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글쓰기를 좋아하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글쓰기를 좋아하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김종호 전문가
열린동해문학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역사
2023년 10월 27일 작성 됨
Q.
조선시대 자격루는 어떤용도로 쓰였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국보 229호 자격루는 물이 흘러 일정한 양이 되면 내부 장치가 움직여 자동으로 소리를 내 시간을 알려주는 자동 물시계입니다. 자격루는 물의 양과 유속을 조절하는 수량 제어 부분과 인형의 움직임을 통해 시간을 알리는 자동 시보 부분이 결합된 모양을 갖추고 있습니다. 수량 제어 부분에는 물을 공급하는 항아리인 파수호와 파수호에서 나오는 물을 받는 항아리인 수수호가 있어 자동 시보 부분은 자격루에 설치된 인형을 움직여 북을 쳐 소리를 내는 역할을 합니다.
역사
2023년 10월 27일 작성 됨
Q.
종이컵은 중국에서 만들어진 것이 맞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종이컵의 역사른 거슬러 올라가보면 종이컵은 중국 제국의 문헌에도 기록되어있습니다. 이 종이는 기원전 2세기에 발명되었으며, 현대에 쓰이는 종이컵은 1907년에 미국의 하버드 대학교에 재학 중이던 휴그 무어가 발명했습니다.
역사
2023년 10월 27일 작성 됨
Q.
달포가 순우리말이라고 하는데 유래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날의 길이를 표현하는 말의 달포는 한 달이 조금 넘는 기간을 뜻합니다. 달포는 정확하게 한 달 반으로 볼 수 없지만, 달포에서 '~포'는 '동안'이라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달포와 비슷한 말로는 삭여, 월경, 월여 등이 있습니다.
역사
2023년 10월 27일 작성 됨
Q.
조선시대에 기병 병사는 상민으로 구성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459년(세조 5) 11월 군제 개혁과 1464년(세조 10) 9월의 군제 개혁을 통해 전국의 다양한 양인 농민의 병종을 정병(正兵)으로 통일하고 말이 있는 사람을 기정병(騎正兵), 말이 없는 사람을 보정병(步正兵)으로 규정하였습니다. 기정병을 줄여 기병으로 칭하였고, 기병은 정예 병력으로 사회적 위치가 높은 양인으로 편성되었습니다.
미술
2023년 10월 27일 작성 됨
Q.
미디어아트에 역사에 대해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미디어아트의 역사는 제2차 세계대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경제공황 후 1939년부터 1945년까지의 전쟁은 각종 테크놀로지의 발전을 요구했고, 테크놀 로지는 지식이나 과학의 응용으로서 이해되었으며, 복합적인 공학과 산업 시스템 형태를 띠었습니다.
446
447
448
449
450
카카오톡
전화 상담