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글쓰기를 좋아하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글쓰기를 좋아하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김종호 전문가
열린동해문학
Q.  아르헨티나가 예전에는 세계5대 강국이었다는게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아르헨티나의 경제가 악화된 원인이 무엇이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아르헨티나는 과거엔 선진국이었지만 여러 가지 원인 때문에 지속적으로 경제가 쇠퇴했습니다. 오늘날에는 여러모로 경제가 불안한 나라로 분류됩니다. 1900년대 무렵에는 미국보다 1인당 GDP가 높은 세계 5대 경제 부국이었고 1913년 무렵에는 세계경제의 1.2%를 점유했으며, 캐나다, 호주보다도 소득수준이 높았습니다. 여기에 금 보유량도 5,900만 파운드나 되었고, 같은 해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남미 대륙 최초로 지하철이 개통되었을 정도의 전성기를 구가했다고 합니다.목축업 등 농업에 치중하다보니 1960년대 이후 점차 선진공업국의 발전을 따라갈 수 없게 되었고 정치적 혼란들이 몰락을 야기하여 결국 오늘날의 중진국으로 전락한 것입니다. 그리하여 아르헨티나는 지난 40년간 8차례 국가부도를 경험했고, 2020년 들어서 통산 9번째 디폴트를 경험하였습니다.
Q.  고려시대에 개성에 궁궐은 몇 개가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시대 개성에는 몇개의 궁궐이 있었는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고려의 궁궐은 조선처럼 따로 이름이 있는 것이 아니었다고 합니다. 개성 만월대는 고려 궁궐이 있던 곳이다. 지금은 흔적만 남은 곳을 2007년부터 남북공동으로 발굴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리하여 장식기와, 벽돌, 청자편, 금속활자 등이 출토되어 여러 정보를 조금씩 쌓는 중이라고 합니다. 만월대는 원래 왕건의 집터였습니다. 그 뒤 궁예가 송악으로 옮겨 궁궐이 들어섰으나 몇 년 뒤에 철원으로 돌아갔습니다. 궁예를 내쫓고 왕건이 즉위하면서 송악으로 다시 천도하여 고려 궁궐로 자리잡았다고 합니다. 고려 궁궐은 『고려사』등에 ‘본궐’・‘황궁’으로 나올 뿐입니다.
Q.  삼성전자가 국제적인 기업이 된 계기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삼성전자가 국제적인 기업이 된 이유는 스마트폰 사업을 시작하고부터라 할 수 있겠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삼성은 199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재계 상위권에 속하는 대한민국 내 여러 대기업 중 하나에 불과했습니다. 그러나 1997년 불어 닥친 경제위기를 계기로 삼성은 광범위한 구조조정을 통해 대한민국 내에서 재계서열 1위의 대기업으로 자리를 굳히게 됩니다. 이는 당시 경제위기로 대한민국 내 30대 대규모 기업집단 중 16곳이 부도를 맞아 해체된 것과 대비됩니다. 이후 애플의 아이폰을 필두로 스마트폰 시장이 폭발적으로 확대되자 삼성전자는 소위 패스트 팔로워 전략을 사용하여 스마트폰 시장의 강자로 자리매김하게 됩니다. 1980년대~1990년대만 하더라도 삼성전자의 목표는 경쟁사인 일본 기업을 따라잡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2010년 삼성의 세계 점유율은 평면 TV와 반도체 메모리에서 1위를 차지하며 모두 일본 업체들을 앞서고 있습니다. 또한 삼성은 2007년에는 휴대폰 부문에서 모토로라를 누르고 세계 2위의 핸드폰 제조업체에 등재되었다고 합니다. 스마트 헬스케어 분야에서 새 성장동력을 모색해오던 삼성은 2010년 12월에 메디슨을 인수함으로써 헬스케어사업부문에도 진출하게 되었습니다.
Q.  수술에 쓰이는 마취제는 어떻게 개발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마취제가 어떻게 개발되었는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1799년 영국의 과학자 험프리 데이비는 어느날 재미있는 발견을 했습니다. 이산화질소를 마셨더니 기분이 좋아지고 몽롱해진 것입니다. 여기서부터 마취제의 발명 역사가 시초라 할 수 있겠습니다.산부인과 의사 심프슨은 1847년에 '클로로포름'이라는 마취제를 발명했습니다. 이 마취제는 에테르에 비해 자극이 적어 부작용이 덜했을 뿐만 아니라, 마취 효과도 뛰어나고 사용도 간편했습니다.
Q.  국기를 처음으로 만든 나라는 어느 나라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세계 최초의 국기는 프랑스의 삼색기라고 합니다. 1789년 여름, 프랑스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모여서 '빵을 달라'고 외치며 왕이 사는 궁전을 향해 행진하였습니다. 그 해 흉년이 드는 바람에 밀과 보리의 값이 너무 비싸졌고,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빵을 먹지 못해 굶주리고 있었기 때문이었습니다. 프랑스 사람들은 혁명의 세 가지 이념을 상징하는 세 가지 색으로 이루어진 깃발을 만들어냈습니다. 자유를 상징하는 파란 색과 박애를 상징하는 빨간 색, 그리고 평등을 상징하는 흰 색을 나란히 세워놓은 삼색기가 바로 그것이라고 합니다. 프랑스 사람들은 그 삼색기를 들고 전쟁터로 나아가서 싸웠고, 곧 그 삼색기는 프랑스 전체를 상징하는 것으로 여겨지게 되었습니다. 프랑스 사람들은 그 세 가지 색으로 이루어진 깃발을 보면서 자유, 평등, 박애라는 이념으로 만들어진 모든 국민들의 나라 프랑스를 떠올리게 된 것입니다.자신들의 피와 땀으로 세운 자신들의 나라. 모든 사람들이 서로 평등하고 자유롭게 살면서 서로에 대한 박애정신으로 뭉쳐진, 세계에서 하나 뿐인 자랑스러운 나라. 프랑스 사람들은 바로 삼색기를 보면서 자신들이 이룩한 혁명에 대한 엄청난 자긍심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9697989910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