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미란다 원칙은 어떤 사건으로 만들어지게 됐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경찰이나 검찰이 범죄용의자를 연행할 때 그 이유와 변호인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권리, 진술을 거부할 수 있는 권리 등이 있음을 미리 알려 주어야 한다는 원칙을 미란다원칙이라고 합니다.당신은 묵비권을 행사할 권리가 있고 당신이 하는 말은 당신에게 불리한 증거가 될 수 있으며 당신은 변호사를 선임할 권리가 있다' 미란다 원칙의 내용입니다.해당 사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미란다 원칙이란 1963년 에리조나주에서 강도죄와 강간죄로 체포된 범죄자의 이름, '에르네스토 미란다'그는 경찰조사를 받으면사 인권보호조치를 제대로 받지 못했다는 주장을 했고,미국 연방대법원은 인권보호를 제공하기 위한 명시적인 안내와 그 이해 여부를 확인하는 절차가 필요했었다는 결론을 내리게 됩니다(1966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