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글쓰기를 좋아하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글쓰기를 좋아하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김종호 전문가
열린동해문학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4년 5월 16일 작성 됨
Q.
어찌할 수 없다는 뜻의 사자성어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속수무책과 비슷한 말은 일주막전과 계무소출이 있습니다. 一籌莫展(일주막전)은 산가지(莫) 하나도 쥐여놓지 못한다는 뜻으로, 어떤 문제에 대해 아무런 계책 하나 내어 놓지 못함을 비유하는 말입니다.계무소출(計無所出)은 계책이 나올 곳이 없음. 즉 아무런 계책도 통하지 않는 답답한 상황을 말합니다.
2024년 5월 16일 작성 됨
Q.
Q1, Q2, Q3, A1, A2, A3을 우리말로 읽는 법을 알려주세요
Q1: 첫번째 질문Q2: 두번째 질문Q3: 세번째 질문A1: 첫번째 답변A2: 두번째 답변A3: 세번째 답변 정도로 읽는게 자연스러워 보입니다.
2024년 5월 16일 작성 됨
Q.
짝짝이라는 단어의 어원이 궁금합니다.
짝짝이를 뜻하는 일본어인 찐빠로 추정됩니다.대체로 소아마비의 증상이며, 그 명칭의 유래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고 합니다.짝짝이의 사전적인 정의는 '찐따'라고 나와 있습니다. 찐따는 '어수룩한 사람', '찌질한 사람', '어울리지 못하는 사람'을 뜻하는 비속어라고 합니다.'짝짝이'를 이르는 일본어 '찐빠(跛)'에서 기원했다고 알려져 있으나, 명확히 밝혀진 어원은 없고, '절름발이'의 전북방언이라는 것만 알려져 있습니다.
2024년 5월 16일 작성 됨
Q.
현재 전해지고 있는 서사무가는 모두 몇 가지인가요?
현재까지 채록된 서사무가는 수백종에 달하지만 제주도 당본풀이를 제외하면 수십종에 불과하다고 합니다. 전국적으로 전승되는 ‘제석본풀이’와 ‘바리공주’, 호남지역의 ‘장자풀이’와 ‘칠성풀이’, 동해안지역의 ‘심청굿’, 제주도의 ‘세경본풀이’와 ‘천지왕본풀이’ 등이 대표적인 유형이라고 합니다.
2024년 5월 15일 작성 됨
Q.
이데올로기란 무엇을 말하는 지요 ??
이데올로기는 '정치 이념'과 같은 뜻으로 통용되고 있습니다.이데올로기라는 단어는 '사회가 어떻게 조직되고 운영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사상'을 뜻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11
12
13
14
1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