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글쓰기를 좋아하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글쓰기를 좋아하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김종호 전문가
열린동해문학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역사
2024년 1월 20일 작성 됨
Q.
미국에 월가라고 불리는 지역에 유래 및 약사애 대해서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월가의 어원은 wal(성벽)을 의미하는 네덜란드어에서 유래됐다고 합니다. 맨해튼이 그렇듯이 원래 이곳은 네덜란드의 땅 '뉴 암스테르담'으로, 아메리카 원주민과 영국인(영란전쟁)을 막기 위한 긴 목책(성벽)을 세웠던 것이 '벽(Wall, 월)'이라는 이름의 어원이 되었습니다.
역사
2024년 1월 20일 작성 됨
Q.
조선에서 화교가 크게 급증한 시기는 언제인지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한국에 화교 사회가 정착하기 시작한 것은 19세기 말이며 임오군란으로 군인들이 인천에 있을 때 그들의 식사와 허드랫일들을 도우기 위해 파견된 청나라 소작농과 노비 등 하층민 중국인 남성 여성들이 인천에 건너왔고 이들은 생업을 위해 상업활동을 하였습니다. 군인들은 몇 년 지나고 모두 돌아갔지만 다른 이들은 청나라의 보호를 받지 못하여 돌아가지 못하고 인천에 살기 시작하게되었습니다.
역사
2024년 1월 20일 작성 됨
Q.
일제강점기시대 가장 대중적인 중국국수요리인 청국우동이 무엇이고 이게 크게 인기얻던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30년대 중국집에서 가장 인기 있는 메뉴는 짜장면이 아니라 '우동'이었다고 합니다.1930년 9월 대구부가 대공황으로 인한 디플레이션에 직면하면서 음식 가격 인하를 단행했는데, 이때 우동이 대표적인 중화요로거론되었습니다.당시 우동은 '호면'(胡麵) 혹은 '청국우동'으로 불렸는데, 이는 일본의 우동과 구별하기 위해 '청국우동'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였습니다.
역사
2024년 1월 20일 작성 됨
Q.
대통령직 단임제, 연임제 그리고 중임제 차이점?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중임'이라는 말은 '거듭해서 직을 맡을 수 있다'는 의미로, '한 차례에만 직을 맡을 수 있다'는 '단임'에 반대되는 말이라면, '연임'이라는 말은 '연이어서 직을 맡을 수 있다'는 의미를 가집니다.즉 연임제는 현직 대통령이 재임중에 치러지는 다음 대선에 출마해서 당선될 경우 연이어서 대통령직을 수행할 수있다는 것으로 '연임'(連任)이라는 한자의 뜻풀이대로 '잇따라 임기를 수행한다'는 뜻이됩니다.
미술
2024년 1월 20일 작성 됨
Q.
프랑스라는 나라가 왜 예술의 나라로 불리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프랑스가 예술의 도시로 불릴 수밖에 없는 것에는 그저 화가들의 화려한 기술이 들어간 그림 때문만도, 정각마다 빛나는 에펠탑 때문도, 좋은 날씨와 아름다운 풍경도 아니라 포장하지 않아도 보이는 아름다움을 느낄수있는 열린 기회와 남의 시선을 신경 쓰지 않는 당당함이 바로 그것이 프랑스가 예술의 나라일 수밖에 없는 이유입니다.
411
412
413
414
41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