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글쓰기를 좋아하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글쓰기를 좋아하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김종호 전문가
열린동해문학
Q.  문익점은 어떻게 목화씨를 가져올수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사신으로 원나라에 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붓두껍 속에 목화씨를 몇 알을 숨겨 가지고 왔다는 일화로 매우 유명합니다. 원나라로부터 자주 독립을 꾀하는 공민왕을 옹호하다가 원나라 황제의 미움을 사서 귀양을 갔고, 그곳에서 목화를 발견하여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목숨을 건 밀수를 했고, 온갖 고초 속에서 밀반입에 성공하여 백성을 등따시고 배부르게 사는데 공헌한 인물이라는 것이 흔히 알려진 이야기입니다.그런데 이 이야기가 사실일 가능성은 낮다고 합니다. 우선 이 이야기는 기초적으로 원나라가 목화씨를 금수물품으로 지정했다는 설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는데, 실제로 원나라가 금수품목으로 지정한 품목은 무기나 화약 등 국방에 있어 매우 중대하거나 희소성이 높은 품목일 뿐, 남쪽에 널리고 널린 게 목화인 만큼 희소성 없는 품목을 금수품목으로 지정했을지가 의문입니다. 면화가 화기나 화약의 심지를 만드는 데 쓰이기 때문에 군수품으로 간주되었을 가능성은 있지만 설사 금지품목이었다 해도 당시 원나라의 상황을 보면 전혀 금수가 지켜지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았고, 문익점은 다년생의 강남산이 아니라 1년생의 화북산 목화를 가져왔다는 게 주 내용입니다.문익점이 원나라에 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목화밭을 보고나서그는 함께 간 종에게 목화씨를 따게 하여 몰래 붓대 속에 넣어 가지고 왔습니다.
Q.  북한이 경험했던 고난의 행군이란 어떤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북한에서 '고난의 행군'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이 시기 북한에서는 최소 수십 만명의 아사자가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원래 고난의 행군이란 말은 1938년 말∼1939년 김일성 주석이 이끄는 항일 빨치산이 만주에서 일본군의 토벌작전을 피해 혹한과 굶주림을 겪으며 100여 일간 행군한 데서 유래했습니다.상부의 정책 실패로 일어난 20세기 가장 비극적인 대기근 중 하나로 꼽힌다고 합니다. 대한민국 통계청 추정치로 최소 약 10만 명에서 최대 약 40만 명 가량이 아사했다고 추정됩니다.
Q.  우리나라에 여자 선거권이 없었다는게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에서 여성이 선거권을 가지게 된 때가 언제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해방이 되자 새로운 나라를 세우기 위해 사람들은 바쁘게 움직였습니다. 1946년 12월 선거를 했는데 여성들은 '여성에게도 선거권을 달라.'고 요구했습니다. 왜냐하면 선거를 할 수 있는 사람을 '만 20세가 넘는 세대주'라고 정했기 때문입니다.1948년 3월 17일 1대 국회 의원 선거를 위해 법이 만들어졌습니다.이때 여성에게도 남성과 똑같이 선거권과 선거에 출마할 자격(피선거권)을 주었다고 합니다.
Q.  반 고흐가 늦은 나이인 30대가까이가 되서 화가로 전환하게 된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빈센트 반고흐는 목회자의 길을 가고자 했으나 순탄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여집니다. 1879년 1월, 빈센트는 벨기에 보리나주에 있는 가난한 광산촌 쁘띠와스메스에서 평신도 선교사직을 맡았습니다.빈센트는 1880년 8월에 퀴엠으로 돌아가 광부와 함께 10월까지 머물렀습니다. 빈센트는 이제 성직보다도 미술에 더 깊은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그는 주변 사람들과 장면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본격적으로 미술을 시작하자는 남동생 테오의 제안에 따라 이를 그림으로 기록하게 되었습니다. 로엘로프스(Willem Roelofs, 1822~1897)의 문하생으로 들어가는 게 어떻겠냐는 테오의 권유에 따라 브뤼셀에 가게 됩니다. 빈센트는 어느 학교에 소속되어 미술을 배우는 것을 싫어했고, 혼자 그림을 그리는 것을 더 좋아했습니다. 그러나 결국 테오에게 설득되어 1880년 11월, 브뤼셀 왕립 미술 아카데미에 입학하고 빈센트는 거기서 해부학, 소묘, 원근법을 배웠습니다. 어떻게 보면 화가의 길로 접어들었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Q.  마법사라는 말은 언제부터 시작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마법사라는 말이 언제부터 시작된 것인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마법 및 마법사의 기원은 아무도 모른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추측을 하자면 작중에서 마법사와 요정 사이에서 태어난 존재도 마법사/인간으로 취급하며 외형도 인간형인 경우가 대부분이고 호그와트에 다니기도 합니다. 그 소리는 머글이 만약 요정과 정을 통해도 마법 능력을 지닌 인간 외형의 생물체가 2세로 나온다는 것이며, 이들이 최초의 마법사라고 할 수도 있습니다.
9697989910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