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글쓰기를 좋아하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글쓰기를 좋아하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김종호 전문가
열린동해문학
역사
역사 이미지
Q.  지불놀이는 우리고유의 문화인가요? 아님 중국에서 건너온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쥐불놀이는 음력 정월의 첫째 쥐날에 농부들이 들판에 쥐불을 놓아서 해충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행했던 풍년기원의 의미로 행했던 우리나라 전통 민속놀이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보름날 해서먹는 오곡밥에 오곡이 뜻하는것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정월대름날 오곡밥은 오곡밥의 재료가 되는 다섯종류의 곡식을 말하며 대체로 찹쌀, 팥, 숫, 차조 또는 기장, 콩이라고 합니다. 이것 또한 반드시 넣지 않는 경우도 있으며 찹쌀이나 차조와 같이 찰기 많은 곡식을 넣은 것은 곡종이 같아도 속성에 차이가 있는 곡식을 이용했다는 뜻이라고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일제시대에 국민의 대부분이 창씨개명을 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일제시대때 창시개명이 80% 였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이것으로보아 창시개명을 안한 국민이 없었다고 봐야 할 것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김윤휴가 받았던 섭랑장이란 관직은 어떤 관직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김윤후는 승려 출신으로 백현원에 살았는데, 1232년(고종 19)에 몽골군이 침입하자 처인성으로 피난하였습니다. 이때 몽골군의 장군 살리타이를 활로 쏘아 죽였습니다. 이 공로로 상장군(정3품)에 임명되었으나 굳이 사양하여 섭랑장(종6품)에 보임되었다고 합니다.종6품에 해당하는 관직으로는 주부·부수찬·기사관·규장각직각·좌찬독·우찬독·인의·교수·겸교수·군문낭청·위수·장사·부전수, 의금부와 오부의 도사, 별제·종사관·부장·수문장·부사과·현감·찰방·감목·병마절제도위 등이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과거엔 전염병이 생기면 어떻게 대처 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때 역병에 대한 대처는 다음과 같았다고 합니다. 한국국학진흥원이 9월 15일 공개한 소장 일기자료 중 초간 권문해의 ’초간일기’(1592년 2월 15일자)에는 "역병이 번지기 시작해 차례를 행하지 못하니 몹시 미안했다"라며 전염병으로 인해 조상님들께 차례를 지내지 못한 송구스러운 내용이 있었습니다. 2020년 추석 언택트 명절을 권장한 것과 같이 조선시대에도 전염병이 퍼질 때는 차례와 제사를 지내지 않았습니다. 전염병 확산을 막기 위해 차례를 지내지 않았다고 합니다.
33133233333433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