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석탑은 무엇이고 어디에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이륵사지에 있는익산 미륵사지 석탑은 백제 무왕의 재위기간 중인 639년에 만들졌으며, 이 석탑은 백제 석탑의 시원 형식(始原形式)이라고 불리며, 여러 면에서 한국 석탑 전체의 출발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해체 당시 높이는 14.2 m로, 원래는 9층으로 추정되는 한국 최대의 석탑으로, 이 석탑은 목조 건물을 석재로 구현하여 백제의 목탑 모습을 잘 보여줍니다.
Q. 조선의 훈련도감은 어떤 군사조직 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훈련도감은 임진왜란을 극복하며 만들어진 새로운 중앙군영이었습니다. 임진왜란으로 기존의 군제(軍制)가 무너지자, 이를 수습하기 위한 정책으로 새롭게 훈련도감을 창설하였으며, 또한 모든 군인에게 급료를 지급하는 상비군으로 조직하여 정예화를 꾀하였습니다. 오군영 가운데 모든 병력이 급료를 받는 유일한 군영이었는데, 국가 재정의 악화를 초래하여 폐지 논의가 종종 행해지기도 했습니다. 훈련도감은 국왕 시위와 도성 방어를 수행하며, 금위영·어영청과 함께 삼군문(三軍門)으로 불리는 중앙의 핵심 군영이었습니다. 그러나 1882년(고종 19)에 신식 군대인 별기군(別技軍)의 창설과 임오군란(壬午軍亂)의 여파로 폐지되었습니다.
Q. 통일 신라 때 설치된 국가기관인 성전이라는 곳은 어떤 역할을 수행하던 곳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신라시대 성전은 국가에서 불교계 통제와 관리를 위해 설치한 일종의 관사(官寺)였습니다. 이들 성전사원은 일반 사찰과 달리 왕실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불교계 통제와 관련하여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였습니다. 사원의 관리기구인 성전은 사찰의 위상과 성격에 걸맞도록 일반 관부와는 다른 모습을 보였으며, 금하신(衿荷臣)-상당(上堂)-적위(赤位)-청위(靑位) 등 4단계 관원 구성을 보이며, 이 가운데 금하신은 남당(南堂)에서 개최되던 신라의 전통적 국가의례에서 기원한 것으로 보기도 하였습니다.
Q. 광개토대왕의 역사는 어느문헌에 기록되었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광개토왕은 고구려의 제18대 왕인 고국양왕의 아들로 이름은 담덕(談德)이며, 중국측 기록에는 이름이 안(安)으로 기록되어있습니다. 광개토대왕은 386년(고국양왕 3) 13살의 나이에 태자로 책봉되었고, 391년 18세의 나이로 왕위에 올랐습니다.광개토왕이라는 왕호는 『삼국사기』에 기재된 것인데, 그의 사후 세워진 광개토왕릉비에는 국강상광개토경평안호태왕(國岡上廣開土境平安好太王)이라는 긴 왕호가 쓰였으며, 경주 호우총(壺杅塚)에서 발견된 고구려 호우(壺杅)에는 국강상광개토지호태왕(國罡上廣開土地好太王)이라는 명문이 새겨져 있으며, 집안(集安) 지역 모두루묘(牟頭婁墓)에서 발견된 묵서(墨書)에는 국강상대개토지호태성왕(國罡上大開土地好太聖王)이라는 호칭이 기록되어 있는것으로 보아, 자료에 따라 다소 표현의 차이가 있지만 영토를 크게 개척한 왕이라는 같은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