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회이상이 2회포함인가 불포함인가?!!
안녕하세요. 김민수입니다.'이상'의 의미는 긍정문과 부정문에서 의미의 차이가 없습니다. 기준점을 포함한 전체 범위에 허용 또는 불허의 조건이 똑같이 적용됩니다. 따라서 '2회 이상 킵불가'라는 말은 논란의 여지 없이, '두 번째 킵부터는 불가능하다', '킵은 총 1회만 가능하다'라는 의미입니다. (2회 이상-->2회, 3화, 4회... 모두 포함 / 불가-->이 범위 전체가 불가이다-->2회도 안되고, 3회도 안되고, 4회도 안된다....) 예)3세 이상 출입 금지-->3세부터 들어갈 수 없다3세 이상 사용 가능-->3세부터 사용 할 수 있다: 두 경우 모두 '3세 이상'은 3세를 포함한 그 위의 나이를 의미하며, 문장의 전체적인 뜻이 달라지는 것은 서술어(금지/가능)때문입니다.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Q. 초등학교 고학년이 읽어야 할 필독서가 있다면?
안녕하세요. 김민수입니다.초등 5-6학년 시기는 청소년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시기로, 이 시기에는 즐거움에 더하여 세상을 이해하고 가치관 형성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분야의 양서가 도움이 됩니다. 이러한 양서를 분야별로 정리해 보겠습니다.문학 영역- 「푸른 사자 와니니」, 이현, 창비: 독립과 연대, 리더십의 의미를 배울 수 있음.- 「마당을 나온 암탉」, 황선미, 사계절: 꿈과 자유, 모성애와 희생의 가치를 아름답게 묘사.- 「초정리편지」, 배유안, 창비: 역사 동화, 한글의 소중함과 배움의 즐거움을 제시.- 「아몬드」, 손원평, 창비: 주제가 약간 어려울수 있음, 타인과의 관계 및 공감 능력에 대한 생각을 제시.- 「샬롯의 거미줄」, E.B 화이트, 시공주니어: 우정의 소중함을 일깨워줌.- 「모모」, 미하엘 엔데, 비룡소: 시간의 소중함과 인간다운 삶의 의미를 일깨워줌.역사 영역- 「용선생의 시끌벅적 한국사」, 손정혜 외, 사회평론: 풍부한 시각 자료의 제시로 역사에 대한 흥미를 유발.- 「어린이를 위한 역사의 쓸모」, 최태성 외, 다산어린이: 억지로 외우지 않고 자연스럽게 역사의 가치를 설명.- 「책과 노니는 집」, 이영서, 문학동네: 책의 소중함과 혼란스러운 조선 후기의 시대상을 알려 줌.과학 영역- 「정재승의 인간탐구 보고서」, 정재승 외, 이울북: 뇌과학을 통해 인간 심리(나와 타인)를 쉽게 설명.- 「이유가 있어서 멸종했습니다」, 미루야마 다카시, 불의여우: 멸종 동물을 독특하고 유머러스하게 설명, 생명의 소중함과 환경문제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움.- 「STEAM 초등 과학 실험 캠프」, 조건호 외, 바이킹: 어려운 과학 원리를 일러스트로 설명, 집에서 할 수 있는 다양한 실험 소개.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Q. 성격이나 행동이 못된 사람에게 괴물이라고 욕하는 이유가 무엇 때문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민수입니다.일상에서 나쁜 말과 행동을 저지르고 통제를 못해서 다른 사람을 화나게 하는 사람을 괴물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이른바 괴물이라고 칭해지는 것들과 그러한 사람들이 어떠한 공통점을 공유하기때문이라고 생각됩니다. 괴물과 질문자님이 말씀하신 사람들의 공통점이라 할 수 있는 것들을 정리해보겠습니다.우선, 우리가 생각하는 괴물의 특징은 통제불가능성과 파괴성입니다. 우리가 상상하는 괴물들은 인간이 만든 법률이나 제도, 인간들이 서로 공유하는 도덕이나 상식의 범주에서 생각하고 행동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괴물의 모습은 우리가 생각하는 악인들의 사고나 행동과 유사합니다. 또한 괴물들은 주변 사람들의 고통과 상관없이 그들의 감점을 드러내며, 파괴적인 행위를 일삼습니다. 이 또한 악인들의 행동과 유사합니다. 그 다음으로, 비인간성입니다. 괴물은 인간이라면 도저히 저지를 수 없는 행동을 서슴치 않고 자행합니다. 우리는 이러한 행동들을 인간의 범주에서 이해하지 않으며, 인간과는 다른 범주에서 이해하려 합니다. 따라서, 악인들을 인간의 범주가 아닌 괴물의 범주에서 취급하려고 시도하며, 이는 그 악인을 인간 사회의 정상적인 범주 밖으로 밀어내, 우리 자신과 분리하여 심적인 안정을 얻으려는 것으로 이해됩니다. 마지막으로, 우리가 누군가를 괴물이라고 칭하는 것에는 강력한 비난과 경고의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이는 악인의 행동으로부터 공동체를 지키려는 우리들의 노력의 일환으로 이해될 수 있습니다. 즉, 누군가를 괴물로 지칭함으로써 그 사람의 행동이 도저히 용납될 수 없는 행동이라는 것을 인식시켜 그 행동을 중단시키려는 사회적 경고의 기능을 한다는 것입니다.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