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글쓰기를 좋아하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글쓰기를 좋아하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김종호 전문가
열린동해문학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역사
2024년 1월 16일 작성 됨
Q.
우리나라 최초의 우체국은 어디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최초의 우체국 우정총국은 임진왜란 직후 16-17세기경에 건축되어 국립병원 전의감 으로 사용되었고, 1629년 “인조7년”에는 일본 사절단의 숙소로도 사용되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1884년 4월 22일 왕명 으로 우정총국이 개설되고 1884년 11월 18일부터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 행정제도인 우정업무가 시작되었으나 1884년 12월 4일 우정총국 개국 축하연에서 개화파가 일으킨 갑신정변으로 우정업무는 잠시 중단 되었다가,1904년에는 애국단체인 보안회가 이곳에서 대규모 항일 대중집회 를 열기도 했으며, 1906년 민족사학의 요람인 중동학교가 설립되면서 1915년까지 교사로 사용되었습니다.광복 후 1956년부터 체신부에서 관리하여 오던 중 1970년 10월 현존 최고의 궁외건물과 애국운동 장소로서의 역사적 중요성을 인정받아 사적 제213호로 지정되었습니다.
역사
2024년 1월 15일 작성 됨
Q.
한국사회에서 최초의 연탄은 언제 등장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연탄의 역사는 1세기에 가깝습니다. 지난 1927년 구공탄이 처음 도입됐고 1960년 초까지는 요리와 난방을 목적으로 하는 것은대부분 연탄이 그 역할을 해왔습니다.하지만 정부가 1966년부터는 에너지 정책 중심을 석탄에서 석유로 옮기기 시작하여이후 1980년대 후반 도시가스의 보급으로 인해 연탄의 자리는 더욱 좁아져 결국 1990년대 초 ‘석탄산업 합리화 정책’으로 더이상연탄을 생산하지 않는 폐광시대를 맞았습니다.
역사
2024년 1월 15일 작성 됨
Q.
굴비라는 말은 어떻게 해서 생긴 말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기록되어 내려오는 굴비 어원은 정확하지는 않으나 일설에서는 법성포에 귀양온 이자겸이 비굴하게 살지 않겠다는 의지를 표현한 뜻으로, 그 맛이 변하지 않는 영광굴비를 진상하면서 '비굴'의 글자를 바꾸어 '굴비' 라고 하였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습니다.
역사
2024년 1월 15일 작성 됨
Q.
광해군이 영창대군을 죽인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광해군과 그 신하들은 인목 대비의 아버지가 영창 대군을 왕으로 삼기 위해 역모를 꾸몄다는 거짓을 만들어 인목 대비의 아버지를 죽이고 말았습니다.또 정치적인 라이벌이란 이유 때문에 나이 어린 영창 대군은 강화도에 유배를 시키고말았습니다. 이런 일들이 벌어지면서 유교를 떠받드는 조선 사회는 서서히 광해군에게 등을 돌리기 시작하고 덩달아 신하들의 반발 또한 거셌졌습니다.이러한 과정에서 안타깝게도 영창 대군은 유배 생활 중에 목숨을 잃고 말았습니다.
역사
2024년 1월 15일 작성 됨
Q.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할 때 마이산과 어떤 인연이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마이산은 조선 개국과 연관이 깊은 곳입니다.태조(이성계)가 왕이 되기 전 신선이 나타나 "이 금척으로 삼한 강토를 다스려 보아라." 하는 꿈을 꾸었다고 합니다. 즉 새로운 왕이 될 수 있는 계시를 받은 것입니다.고려 말 남원 운봉(황산대첩)에서 아지발도를 장수로 한 왜구를 크게 물리치고 개선 길에 마이산에 들렀다가 깜짝 놀라게 되는데 꿈에서 신선으로부터 금척을 받은 산이 마이산과 흡사했기 때문입니다. 태조는 이때부터 "나에게 이 땅에 새 나라를 건설하라는 신의 뜻이로구나."하고 생각하였다고 합니다. 그 후 이곳에서 백일기도를 드리 고 심었다는 수령 약 650년 되는 청실배나무(천연기념물)가 은수사 경내에 있으며 용상 뒤에 있는 "일월오봉도"는 마이산을 남쪽에서 보고 그렸다고 전해집니다.
416
417
418
419
42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