듭쌓은 담에 둘러쌓인 궁궐이라는 뜻이죠.그 중 구중이라는 한자만 빼서 보면 아홉 겹의 담입니다.약간 더 자세하게 설명하자면 접근하기 어렵게 깊이 자리한 궁을 표현하기도 하는데 이 이유는 가장 안쪽에 임금의 처소를 자리하기 위함입니다.비슷한 뜻으로는 구중심처가 있구요. 아홉겹으로 둘러쌓인 깊은 처소라는 뜻이기도 합니다.문제로 나왓을 시 앞뒤 문맥에 따라 아홉 겹의 담, 거듭쌓은 담 정도로 표현할 수 있겠습니다.
Q. 클라이밍은 어떻게 생겨난 스포츠(?)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스포츠 클라이밍의 유래는 1976년 구소련에서 최초로 열린 속도등반(speed climbing)의 영향을 받아 1985년 이탈리아 아르코에서 국제클라이밍대회가 열리면서 시작되었으며, 이를 계기로 스포츠 클라이밍이 확산되기 시작한다. 최근 인공 암벽등반은 그 저변이 확산되어 이를 즐기려는 동호인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지방자치단체 및 학교, 산악회, 기타 직장 등에서 사회체육의 일환으로 예산을 투자하여 시설물들을 늘려나가고 있다. 체력 단련을 위한 수단으로 인공 벽만을 찾는 사람들은 체험을 필요로 하는 거대한 자연암벽에서는 기량의 한계를 드러내기도 한다. 스포츠 클라이밍 경기의 종류는 난이도 경기, 속도 경기, 볼더링 경기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