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바른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바른 전문가입니다.
김바른 전문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학문
기타 의료상담
2022년 3월 22일 작성 됨
Q.
천식이 있는데 백신 맞아도 될까요?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부스터샷은 백신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일정 시간이 지난 뒤 ‘추가접종’을 하는 것을 말합니다.임상 결과에 따르면 백신의 효과는 최대 6개월까지라고 발표하였습니다.변이바이러스를 염두하면 더 짧은 기간에 접종을 받아야 코로나에 대한 예방이 될 수도 있겠습니다.
이비인후과
2022년 3월 22일 작성 됨
Q.
면연력이 떨어지면 코로나19 걸릴 확률이 높나요?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ABO식 혈액형과 코로나 19 바이러스 감염증은 관련이 없어보입니다.면역력이나 기저질환 유무는 코로나 19 바이러스 감염증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비인후과
2022년 3월 22일 작성 됨
Q.
코로나 약을 먹고 있습니다 타이레놀 먹어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몸살이나 감기와 상당히 흡사한 증상이 발생합니다. 기침, 두통, 발열, 가래 등이 발생가능하며 일반적으로 타이레놀과 같은 진통해열제를 복용하면서 증상을 조절합니다.
이비인후과
2022년 3월 22일 작성 됨
Q.
간이 키트 양성,음성 돌아가면서 나와요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편의점이나 인터넷에서 구입할 수 있는 자가검사키트의 경우 정확도 80% 정도의 성능을 갖고있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빠른 시간대비 정확도가 높은편에 속하기는 하나 100% 정확한 것은 아니므로, 그래도 PCR검사의 정확도가 높기때문에 밀접접촉이나 확진자와 동선이 겹쳤을 경우에는 선별진료소나 보건소에서 검사받으시는게 좋겠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2년 3월 22일 작성 됨
Q.
코로나 바이러스는 기온에따른 영향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일반적으로 바이러스는 춥고 건조한 기후에서 보다 유행하며, 박테리아에 의한 질환은 습하고 더운 환경에서 유행하기 좋습니다.답변되셨길 바랍니다.
이비인후과
2022년 3월 22일 작성 됨
Q.
7세 남아이 코로나 확진입니다. 고열인데 그냥 자가치료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몸살이나 감기와 상당히 흡사한 증상이 발생합니다. 기침, 두통, 발열, 가래 등이 발생가능하며 따라서 해당 증상을 조절하는 약을 복용하면서 증상을 관찰하면 되겠습니다.대체로 금방 좋아집니다만, 만약 증상이 악화될 경우에는 의료기관에 문의하시는게 좋겠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2년 3월 22일 작성 됨
Q.
격리해제 후 자가격리중인 사람과 같이 있어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코로나 19 바이러스 자가격리가 끝난 직후에는 코로나 19 바이러스에 바로 재감염될 가능성이 낮습니다.따라서 너무 걱정하실 필요는 없겠습니다.
치과
2022년 3월 22일 작성 됨
Q.
요즘 들어 잇몸이 자꾸 붓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치주염이라고 합니다.일반적으로 양치질이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구강위생관리에 문제가 생기게 되며, 이로 인해 치태나 치석이 쌓이게 됩니다. 쌓인 치태와 치석은 잇몸에 염증을 유발하게 되며 그로 인해 잇몸에서 피가 나고 부으며 건드릴 경우 통증까지 유발합니다. 이 상태가 오래 지속되면 잇몸뼈가 염증 반응에 의해 녹게되며 결과적으로 치아가 흔들리게 됩니다.현재까지 치주염의 경우 완치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있으며, 치주염으로 인해 녹은 잇몸뼈의 재생도 매우 어렵습니다.따라서 발생하기 전에 예방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며, 적절한 양치질 및 주기적인 스케일링 혹은 잇몸치료를 통해 치주염의 진행을 막는 것이 필요합니다.도움되셨길 바랍니다.
치과
2022년 3월 22일 작성 됨
Q.
스케일링 받은 후 치아에 홈은 왜 생기는 이유?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스케일링은 치아구조를 손상시킬 수 없습니다. 이는 스케일링 관련 여러 정보나 영상을 찾아보셔도 쉽게 아실 수 있습니다.스케일링 이후에 일시적인 시림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상당히 많은데, 이는 평소 치석으로 덮혀있던 치아 부분이 스케일링에 의해 치석이 제거되면서 노출되어 일시적인 과민증을 유발하기 때문입니다.대체로 단기간내에 개선되기때문에 걱정하실 필요없겠습니다.
치과
2022년 3월 22일 작성 됨
Q.
턱관절에 퇴행성 관절염 진단을 받았어요. 더 진행이 되지 않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턱관절의 퇴행성 관절염(DJD)의 경우, 관절염의 염증성 흡수 소견이 멈추고 관절면의 피질골이 회복될때까지 장치치료, 물리치료, 약물치료 등을 통해 최대한 턱관절의 부하를 줄여주고 안정을 취하시는게 좋습니다.해당 진료는 일반적으로 대학병원 치과에서 구강내과 진료를 받아보시는 권합니다.
161
162
163
164
16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