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글쓰기를 좋아하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글쓰기를 좋아하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김종호 전문가
열린동해문학
역사
역사 이미지
Q.  유교사상은 어떻게 우리나라에 전파가 된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한반도에 유교사상이 전파된 때는 조선시대보다 앞선 것으로 보여집니다. 한국에서는 당장 삼국시대부터 유학의 기본 개념이 수용되었으나, 관학이나 외교 문서, 고대 문헌의 해석 수단 정도에 그쳤을 뿐 백성들 사이에서는 불교나 도교만큼의 큰 영향을 미치진 못했다고 합니다. 신라의 독서삼품과, 시조 등을 보면 이때까진 귀족들의 공부용 혹은 문학적 유희 용도의 학문에 지나지 않았다고 합니다. 고려시대 때 서경에 학교를 세운 것도 유교를 이념으로 인재를 교육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조선시대 전기 불교 배척운동이 일어나면서 유교사상의 기틀을 마련했다고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춘향전의 춘향과 이몽룡은 실존인물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춘향전'속 이도령 '이몽룡'은 실존인물이 모델이라고 합니다. 즉 실존 인물을 바탕으로 지어진 소설이라고 합니다.춘향전이 지어진 시기는 지금까지 알려진 것처럼 18세기 조선 영·정조 때가 아니라 그보다 100년 앞섰다.는 말도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황산벌 전투에서 왜 계백이 지휘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황산벌전투는 백제 의자왕 때인 660년 황산벌에서 계백이 이끄는 백제군과 김유신이 이끄는 신라군이 벌인 큰 전투를 말합니다. 삼국사기 백제 본기에 백제군 5천 명이라고 구체적으로 언급되어 있고, 지휘관도 좌평 충상, 상영 대신 계백을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충상, 상영은 명목상 지휘관이고 실 지휘는 계백이 맡았을 것이라는 의견이 힘을 받고 있습니다.의직과 주 병력은 백강으로 보내고 상대적으로 약한 신라군에게는 좌평 다음가는 달솔 직급의 계백을 보냈으며, 계백의 권위를 세워주기 위해 좌평인 충상, 상영을 함께 보낸 것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행주산성과 행주치마가 정말 연관성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질문자님의 말씀처럼 행주산성과 행주치마는 관련이 있어 보입니다. 행주치마의 어원은 다음과 같습니다. 행주치마의 어원은 일반적으로 임진왜란 때 행주에서의 싸움과 관련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1593년(선조 26) 2월 행주산성에서 권율 장군이 왜병을 맞아 싸울 때 성안의 부녀자들까지 합세하여 치마에 돌을 날라 병사들에게 공급함으로써 큰 승리를 거두게 되었고, 당시 부녀자들의 공적을 기리는 뜻에서 치마의 명칭에 행주라는 지명을 따서 행주치마라고 일컫게 되었다고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필리핀은 왜 혼혈이 많이 생기지 않았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필리핀은다양한 인종이 모여 살고 있다고 합니다. 대부분 말레이계이지만 중국과 스페인계, 미국계 혼혈도 많다고 합니다.2000년 인구조사에서 필리핀인 중 28.1%는 타갈로그족, 13.1%가 세부아노족, 일로카노족 9%, 비사야족 7.6%, 힐리가이논족 7.5%, 비콜족 6%, 와라이족 3.4%, 그리고 25.3%가 기타로 구성되었다고 합니다.
38138238338438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